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n-Whitney U test

검색결과 834건 처리시간 0.024초

변칙 사례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반응 연구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ponses to Anomalous Data)

  • 강석진;신숙희;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52-260
    • /
    • 2002
  • 끓는점 개념에 관련된 변칙 사례를 제시했을 때 변칙 사례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유형을 알아보고 학습자의 인지적 수준(장의존독립성, 논리적 사고력)에 따른 인지 갈등 유발 정도 및 개념 변화를 조사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학생 137명을 대상으로 장의존독립성 검사, 논리적 사고력 검사, 선개념 검사, 변칙사례에 대한 반응 검사를 실시하였고, 초기 이론과 일치하는 선개념을 가진 90명 의 학생들만을 선택하였다. 과학 개념 학습 후 학생들의 개념 변화를 조사하였다. 변칙 사례에 대한 반응 유형은 거부, 재해석, 배제, 판단 불가, 신념 감소, 이론 변화 등 6가지였으나, 대부분의 반응 유형은 거부 (33%)와 이론 변화(39%)인 것으로 나타났다. Mann-Whitney U 검증결과, 학습자가 장독립작일수록, 논리적 사고력이 높을수록 변칙 사례에 의해 인지 갈등이 많이 유발되며 개념 변화를 효과적으로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전학급동료교수학습이 학업성취, 셀프리더십 및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lasswide peer tutoring on academic achievement, self-leadership and interpersonal ability of nursing students)

  • 정인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55-62
    • /
    • 2018
  • 본 연구는 10회의 전학급동료교수학습이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와 셀프리더십 및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 확인을 위한 원시실험연구로, 수집된 자료를 SPSS/WIN 19.0으로 Mann-Whitney U와 Kruskal-Wallis 검정 결과, 변수의 평균 순위값의 영향요인은 입학동기였다. Wilcoxon Signed Ranked Test 결과, 실험처치 전후 전학급동료교수학습은 학업성취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고(p<.001), 셀프리더십의 하위영역 중 인지적 전략과, 대인관계능력의 하위영역 중 관계촉진의 평균순위값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20; p=.040), 셀프리더십과 대인관계능력 간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296, p=.041). 본 연구 결과 전학급동료교수학습은 간호대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켰고, 셀프리더십과 대인관계능력에 효과가 있는 중재로 볼 수 있으나, 대상자 수를 확대하고, 대조군을 설정한 유사실험연구로 실험결과를 재확인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그릿향상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그릿과 진로불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it Improvement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on Grit and Career Anxiety of College Students)

  • 김정은;조여진;정정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2호
    • /
    • pp.157-16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릿향상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대학생들의 그릿과 진로불안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생 24명이며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2021년 9월 28일부터 2021년 11월 16일까지 주 1회씩 총 8회기 실시되었다. 연구도구는 그릿과 진로불안척도로 구성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맨 휘트니 유(Mann-Whitney U)검정을 실시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확보하였고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rank test)으로 프로그램 전후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실험집단의 대상이 통제집단에 비해 그릿이 높아졌으며 진로불안은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당뇨병 노인의 건강행위 실천과 응급실 내원 간의 관련성 (The Association between Personal Health Behaviors and Emergency Room Visit among Elderly Patients with Diabetes)

  • 김수현;임예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595-606
    • /
    • 2021
  • 본 연구는 당뇨병을 진단받은 65세 이상 노인들의 인구학적 및 질병 특성, 건강행위 실천과 질병으로 인한 응급실 내원 간의 관련성에 대해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014~2017년도의 한국의료패널 연간 데이터에 등록된 대상자 중에서 당뇨병을 진단받은 65세 이상 노인 총 95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6.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Mann-Whitney U test, 카이제곱 분석, 일변량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당뇨병을 진단받은 노인의 중등도 신체활동과 걷기 실천 일수가 적을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장애로 인한 활동제한이 있을수록, 우울증이 있을수록, 동반 만성질환 수가 많을수록 응급실 내원의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당뇨병을 진단받은 노인들의 응급실 내원을 감소시키기 위해 지속적인 신체활동의 실천을 적극 격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개 지역 공공병원 간호사의 공공봉사동기, 병원조직문화유형, 직업존중감 및 이직의도간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Public Service Motivation, Hospital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Job-esteem, and Turnover Intentions of Public Hospital Nurses)

  • 최승미;박선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619-629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병원 간호사의 공공서비스동기, 병원조직문화유형, 직업존중감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의 4개 공공병원(이천, 안성, 수원, 파주) 간호사 124명을 대상으로 횡단적 단면연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 통계, t-검정, ANOVA 및 Pearson 상관 계수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데이터가 정규분포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Mann-Whitney U 검정 및 Kruskal-Wallis 검정, Bonferroni 사후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이직의도는 공공봉사동기(r=-.30, p<.001), 친화적 조직문화(r=-.28, p=.002), 진취적 조직문화(r=-.34, p<.001), 과업적 조직문화(r=-.30, p=.001)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공공병원 간호사의 이직 의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공공봉사동기를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의한 도시부 신호교차로 유턴 사고모형 개발 (Development of the U-turn Accident Model at Signalized Intersections in Urban Areas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 강종호;김경환;김성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4호
    • /
    • pp.1279-1287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부 신호교차로에서의 유턴 사고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창원시 3지, 4지 신호교차로의 유턴 교통사고 자료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의해 사고예측모형을 추정하였다. 먼저 유턴 운영에 의한 교통사고 발생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하기 위해 맨-위트니 U검정으로 평균차이를 검정하였다. 분석 결과 4지 신호교차로의 사고유형별 구분에 있어서는 추돌사고를 제외한 유형에서, 사고위치별에 있어서는 유출부 사고가 유턴구역이 설치된 집단의 사고발생건수가 더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통사고건수에 대한 반응척도를 이항으로 분류하고 사고예측모형을 추정한 결과 상충교통량, 대향차로수와 같은 독립변수가 공통적인 영향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3지 신호교차로에서는 종단 경사, 4지 신호교차로에서는 횡단보도수가 공통영향 이외에 특정변수로 도출되었다. 도시부 신호교차로에서 유턴 운영을 위해서는 유턴 구역 대향차로수가 사고무발생 교차로의 평균차로수인 3.5개 차로 이상이며, 접근부의 종단선형이 상향경사일 경우에 설치를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제안된다. 또한 유턴 차량의 많은 부분이 횡단보도 시간을 이용하여 회전하는 점을 고려하여 유턴 시기에 대한 지시표지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대학생의 성 태도, 성적 자율성 및 성희롱 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xual Attitude, Autonomy and Harassment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 김순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223-231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 태도, 성적 자율성 및 성희롱 경험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성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D시에 소재한 대학생 236명을 대상으로 2015년 9월 3일부터 8일까지 자가보고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Mann-whitney U-test, Kruskal-walli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성 태도는 평균 4.01점, 성적 자율성은 평균 1.95점, 성희롱 경험은 평균 0.95점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성 태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는 성별(U=2124.50, p=.000)과 학과(U=5741.00, p=.026)로 나타났다. 성적 자율성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는 성별(U=2529.50, p=.001)과 대인관계 만족도($X^2=9.46$, p=.009)였으며, 성희롱 경험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는 학과(U=5604.00, p=.007)였다. 대상자의 성 태도는 성적 자율성(r=.517, p<.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대학생의 성 태도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성적 자율성(${\beta}=.46$, p<.001)이었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대학생의 성 태도와 성적 자율성을 증진하고 성희롱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다양한 상황의 성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실시간 Social Distance 추적에 의한 감성 상호작용 인식 기술 개발 (Recognition of Emotion Interaction by Measuring Social Distance in Real Time)

  • 이현우;우진철;조아영;조영호;황민철
    • 감성과학
    • /
    • 제20권3호
    • /
    • pp.89-96
    • /
    • 2017
  • 본 연구는 비콘 기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Social Distance로부터 감성 상호작용을 인식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였다. 인식된 상호작용은 Photoplethysmogram(PPG)로부터 추정된 심혈관 동시성과 비교하여 평가되었다. 상호작용은 Social Distance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었을 경우 인식되었으며, 심혈관 동시성은 PPG로부터 계산된 Beats Per Minute(BPM) 간의 상관분석을 통해 추정되었다. Social Distance로부터 유효한 상호작용을 인식하기 위한 유지시간을 결정하기 위해 상호작용 대상일 때와 아닐 때의 심혈관 동시성에 대해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다. 15개 집단(집단 당 2명)이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은 일상생활에서 비콘 및 PPG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도록 요청받았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인식한 상호작용 대상은 더 높은 심혈관 동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효 상호작용 시간은 통계적 유의차를 보이는 11초로 결정되었다(p=.045). 결과적으로 실 공간에서의 사회관계망에 대한 실시간 측정과 평가를 할 가능성을 높였다.

A comparative study on iPhone 6 Plus and Samsung Galaxy Note 4 from Vietnamese consumer perception

  • Le, Huong Van;Park, Hyun Woo
    • Asia Pacific Journal of Business Review
    • /
    • 제2권1호
    • /
    • pp.53-68
    • /
    • 2017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product innovation aspect in two comparable smartphones and partly illustrate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Vietnamese consumers of two smartphone lines of Apple - iPhone 6 Plus and Samsung - Samsung Galaxy Note 4. The research tries to clarify which innovative features in two smartphones are more preferable to a group of consumer in Vietnam. The reason why the research studies iPhone 6 Plus and Samsung Galaxy Note 4 when iPhone 7 and Samsung Galaxy Note 7 have just released is that passing more than one year is enough time for consumers to totally experience both 2 smartphone lines to give the most precise and truthful evaluation for their preferences. Moreover, iPhone 6 Plus launch signed one of the most historical memorable landmark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iPhone products when it introduced larger-screen iPhone model for the first time. It is such an important change of iPhone which could open a new continuing successful era for Apple and iPhone. The first phase of this study involves analyzing strengths and weaknesses existed considering the opportunities and threats from the competitive market, then a competitive advantage analysis is implemented for each product. The second phase conducts a survey with Vietnamese participants from different backgrounds, by which a Mann-Whitney U test will be executed to check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opinions in different respondent groups by age and by gender to several features of two smartphones. By conducting the survey, some interesting facts revealed with the winner seemingly falling into iPhone 6 Plus. However, it still reveals som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respondent groups by age and by gender to both iPhone 6 Plus and Samsung Galaxy Note 4 in several comparing features.

보행자전용도로의 이용목적에 따른 만족요인 연구 (A Study on Satisfaction Factors of Pedestrian Road in Residence District according to Usage Purpose)

  • 염성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9호
    • /
    • pp.1205-1212
    • /
    • 2011
  • As serving people's activities, pedestrian road systems are basic and necessary facilities in urban structure. To provide and utilize these pedestrian road systems in residential area would enhance urban environment as well as quality of life. For this reason, pedestrian road should be planned by consideration of people's activity in residential area. Evaluation of existing pedestrian road should be also oriented how people use it and what people do in it. This study amis to investigate functions of pedestrian road system throughout evaluation of user's satisfaction in order to improve better pedestrian road system in residential area.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components of factors affecting on user's satisfaction, and to find the relationship among affecting factors. For this study, the on-site questionnaire method was applied to 267 individuals who were collected as the study areas where locate Toyogaoka and Kaidori, Japan. The collected data were clarified exploratory factors, and analyzed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and satisfaction by applying quantitative statistical techniques for the mapping investigation, Mann-Whitney u-test, and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s. The pedestrian road system is more preferred than surroundings of vehicle roads in residential district area where maintains pedestrian road as open space. In addition, satisfactions of the pedestrian road for each purpose were highly evaluated, because of conformability and convenience for usage. Consequently, the pedestrian road which is secure and greening as an open space is well carried out for the living circulation of residents. It would suggest that pedestrian road have to be managed and planned not a function of circulation but an open space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