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riage Narratives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4초

Initiating Smokeless Tobacco Use across Reproductive Stages

  • Begum, Shahina;Schensul, Jean J.;Nair, Saritha;Donta, Balaiah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7호
    • /
    • pp.7547-7554
    • /
    • 2015
  • Background: The use of smokeless tobacco (SLT) among women is increasing in India, especially among those with limited education and resources. Preventing the initiation of SLT among women is critical since it has known negative consequences for oral and reproductive health. Most research on tobacco initiation in India focuses on adolescents. This paper addresses the unrecognized issues of post marital initiation among women of reproductive age,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reproductive stages in women's tobacco initiation. The objective is to examine the correlates of SLT initiation among low income women in Mumbai from pre-marriage through early marriage, first pregnancy and beyond, using case examples to illustrate initiation during each of these stages. Materials and Methods: In 2011-2012, cross-sectional community level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a representative sample of 409 daily SLT-using married women aged 18-40 years in a low income community in Mumbai. Information on socio-demographics, initiation by reproductive stage, types of tobacco use, childhood exposure to tobacco, learning to use, and initiation influences and reasons were collected through a researcher-administered survey. Univariate and bivariate analysis assessed factors influencing initiation of SLT use by reproductive stage. In addition 42 narratives of tobacco use were collected from a purposive sample of pregnant and non-pregnant married women addressing the same questions in detail. Narratives were transcribed, translated, and coded for key concepts including initiation of tobacco use. Results: Thirty-two percent of women initiated SLT use before marriage, 44% initiated after marriage but before pregnancy, 18.1% initiated during their first pregnancy and the remainder started after their first pregnancy. Mean age of marriage among women in this study was 16 years. Younger women (i.e. age at time of the interview of less than 30 years) were 0.47 [95% CI (0.32, 0.87)] percent less likely to initiate after marriage than women aged more than 30 years. Women who got married before 18 years of age were 2.34 [95% CI (1.40, 3.93)] times more likely to initiate after marriage than their counterparts. Childhood exposure was a predictor for initiating SLT use prior to marriage but not after. Women reporting tooth and gum pain were 1.85 times more likely to initiate after marriage than their counterparts. Husband and neighbours were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s on post-marital initiation. Narratives highlighted differences in processes of initiation pre and post marriage and during pregnancy. Conclusions: Most tobacco prevention interventions are directed to adolescents in school. This study suggests that especially for low literate or illiterate women, school based interventions are ineffective. To be effective strategies to prevent SLT initiation must reach women in urban areas at or immediately after marriage and during their first pregnancy. Messages must negate culturally rooted beliefs about the health benefits of SLT in order to prevent initiation and onset of daily use.

한국 서사민요 디지털 아카이빙을 위한 '구애·혼인' 서사의 분석과 의미 (Meaning and Analysis of Courtship & Marriage Narratives for Digital Archiving of Korean Narrative Songs)

  • 서영숙
    • 한국민요학
    • /
    • 제56권
    • /
    • pp.105-135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한국 서사민요를 대상으로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하기 위한 기반 작업으로, 서사민요 중 남녀 또는 부부 간의 애정이나 혼인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구애·혼인' 서사민요의 분석 방법을 제시하고 그 데이터를 활용한 세 가지 분석 사례와 의미를 고찰하였다. 이에 먼저 『한국구비문학대계』에서 추출한 '구애·혼인' 서사민요 386편의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유형, 서사단락, 주제어 추출 방법 및 결과의 개요를 제시하였다. 특히 서사민요의 통합적 관계 양상과 병렬적 관계 양상을 함께 파악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서사단락의 순차적 결합 양상 및 주제어의 세부 양상을 표기하였다. 이는 기존 아카이브가 유형분류나 제목 검색에 그치고 있어 각편의 서사적인 특징이나 각편별로 지니고 있는 차이를 드러내지 못한다는 단점을 극복하고 서사민요 유형의 전반적 양상에서부터 각편별 서사단락의 전개나 주제어의 세부 양상까지 아우를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다음으로 '구애·혼인' 서사민요의 디지털 아카이빙 데이터의 효용 가치를 찾아보기 위한 방법으로, 주제어의 성별 차이 및 빈도수, 유사 소재 유형의 주제어 비교 등을 중심으로 분석 사례를 제시하고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구애·혼인' 서사민요의 주 향유층은 여성이라는 점, '부정'이나 '죽음'과 같이 비일상적이고 충격적 사건을 주로 다룬다는 점, 남성이 주로 전승한 유형은 아내와 '외간남자와의 외도', 여자와의 만남을 위한 '중의 파계'와 같이 부적절한 남녀 관계 유형에 집중돼 있다는 점, 이들 노래들은 '구애·혼인' 과정에서 겪는 현실적 고난의 표현이라는 점 등을 밝혔다. 앞으로 이 연구 결과의 보완 작업을 지속적으로 시행함으로써, 서사민요 갈래를 넘어선 다른 서사 갈래와의 교섭 양상 등을 밝히는 데까지 확장해나갈 필요가 있다.

젠더, 범죄, (여성)탐정 -초기 영미 추리소설의 성정치학 (Gender, Crime, (Woman) Detective: Sexual Politics of Early British and American Detective Fiction)

  • 계정민
    • 영어영문학
    • /
    • 제56권5호
    • /
    • pp.931-946
    • /
    • 2010
  • This paper examines the role of gender ideology in early British and American detective fiction focusing on the female detectives. Since a detective's attributes honor and idealize such traditionally masculine qualities as independence, intelligence, heroism, and bravery, the woman detective fiction has potentiality to operate against the established gender norms. The narratives about women in pursuit of justice and order through their criminal investigation can allow women to possess the masculine rationality and power. The subversive possibility inherent in the woman detective fiction is, however, contained by the representation of the female detectives and the negotiation through narratives. A female detective is represented either as unfeminine and thus unattractive and unlikeable or as desperate for survival. Her threatening potentiality is easily dismissed as that of an inadequate woman or a desperate one. The compromise in narratives is effected by the following three ways: first, a female detective is assigned to investigate crimes as an assistant to the male detectives; second, staying within the domestic sphere, she solves crimes by using her expert knowledge of the domestic service; and third, her detective narrative ends with the conventional marriage plot. Confining the female detectives within the conventional feminine roles and domains, the woman detective fiction supports and reestablishes the dominant gender ideology.

전업주부는 어떻게 정체성을 유지하는가? ; 사회문화적 압력에 대한 저항과 종교활동 그리고 정당화 (An Ethnographic Case Study on Full-Time Housewives' Strategies for Identity)

  • 김선미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723-739
    • /
    • 2004
  • This study examines how full-time housewives manage family resources, make decisions, handle pressures, and negotiate the constraints of everyday life in a society that places unrealistic expectations upon them. We approached housewives with an assumption that they are individuals who think, strategize, and solve problems. We also imagined that they are capable of speaking for themselves and making choices under situational and personal limits. Eleven full-time housewives were interviewed on how they experience their marriage, child (or children), family, and society. Their narratives were then analyzed to sort out the strategies the women employ to maintain their identities. The narratives demonstrate the women's will and agency as they work to resolve the contradictions from their daily life, and reveal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ir midst, despite the fact that they had been often considered homogeneous.

  • PDF

The Well Traveled Yet Rough Road: Korean Housewives' Everyday Life Experiences and Strategies for Identity

  • Kim, Seon-Mi;Oum, Young-Rae;Lee, Ki-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8권2호
    • /
    • pp.1-16
    • /
    • 2007
  • The authors examined how Korean housewives manage family resources, make decisions, handle pressures, and negotiate the constraints of everyday life in a society that places unrealistic expectations upon them. The authors approached housewives by imagining them as thinking, strategizing, and problem-solving individuals, who are capable of speaking for themselves and making choices within situational and personal limits. Eleven full-time housewives were interviewed on how they experience their marriages, children, families, and society. Their narratives were then analyzed to sort out the strategies the women employed to maintain their identities. The narratives showed women's will and agency as they worked to resolve the contradictions in their daily life, and revealed individual differences within this group of women who are often seen as homogenous.

여성 화자의 시집살이담에 나타난 관계와 고난의 양상 (A Study on the Aspects of the Relationships and Hardships on a 'Sijipsali' Narratives in Korean Women's Married Life)

  • 김경섭;김정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409-417
    • /
    • 2020
  • 자신의 삶을 훌륭하게 구연하는 구술연행은 그것만으로도 하나의 훌륭한 언어예술이다. 시집살이담은 여성 생애담 중 결혼을 매개로 가족관계나 사회·문화적 문제로부터 벌어지는 일련의 일들을 구술한 서사체이다. 그러므로 시집살이담은 여성 생애담의 하위 장르이다. 시집살이담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살필 수 있다. 첫째는 며느리와 가족 구성원 사이의 관계로부터 비롯되는 '가족관계 층위'이다. 여기서 가장 일반적인 것은 물론 시어머니 시집살이이며, 그 밖에 시아버지 시집살이, 남편 시집살이, 자식 시집살이를 들 수 있다. 둘째는 인간관계에서 비롯된 것이 아닌 며느리로서 갈등을 겪게 되는 제반 사항들에 관련된 이야기들로 '사회·문화 층위'이다. 가장 일반적인 것은 가난과 역사적 사건에서 비롯된 시집살이이며, 며느리의 가문이나 용모, 태도 등 때문에 심한 시집살이를 한 경우도 있다. 실제의 시집살이는 이 두 가지 양상이 뚜렷하게 구별되기보다는 서로 혼합되어 나타난다. 가족관계에서 비롯된 시집살이는 항상 가난이나 사건과 관련될 수 있으며, 반대로 가난이나 사건은 가족관계로 확대되어 여성들을 괴롭혔던 것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시집살이담에 나타난 관계와 고난의 양상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온달설화>의 서사적 구조를 활용한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문학치료 방안 탐색 (Exploration of literary treatment for married immigrant women using the narrative structure of )

  • 김영순;황해영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695-704
    • /
    • 2018
  • 본 연구는 <온달설화>를 활용하여 국내 결혼이주여성의 건강한 정체성 확립을 위한 문학치료적 접근을 시도했다. 연구에서는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의 한국문화 적응과정에서 건강한 정체성형성의 어려움에 대하여 제시하고 온달설화의 서사적 구조를 활용한 문학치료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에서는 검증된 서사인 고전문학을 활용하여 결혼이주여성들의 건강한 자기서사를 이끌어 낼 수 있게 도와주며 나아가 건강한 정체성 재확립에 대한 가능성을 그들의 인간관계를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에서는 자기서사를 통하여 건강한 정체성 확립을 위한 문학치료적 대안을 마련함으로써 그들이 행복한 삶을 주체적으로 꾸려나갈 수 있다는 자신감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결혼이주여성을 건강한 정체성 확립을 위한 프로그램구성에서 고전문학을 활용하여 그들의 한국문화 이해 그리고 한국어능력 향상까지 기대효과를 걸 수 있다는 것이 긍정적인 부분으로 부각시킬 수 있었다.

이주여성에 관한 혐오 감정 연구 다음사이트 '아고라' 담론을 중심으로 (Narratives and Emotions on Immigrant Women Analyzing Comments from the Agora Internet Community(Daum Portal Site))

  • 한희정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75권
    • /
    • pp.43-79
    • /
    • 2016
  • 본 논문은 이주여성에 관한 인터넷 포털 사이트의 게시물과 댓글의 내러티브에 담긴 감정의 특성을 분석했다. 분석 대상으로 사회적 이슈에 관한 활발한 토론 공간인 '다음'(Daum)의 '아고라'를 선정했다. 내러티브 분석 결과 게시물 작성자들이 보여준 감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주여성을 매춘과 연관시키면서 과도한 혐오감을 드러냈다. 둘째, 한국 남성을 희생자로 파악하고, 이주여성에 대한 증오감을 드러냈다. 셋째, 다문화주의에 반대하는 이들은 혐오감정을 감추고, 정의, 평등, 국가주의를 근거로 한 분노 감정의 표현이 정당하다는 전략을 사용했다. 넷째, 반다문화주의자들은 국제결혼 사기사건, 외국인 노동자 범죄보도 등의 사례를 반복적으로 언급하면서 혐오 감정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했다. 다섯째, 매우 드물지만 이주여성이 만든 음식을 소개하는 사진과 글이 비교적 온정의 감정을 담았지만, 관음주의적 접근이라는 한계를 지녔기에 공감과 동감, 연민의 감정으로 발전되지 못했다. 한편, 이주여성에 대한 부정적 감정을 표현하는 게시물 작성자의 심리적 배경에는 자기혐오가 자리 잡고 있고, 이는 더욱 강화될 것으로 우려된다. 아고라 공간에서 2011년 이후 이주여성 관련 글 대부분은 혐오 담론에 해당한다. 요컨대 결혼, 노동, 피난 등으로 인해 주거지의 국제적 이동 현상이 증가하는 디아스포라 시대에 혐오 감정에 따른 갈등과 인권 침해 현상에 대응하기 위해 보편적 인간애로서 휴머니즘 위주의 시민 교육을 강화할 것이 요구된다.

  • PDF

해체된 재혼의 특성에 관한 연구: 재혼모를 대상으로 (A Qualitative Analysis of Dissolution of Remarriage)

  • 김연옥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2호
    • /
    • pp.171-195
    • /
    • 2007
  • 본 연구는 재혼이 초혼보다 취약하며 재혼이혼율이 초혼이혼율보다 더 높음에도 불구하고 재혼해체에 관해서는 알려진 바가 전혀 없는 현실에 착안하여, 재혼이 어떻게, 왜 해체에 이르게 되는가를 이해하고자 재혼 후 이혼한 여성들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시도하였다. 총 7명을 심층 면담한 녹취록을 질적자료 분석프로그램인 Nvivo2로 분석하여 분석의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분석결과 정서적 애착이 결여된 재혼동기, 취약한 부부유대, 계자녀와의 갈등, 시집의 소외 등이 해체된 재혼생활의 특성으로 도출되었는데, 이러한 재혼생활의 특성들이 재혼생활의 안정성을 위협하고 직, 간접으로 재혼의 해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재혼과 재혼가족에 대한 사회복지 개입의 필요성을 강력히 시사해 주고 있다.

  • PDF

『옥수기』의 남녀결연담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Methods of Oksuki)

  • 권경순
    • 동양고전연구
    • /
    • 제67호
    • /
    • pp.69-104
    • /
    • 2017
  • 본고는 19세기 한문장편소설의 하나인 "옥수기"의 남녀결연담에 나타난 재자가인소설의 면모를 고찰하였다. "옥수기"는 남녀 간의 결연을 중심으로 하는 작품으로, 결연담 위주의 서사구조를 취하고 있다. 복수인물의 결연담이 반복되는 구조를 통해 다양한 결연 양상을 보여주며, 결연담을 제외한 여타 사건과 삽화는 결연의 계기가 되기도 하며 보조적 역할을 한다. 작품 초반에 주인공의 부모의 결연담을 구체적으로 서술하고, 주인공과 형제들의 결연과 관련된 예언을 배치함으로써 이후의 서사가 결연담 위주로 흘러갈 것임을 암시한다. 결연을 이루는 남성인물들은 문장력을 갖춘 인물들로 풍류적 면모를 지니고 있고, 가인들은 재색을 갖추고 있다. 남성인물들은 편력적으로 보일 정도로 결연에만 관심을 두고 있으며 각각 다수의 여성과 결연을 맺는다. 결연은 중세적 신분 질서를 충실히 따른 것으로 생각된다. 처가 되는 인물과 첩이 되는 인물의 형상을 상이하게 설정한 것은 사대부 남성의 위치에서 이상적으로 바라는 처와 첩의 인물상이 다르기 때문이다. 처가 되는 인물들은 절의, 효, 지식, 내조 등이 강조되며 집안의 대소사에 적극적으로 관여한다. 반면에 첩이 되는 인물들은 재주와 기예가 강조되며 혼인 후에는 그 역할이 축소된다. 즉, 처는 유교적 교양과 지식을 겸비하고 있으며 남편을 내조하고 가정을 잘 꾸려갈 수 있는 인물로 형상화되어 있고, 첩은 처와의 관계에서 보다 정(情)이 강조되며 함께 취미 생활을 즐길 수 있는 인물로 형상화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