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ried immigrant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23초

중국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에서 양성평등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gender equality experience of Chinese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 정상우;황해영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657-666
    • /
    • 2018
  • 본 연구는 중국계 결혼이주여성들은 결혼생활에서 양성평등에 대해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문제점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연구를 위하여 한국인 남성과 결혼한 중국계 결혼이주여성 5명을 심층 인터뷰하였다. 연구방법은 질적연구방법인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5명의 연구참여자들의 이주전 양성평등 인식과 이주 후 양성평등 갈등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결혼이주여성들의 양성평등 인식차이로 나타나는 부부갈등은 본국의 가족생활문화, 남편과의 만남의 경로, 남편의 중국문화에 대한 이해 정도에 따라 각각 다른 양상으로 드러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연구참여자들은 한국사회에 적극적으로 동화하려는 시도로 불평등을 감수하면서도 한국형 가부장제에 순응하는 모습의 형태로 한국형 여성가치관을 수용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그리고 그중 일부는 한국인 남편의 가부장적 가치관 때문에 가정이 파탄되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하였다. 이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사회 다문화가정 양성평등에 있어서 문제점은 무엇인지 그리고 개선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Factors Affecting Unmet Healthcare Needs of Working Married Immigrant Women in South Korea

  • Yi, Jinseon;Lee, Insook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1-53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on unmet healthcare needs of married immigrant women, especially who are working in South Korea. Methods: It is designed a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e analyzed data from 8,142 working married immigrant women to the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2015.' Based on Andersen's health behavior model,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redictors of unmet healthcare need. Results: The prevalence of unmet healthcare needs among the subjects was 11.6%. In multivariate analysis, significant predictors of unmet needs included existence of preschooler, country of origin, period of residence in predisposing factors, monthly household income, helpful social relationship, social discrimination, Korean proficiency, working hour per week in enabling factors, and self-rated health, experience of grief or desperation in need factors. Conclusion: The association between labor-related factors and unmet healthcare need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currently working was found from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Support policies for immigrant women working more than legally defined hours and having preschooler should be supplemented to reduce unmet healthcare needs. In addition, eradicating discrimination in workplace, enlarging social relationship, and developing culturally competent nursing services tailored to health problems caused by labor are needed.

질적연구조사를 통한 베트남 결혼이민여성과 한국인 배우자의 영양불량 원인 규명 (Identifying the Causes of Nutrition Inadequacy in Vietnamese Married Immigrant Women and Korean Spouse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 조미영;황지윤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5권1호
    • /
    • pp.59-73
    • /
    • 2019
  •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le causes of nutritional inadequacy in Vietnamese immigrant women married to Korean husbands. Qualitativ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sample of 34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17 Korean spouses participating in or having experienced Nutrition Plus from four Community Health Centers in Seoul, Korea.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nutritional staus of the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was affected by the unfamiliar Korean food (cultural factor), low household income (economical factor), difficulty in purchasing Vietnamese food (environmental factor), and low accessibility to nutrition support systems (social factor). The Korean husbands' nutritional status was affected by the unfamiliar Vietnamese food (cultural factor), low household income (economic factor), and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social factors). Nutritional interventions as a public service to the community needs to be developed and applied. Suggestions are presented regarding the future efforts to better understand and meet the nutrition needs of intermarried couples to respond to their heterogeneous needs and deliver adequate nutrition service to ever increasing intermarried families.

농촌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성향 특성 -수직 및 수평차원의 개인 vs. 집단주의 성향 중심- (Cultural Propensity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a Korean Rural Area: Comparison of Individualism vs. Collectivism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mension)

  • 양순미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9권3호
    • /
    • pp.527-550
    • /
    • 2012
  • This study is aimed to compare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propensity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a Korean rural area. By result of comparison on nationality, the level of collectivism was higher than it of individualism in every country, but the level of collectivism among the countries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level of individualism among the countries was difference significantly, and the level of individualism of Chinese is most high but it of Japanese is most low.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probability to be involved in the group that level of individualism is high was heightened as respondent have no religion or their's satisfaction on rural life increase. The level of horizontal propensity was higher than it of vertical propensity both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But the result of comparison on nationality, difference between horizontal and vertical propensity was no significant. Besides of these results,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이중언어강사 교육프로그램 개발 (A Study on the Bilingual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Married Immigrant Women)

  • 공수연;양성은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71-184
    • /
    • 2015
  • This study is aimed at proposing and managing a program to foster married immigrant women who have bilingual-bicultural abilities. Four stages of research processes were followed. Firstly, bilingual teacher training was contemplated field experience and preceding research. Secondly, specialist groups reviewed and verified considerations of content validity. Thirdly, seventeen valid participants were selected and they worked on programs of ten sessions. Fourthl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verified through a survey of satisfaction.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as a program that reflects the theory and reality to establish their identity reinforce the capability and arouse the multi-cultural consciousness.

Effects of Birth Control Empowerment Program for Married Immigrant Vietnamese Women in South Korea

  • Kim, Jihyun;Kim, Nam Cho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0
    • /
    • 2017
  • Purpose: Aims of the researchers were to develop an birth control empowerment program (BCEP) designed to help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to plan their pregnancies. Methods: This study was a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BCEP. The BCEP was developed based on Falk-Rafael (2001)'s Empowerment caring model. The program was offered once a week, for 90 minutes per session, for a total of 10 weeks. The BCEP incorporated group instruction, group discussion, and counseling. The eligibl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experimental group (n=23) or control group (n=23). Results: Participants in the intervention group had significantly better outcomes in contraceptive knowledge (p<.001), contraceptive self-efficacy (p=.014), perceived contraceptive control (p<.001), sex-related spousal communication (p<.001), and sexual autonomy (p=.009). Conclusion: The BCEP was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which can promote family planning practices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결혼이주여성이 인지하는 '좋은 여가'의 유형과 의미 분석 (Analysis of Types and Meaning of 'Good Leisure' Perceived by Married Immigrant Women of Korea)

  • 김영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323-330
    • /
    • 2020
  • 이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이 인지하는 '좋은 여가'에 대한 유형과 특성을 규명하고자 심층면담과 개방형 질문을 통해 32문항의 Q 표본을 추출하여, 결혼이주여성 40명을 P표본으로 연구하였다. 그 결과 첫째, 결혼이주여성들이 생각하는 '좋은 여가'의 유형은 4가지로 분류되었다. 둘째, 결혼이주여성들이 생각하는 '좋은 여가'의 유형은 여가 활동을 통해 마음이 편안하고 여유로워질 때 좋은 여가로 인식하는 제 1유형인 심리적 안녕 추구형과 여가활동을 통해 즐겁고, 자기 개발이 될 때 좋은 여가라고 인식하는 제 2유형인 정서 안정 및 자기 개발형, 적은 비용으로 생활에 필요한 것을 배울 때 좋은 여가라고 인식하는 제 3유형인 실용 추구 및 정보 습득형, 한국문화를 배우고 한국인과 교류할 때 좋은 여가라고 인식하는 제 4유형인 문화 적응 및 교류형 등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각 유형에 관계없이 결혼이주여성들은 '좋은 사람과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을 좋은 여가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이주여성의 종교성향과 결혼적응의 관계에서 종교적 문제해결의 매개효과 (Moderating Effect of Religious Problem Solv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Orientation and the Marital Adjustment of Marriage Immigrant Women)

  • 석창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93-203
    • /
    • 2018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종교성향과 결혼적응과의 관계에서 종교적 문제해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도시(서울), 농촌(경북) 지역 그리스도인 302명(개신교 185명, 천주교 117명)을 대상으로 종교성향, 종교적 문제해결, 결혼적응검사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5.0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종교성향, 결혼적응, 종교적 문제해결 모두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종교성향과 결혼적응과의 관계에서 종교적 문제해결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결혼이주여성의 종교성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상황에서 종교성향과 종교적 문제해결이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결혼이주여성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종교성 요인에 대하여 질적 분석을 통해 결혼이주여성의 종교적 삶을 입체적으로 조망할 필요가 있겠다.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관련 중재 연구 동향 분석 (Analysis of Health Related Intervention Research for Married Immigrant Women)

  • 안현미;김미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245-256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한 건강관련중재연구의 동향을 고찰함으로 결혼이주여성의 건강증진을 위한 중재개발의 기초적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문헌분석 연구로 15년간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된 결혼이주여성 대상 건강관련 논문 96편 중 9편의 중재연구를 분석하였다. 9편의 실험 연구 중 3편이 임신 분만 관련 중재 연구이고, 영유아 감염예방, 여성 질환 관련 중재연구가 각각 1편이었으며, 신체적 요소만을 다룬 논문은 3편, 정신적 요소만을 다룬 논문은 2편, 4편은 정신 및 신체적 혹은 사회적 요소를 함께 포함하는 중재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신체적 요소를 포함한 결혼이주여성 대상의 연구는 여성이 결혼 후 자녀를 출산하고 양육하는 과정에 이어 생애 전반에 걸친 다양한 문제에의 접근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이들을 위한 정신사회적 중재는 여성 개인적 차원과 관계적 차원 모두에서 긍정적 대처와 적응을 돕기 위한 목적으로 계획되어야 할 것이다.

외국인 며느리를 맞이한 시어머니의 가족적응경험에서 나타난 부담감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Sense of Pressure Shown from the Family Adjustment Experience of Mothers-in-Law with Married Immigrant Women)

  • 박병금;노필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250-265
    • /
    • 2014
  • 본 연구는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외국인 며느리를 맞이한 시어머니들의 가족적응경험에서 나타난 부담감의 의미와 본질을 탐색하고 이해함으로써 이들 시어머니들과 가족들이 함께 적응하고 살아가는 우리사회의 이해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들은 5명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외국인 며느리를 맞이한 시어머니들의 가족적응경험에서 나타난 부담감의 경험은 7개의 범주와 31개의 주제로 분류되었다. 경험의 7가지 범주는, '아들결혼에 대한 부담감', '마뜩잖은 며느리에 대한 부담감', '서운한 며느리로 인한 부담감', '걱정스러운 아들내외와 사는 부담감', '외국인 며느리 맞이로 인한 부담감', '딸에게 기대는 사돈에 대한 부담감', '미래에 대한 부담감'으로 나타났다. 아들의 국제결혼을 통해 낯선 사회문화 환경을 배경으로 한 외국인 며느리를 맞이하게 된 시어머니들이 가족 내외부의 다양한 도전들에 대처하고 적응해 나가는 가족적응 과정을 어떻게 경험하는지 이해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가족복지 실천에 기여하고 다문화가족의 지원과 우리사회의 이해를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