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 Code
Meaning and Analysis of Courtship & Marriage Narratives for Digital Archiving of Korean Narrative Songs
한국 서사민요 디지털 아카이빙을 위한 '구애·혼인' 서사의 분석과 의미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meaning and methods of analysis in courtship & marriage narratives songs using the analysed data as the base work for establishing songs using the analysed data as the base work for establishing the digital archive of Korean narrative songs. Initially, this paper presents some samples of the archiving data : types, narrative paragraphs, theme words and outlines of narratives analyzed from 386 versions of courtship & marriage narrative songs in The Comprehensive Collection of Korean Folklore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Korean narrative songs digital archive. Especially, these include specifications of theme words and sequences of narrative paragraphs to look into the syntagmatic and paradigmatic relationship aspects of narrative songs. This archiving method has the advantages of being able to suggest not only the general aspects of the narrative songs, but also the specific in theme words of narrative paragraphs, while the conventional archives are limited to type classification or title search. Therefore, this method overcomes disadvantages that the conventional archives cannot reveal the narrative characteristic or difference which each version has. Subsequently, this paper examines the gender differences, frequency of theme words and comparison of theme words in the related types and the meanings of the analysis examples to find the utility value of the digital archiving data of 'courtship & marriage' narrative song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main recipients of 'courtship and marriage' narrative songs are women, they deal with unusual and shocking events such as 'affairs' or 'death'. Women express their real sufferings and consciousness in the process of courtship and marriage through singing 'courtship & marriage' narrative songs. On the contrary, men mostly focus on the inadequate relationship between unmarried couples and reveal their enjoyment. It will be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this study to clarify the interacting aspects with other narrative genres beyond narrative songs. Therefore, more consistent research efforts are required for this clarification to be satisfactory obtained.
이 연구에서는 한국 서사민요를 대상으로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하기 위한 기반 작업으로, 서사민요 중 남녀 또는 부부 간의 애정이나 혼인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구애·혼인' 서사민요의 분석 방법을 제시하고 그 데이터를 활용한 세 가지 분석 사례와 의미를 고찰하였다. 이에 먼저 『한국구비문학대계』에서 추출한 '구애·혼인' 서사민요 386편의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유형, 서사단락, 주제어 추출 방법 및 결과의 개요를 제시하였다. 특히 서사민요의 통합적 관계 양상과 병렬적 관계 양상을 함께 파악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서사단락의 순차적 결합 양상 및 주제어의 세부 양상을 표기하였다. 이는 기존 아카이브가 유형분류나 제목 검색에 그치고 있어 각편의 서사적인 특징이나 각편별로 지니고 있는 차이를 드러내지 못한다는 단점을 극복하고 서사민요 유형의 전반적 양상에서부터 각편별 서사단락의 전개나 주제어의 세부 양상까지 아우를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다음으로 '구애·혼인' 서사민요의 디지털 아카이빙 데이터의 효용 가치를 찾아보기 위한 방법으로, 주제어의 성별 차이 및 빈도수, 유사 소재 유형의 주제어 비교 등을 중심으로 분석 사례를 제시하고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구애·혼인' 서사민요의 주 향유층은 여성이라는 점, '부정'이나 '죽음'과 같이 비일상적이고 충격적 사건을 주로 다룬다는 점, 남성이 주로 전승한 유형은 아내와 '외간남자와의 외도', 여자와의 만남을 위한 '중의 파계'와 같이 부적절한 남녀 관계 유형에 집중돼 있다는 점, 이들 노래들은 '구애·혼인' 과정에서 겪는 현실적 고난의 표현이라는 점 등을 밝혔다. 앞으로 이 연구 결과의 보완 작업을 지속적으로 시행함으로써, 서사민요 갈래를 넘어선 다른 서사 갈래와의 교섭 양상 등을 밝히는 데까지 확장해나갈 필요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