•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al Knowledge in Teaching

검색결과 325건 처리시간 0.019초

Development of a Product Oriented Group for Mathematics Teachers Professional Growth

  • Liu, Chun-Yi;Cheo, Shu-Ti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5권4호
    • /
    • pp.341-355
    • /
    • 2011
  • A research group consisting of some mathematics education scholars and school teachers has been formed to build a website which intended to combine both theories and practices of mathematical teaching since 2002. There were three working stages: video-tapping realistic math teaching, developing video discs of different themes, and designing e-Learning. The group members learned knowledge of teaching by actual participating. On the other hand, the products enabled the audience to get professional development in knowledge of both mathematics and teaching. Management process of this group and effects upon the participants and users will be presented and discussed in this paper. A research group consisting of some mathematics education scholars and school teachers has been formed to build a website which intended to combine both theories and practices of mathematical teaching since 2002. There were three working stages: video-tapping realistic math teaching, developing video discs of different themes, and designing e-Learning. The group members learned knowledge of teaching by actual participating. On the other hand, the products enabled the audience to get professional development in knowledge of both mathematics and teaching. Management process of this group and effects upon the participants and users will be presented and discussed in this paper.

초등 수학 수업에서 발현되는 교사의 변환 지식 분석 (An Analysis of a Teacher's Transformation Knowledge in Elementary Mathematics Teaching)

  • 정유경;방정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695-717
    • /
    • 2013
  • 가르치는 데 필요한 교사 지식은 실제 해당 교과를 가르치는 중에 수업 맥락과 깊이 관련되어 나타나기 마련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최근 수학 교사 지식에 대한 연구는 실제 가르칠 때 발현되는 수학적 지식(Mathematical Knowledge in Teaching [MKiT])을 분석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본 논문에서는 효과적인 MKiT 분석틀로 알려진 '교사 지식의 사중주(Knowledge Quartet [KQ])' 중 '변환' 차원 및 관련 코드를 소개하고, 이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초등 수학 수업을 분석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변환 차원의 관련 코드는 전반적으로 우리나라 초등 수학 수업에서 발현되는 교사의 변환 지식을 밝히는 데 유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보다 적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일부 코드를 보완할 필요성도 제기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은 초등 수학 수업에서 발현되는 교사 지식의 분석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 PDF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Component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Training

  • Lee, Joong-Kwoe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4권1호
    • /
    • pp.23-31
    • /
    • 2000
  • This research elaborated five components fo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training: 1)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2)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3) Pedagogical reasoning, 4) System of training, and 5) Mathematics teachers' beliefs. For the effect teaching, mathematics teacher program should be reformed. The key to improvement should be concerntrated on developing knowledge about effective teaching and translating it into algorithms those teachses can learn and incorporate in their planning prior to teaching. A theory of instruction should specify the most effective sequences in which to present the materials to be learned.

  • PDF

Exploring Preservice Teachers' Computational and Representational Knowledge of Content and Teaching Fractions

  • Rosli, Roslinda;Han, Sunyoung;Capraro, Robert M.;Capraro, Mary M.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7권4호
    • /
    • pp.221-241
    • /
    • 2013
  • The data for the present paper was a part of a large research project conducted to assess preservice teachers' knowledge related to fractions and place value at a southwestern public university in 2007. The study utilized convenience sampling, consisting of 150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enrolled in a mathematics methods course before their student teaching. The results demonstrated preservice teachers' knowledge of teaching comparison, addition, subtraction, and multiplication of fractions was insufficient even though these should be basic knowledge.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should emphasize profound knowledge for teaching fractions using representations.

Roles of Teachers in Learning Study: A Case Study in Teaching Fractions

  • Wong, Tak Wah;Lai, Yiu Chi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7권1호
    • /
    • pp.47-61
    • /
    • 2013
  • This paper aims to explore whether Learning Study improves teachers' subject content knowledg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teaching mathematics. A Learning Study was conducted in a Hong Kong primary school for a research lesson on comparing the size of fractions to explore the new teacher roles.

수학 수업에서 요구되는 교사 지식에 대한 평가 기준 재탐색 (The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the Evaluation Standards for Mathematics Teaching Focused on Teacher's Knowledge)

  • 황혜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6권1호
    • /
    • pp.109-135
    • /
    • 2012
  • 수학 수업에서 요구되는 교사 지식을 '교과 내용 지식', '학습자 이해 지식',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 지식', '수업 상황 지식'으로 상정하고, 수업 평가 및 교사 지식과 관련된 여러 선행 연구들에 의거하여 본 연구자는 교사 지식 요소 각각에 대한 수업 평가 영역 및 기준 마련을 위한 연구를 수행해 왔다. 본고에서는 지금껏 본인에 의해 수차례 수행된 연구 결과들을 신중히 재검토하여 보다 일관성 있고 체계적으로 수정 보완하고자 하였다. 이때, 각각의 교사 지식에 대한 교사 자신의 자기평가 방법에 따라 측정 용이한, 즉 실제적 활용 가치를 신중히 고려함은 물론, 특히 '수업전', '수업 중', '수업 후'의 상황을 모두 반영한 수학 수업 평가 기준을 새로이 마련하고자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처럼, 본고의 연구 결과를 활용하는데 있어서 교사는 수업 전, 수업 중, 수업 후 상황에 국면하게 되고, 교사 지식은 이러한 상황 모두에 요구되나, 실제의 수업 상황에서 모든 교사 지식에 대한 수업 평가 기준을 '동시에' 모두 고려하여 평가, 진단하는 것은 쉽지 않을 일이다. 이에 따라, 교사 자신 및 동료들이 해당 수업에 따라 요구되는 특정의 교사 지식 및 특정의 수업 진행 상황(수업 전, 수업 중, 또는 수업 후)을 선정하여 이에 국한, 집중하여 평가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수학을 가르치는 데 발현되는 교사 지식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A Study on Mathematical Knowledge in Teaching)

  • 정유경;방정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4호
    • /
    • pp.617-630
    • /
    • 2015
  • 교사 지식의 본질에 대한 견해에 따라 교사 지식을 분석하는 목적과 방법이 결정되므로 교사 지식에 대한 관점을 면밀하게 고찰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우리나라에 체계적으로 소개되지 않은 '수학을 가르치는 데 발현되는 교사 지식(Mathematical Knowledge in Teaching[MKiT])'의 개념, 특성, 분석 방식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MKiT의 관점에 따르면, 교사 지식이란 수학을 가르치는 데 사용되어야 의미가 부여되는 실천적 지식이다. 또한 수학을 가르치는 상황에서 여러 가지 교사 지식의 요소들이 상호작용하면서 교사 지식이 구성된다는 측면에서 교사 지식의 본질을 수업 맥락에 특화된 유기체로 여긴다. 이런 측면에서 교사 지식에 대한 분석은 주로 수업과 직접적으로 연계된 교사의 행위나 수업 상황을 관찰 분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MKiT의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교사 지식 연구가 더욱 활성화되기를 기대하며, 더 나아가 수학 교사 지식의 본질 및 분석 방식에 대한 면밀한 이해를 촉구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수학교사의 지식과 수업 실제와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s Teachers' Knowledge and Teaching Practice)

  • 신현용;이종욱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3권3호
    • /
    • pp.257-273
    • /
    • 2004
  • In this paper, we analyze what the components of mathematics teacher` knowledge are, and find that mathematics teacher need knowledge of three areas: subject matter knowledge, pedagogical knowledg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tudies of practicing teachers suggest that When teachers lack understanding in their respective disciplines, it inhibits them from providing students the best learning opportunities, but that a teacher possess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rovides learners with multiple approaches into learning. Some teachers having sound knowledge of mathematics and students were able to respond appropriately to students' questions, design appropriate learning activities involving a variety of mathematical representations, and orchestrate mathematical discourse in the classroom. Thus, it appears that mathematics teachers' knowledge positively affect teaching and student learning..

  • PDF

예비교사들의 수학교수지식(MKT) 측정 및 분석 연구 (Measuring and Analyzing Prospective Secondary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KT])

  • 전미현;김구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4호
    • /
    • pp.691-715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중등 예비교사들의 교수를 위한 수학적 지식(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이하 MKT) 수준을 검증할 수 있는 문항 개발을 확장하여서 이를 적용한 측정을 통해 중등 예비수학교사들의 MKT 수준이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학교 수준의 수학 영역에 대한 검사 문항을 개발하여 예비교사 54명을 상대로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이 얻은 점수를 백점 만점으로 환산 시 검사지 총점의 평균은 30.2점으로 나타났는데, 예비교사들은 대체로 문항에서 나타내는 학습 내용에 관한 지식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등학생들이 어려워하는 부분과 이에 대한 정확한 설명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입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 방법을 제시하고 설명하는 과정에서도 내용의 본질을 충분히 담지 못하며 학습자에 대해서도 일반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특성을 기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