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kyeong River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3초

만경강 유역의 비점오염물질 유출모의를 통한 새만금 만 유입부의 수질 예측 (Prediction of Water Quality at the Inlet of Saemangeum Bay by using Non-point Sources Runoff Simulation in the Mankyeong River Watershed)

  • 류범수;이채영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61-770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orecast the flow rate and water quality at the inlet of the Saemangeum bay in Korea using the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 and the WASP(Water Analysis Simulation Program), and to analyze the impacts of pollutant loading from non-point source on the water quality of the bay. The calibration and validation of flow rate and water quality were performed using those from two monitoring points in the Mankyeong river administrated by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as part of the national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When the river flow rate was calibrated and validated using the rainfall intensities during 2011-2012, $R^2$ (i.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as ranged from 0.91 to 0.96. For water qualities, it was shown that $R^2$ of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was ranged from 0.56 to 0.86, and $R^2$ of T-N(Total Nitrogen) was from 0.64 to 0.75, and $R^2$ of T-P(Total Phosphorus) was from 0.67 to 0.89. The integrated modeling system showed significant advances in the accuracy to estimate the water quality. Finally, further simulations showed that annual average flow of the river running into the bay was estimated to be $1.439{\times}10^9m^3/year$. The discharged load of BOD, T-N, and T-P into the bay were anticipated to be 618.7 ton/year, 331.5 ton/year, and 40.4 ton/year, respectively.

2006-2007 기간 중 신생 새만금호 '만경대교' 정점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 급변에 대한 연구 (Drastic Change of Phytoplankton Community at the Station 'Mankyeong Bridge' of the New Saemankeum Lake during 2006-2007)

  • 장건강;박종우;박장호;하나;이원호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1권1호
    • /
    • pp.71-76
    • /
    • 2009
  • Drastic changes in the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community of the new Saemankeum Lakeduring the first decade foll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Saemankeum Sea Wall has been considered to be unavoidable. Input of eutrophicated water through the Mankyeong River and Dongjin River might produce more direct effects on the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community, which lead us to launch a long-term semi-weekly investigation at the "Mankyeong Bridge" monitoring point to resolve its short-term effect as well as long-term stabilization of the ecosystem in the new Saemankeum Lake. During 15 months starting from June 2006, the water temperature varied in accordance with the typical seasonal variations in temperate on the coasts, and no significant daily variations evoked by tidal cycle could be detected. However, there was an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seasonal precipitation and salinity even though the range in annual variation was drastically reduced right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Saemankeum Sea Wall. Species richness in the phytoplankton community was also reduced due to the narrowed annual range of salinity, which would eliminate the mid-high salinity species from the Mankyeong Bridge monitoring point. Similarly, species diversity was decreased with increased dominance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after the construction. Between the two summer seasons during the present study, species diversity was higher in 2007 than in 2006, which might indicate the early stage of a gradual stabilization in the ecosystem including the phytoplankton community at the monitoring station. The phytoplankton community thus needs to be monitored on a long-term basis to identify indirect signals that can be used to assess the stability of the ecosystem in the young Saemankeum Lake.

만경강·동진강 유역의 토양, 현미, 저질토중의 중금속 함량 및 분포 (Heavy Metal Contamination in Soil, Rice, and Sediment from ManKyeong and DongJin River Area)

  • 권용훈;성금수;황갑수;장재철
    • 환경영향평가
    • /
    • 제9권2호
    • /
    • pp.143-153
    • /
    • 200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heavy metal contents and distribution in soil, sediment, and rice from the downstream area of ManKyeong and DongJin River. Of the sites on Mankyeong river area, site M-1(Mokchon bridge) showed the highest average contents of Cd, Cr and Pb in paddy soil. In DongJin river area, site D-3(Munpo) and D-4(Gerjeonri) showed relatively high level of average contents of Cr, Pb and Zn in paddy soil. The average contents of heavy metals in brown rice from ManKyeong river area were 0.10mg/kg for Cd, 0.99mg/kg for Cr, 2.07mg/kg for Pb, 4.44mg/kg for Cu and 32.03mg/kg for Zn while those in brown rice from DongJin river area were 0.14mg/kg for Cd, 0.74mg/kg for Cr, 1.78mg/kg for Pb, 4.57mg/kg for Cu and 33.60mg/kg for Zn. Zn showed the highest transportation-rate from paddy soil to brown rice while Pb showed the lowest. From the results of heavy metal analysis in sediments, the average contents of Cd, Cr, Pb and Cu were generally high in site M-5(Euonri) and D-4(Gerjeonri), the most downstream sites in Mankyeong river and DongJin river, respectively.

  • PDF

만경강 수질자료 특성분석 (Property Analysis of the Water Quality in Mankyeong River)

  • 김원장;조국현;엄명철;이광야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2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437-440
    • /
    • 2002
  • By the explosive increase of popul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e security of water resources is required, and water resource pollution problem is emerging as a serious social issue. For the ongoing Saemankeum project, lots of efforts are being put together to manage the water quality of the Saemankeum above a certain level, and it is sure that water quality management problem of main inflows from Mankyung River and Dongjin River is very important. Based upon the water quality data of Mankyung River this report examines its correlative characteristics by water quality sampling point factors and the water pollution resource factors, and subjects to provide elementary data for efficient water quality management of Mankyung River.

  • PDF

관개용수 공급체계 변경을 통한 하천의 수질개선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the River through Reformation of Irrigation Water Supply Systems)

  • 이광야;김해도;이종남;박종훈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40-545
    • /
    • 2006
  •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assess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resulted from the rearrangement of the irrigation water supply systems at Mankyeong River and Ansung Chun basin. There is a mixed type of watershed composed of urban and rural areas in the region. The water intake facilities for agricultural use such as reservoir, weir and pumping station are generally located at upstream river where the water quality maintains relatively clean. However, this study focuses on moving the water intake to downstream and rearranging the irrigation water supply system, then investigating how effective they are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the river. When the water intake is moved downstream, the stream flow is increased as much as the amount of irrigation water that is to be taken upstream. The augmented flow which is frequently referred to as environmental flow can function as dilution water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polluted water that is originated from the wastewater in tributaries.

  • PDF

전주시 하천의 BOD, COD,총질소, 총인에 대한 수질현황 및 오염원 (The State and Sources of Contamination with BOD, COD, T-N and T-P in Stream Within Chonju City)

  • 오창환;이지선;김강주;황갑수
    • 자원환경지질
    • /
    • 제35권1호
    • /
    • pp.43-54
    • /
    • 2002
  • 전주시내에는 전주천과 삼천천이 흐르고 있으며 그 주변에는 여러 오염원이 분포하고 있다. 삼천천은 고사평 쓰레기 매립장에서 전주천과 합류하고 전주천은 최종적으로 만경강에 합류된댜. 전주천과 삼천천은 BOD, COD, 총질소, 총인에 대해서 오염되어 있으녀 전반적으로 상류에서 하류로 가면서 오염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전주천 하류에서 COD, 총질소, 총인 양은 호소기준 5급수 상한값의 수배에 해당된다. 이는 전주식 하수가 BOD, COD, 총질소, 총인의 주 오염원임을 지시한다. 고사평쓰레기 매립장은 BOD와 COD의 오염원일 가능성이 높다, 촟ㅇ질소는 상류부터 상댱히 오염되어 있기 때문에 농업활동에 의한 오염 영햐도 큰 것으로 생각된다. 전주천은 만경강의 BOD, COD, 총질소, 총인 오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주천 외에도 전주 하류의 만경강 지류들은 BOD,COD, 총질소, 총인에 의해 만경가응ㄹ 오염시키고 있으며 특히 익산천은 주 오염원이다. 199년 8월의 오염부하량을 실제 유량과 수질 분석치를 이용해 계산해 본 결과 전주천 유입 이전의 만경강인 고산천으로부터 유입되는BOD(0.49 ton/day), COD(0.86 ton/day), 총질소(1.61 ton/day), 총인(0.01 ton/day)에 비해 전주천을 통하여 유입되는 BOD, COD, 총질소, 총인이 각각 약 5배, 7배, 7배, 36배 가량 높았으며 익산천을 통하여 유입되는 BOD, COD,총질소, 총인이 각각 약 5배, 7배, 7배, 36배 가량 높았으며 익산천을 통하여 유입되는 BOD, COD, 총질소, 총인은 각각 약 13배, 10배, 10배, 147배 가량 높았다.

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의 골격학적 연구 (A Osteology Study of Coreoleuciscus splendidus (Cypriniformes; Cyprinidae), Korea)

  • 박종성;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53-262
    • /
    • 2012
  • 섬진강과 만경강에 서식하는 쉬리의 전골격계를 기재하고 도해하였다. 본 종은 신장된 안전골, 8개의 뒷지느러미 근담기골 수, 제1기새골의 호리병박 같은 모양, 인두치의 2가지 형태, 삽입골에 측돌기가 없고 제4늑골의 폭이 넓은 형태를 가지는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사출골의 수와 내측돌기와 외측돌기의 길이는 개체마다 변이가 있었다. 이러한 특징은 두 집단 모두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미골의 상미골에 모양이 두가지 형태를 가지고 있었는데 오직 만경강 집단에서만 확인되었다.

만경강 상류 수질 및 식생분포와 토양환경에 따른 하천식생의 종 다양성 (Species Diversity of Riparian Vegetation by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Water Quality in the Upper Stream of Mankyeong River)

  • 이경보;김창환;이덕배;김종구;박찬원;나승용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00-110
    • /
    • 2003
  • 만경강 상류유역 수질 및 하천식생 군락 변화를 조사 분석하여 수질에 따른 하천식생의 종 다양성 및 토양요인에 따른 종 다양성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2001년 6월부터 2002년 9월까지 만경강 상류유역 5개 조사지점을 선정한 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질중 T-N의 농도는 전주천과 삼천에서 높았으며, 겨울철에 전주천에서 7.45 mg/L로 가장 높았다. 무기태 질소 성분별 함량은 $NH_4-N$ 경우 고산천과 소양천 유역은 $0.01{\sim}0.06\;mg/L$ 범위로 계절별 커다란 차이가 없는 낮은 농도를 나타냈으나, 생활하수가 유입되는 전주천과 삼천에서는 $0.77{\sim}3.01\;mg/L$로 계절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T-P의 농도는 계절별로 비슷하였으나 전주천에서 겨울철에 0.89 mg/L로 가장 높았다. 계절별 BOD의 농도는 고산천과 소양천 유역에서 $0.92{\sim}2.14\;mg/L$를 나타내었으나 생활하수가 유입되는 유역에서는 $2.001{\sim}7.65\;mg/L$ 범위를 보였다. $SO_4^{2-}$의 농도는 농업용수 수질기준인 50 mg/L를 초과하는 지역은 없었으며 소양천에서 다소 높았다. 만경강 지류인 고산천에서 조사된 식물은 59과 129속 165종 20변종으로 총 185종류가 조사되었으며, 소양천에서 조사된 식물은 53과 111속 141종 19변종으로 총 160종이었고, 전주천 하류에서 조사된 식물은 37과 68속 86종 15변종으로 총 103종이었다. 그리고 삼천에서 조사된 식물은 32과 92속 110종 18변종으로 총 125종류가 조사되었으며, 만경강 본류인 하리유역에서 조사된 식물은 73과 134속 218종 33변종으로 총 251종류가 조사되었는데 식물의 생활형에 따라 분류하면 침수식물이 13종, 부엽식물이 5종, 부유식물이 2종, 추수식물이 26종, 수생식물이 46종, 습생식물이 47종으로 조사지점중 이 지역의 식생이 가장 다양하였다.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따라 분류된 하천식생의 식물군락은 10개의 수생식물 군락과 2개의 습생 및 수변식물 군락으로 대별되어졌다. 이들 군락들에 대한4종류(종수, 종의 풍부도지 수, 종의 이질성지수, 종의 균등도지수)의 종 다양성과 토양요인(pH, EC,유기물 함량, 전질소, 인산)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pH가 높을수록 4종류의 종 다양성 지수는 높아 졌으며, EC는 값이 높을수록 종수(SN), 종의 풍부도지수(SR), 종의 이질성지수(H'), 종의 균등도지수(J')가 낮아 졌다. 또한 유기물 함량(OM)과 전질소(T-N)의 경우도 4종류의 다양성지수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인산($P_2O_5$)은 4종류의 다양성 지수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전주시 하천의 중금속과 음이온에 대한 수질현황 및 오염원 (The State and Sources of Contamination with Heavy Metals and Anion in Stream Within Chonju City)

  • 오창환;이지선;김강주;정성석;황갑수;이영엽
    • 자원환경지질
    • /
    • 제34권1호
    • /
    • pp.89-104
    • /
    • 2001
  • 전주시내에는 전주천과 삼천천이 흐르고 있으며 그 주변에는 여러 오염원이 분포하고 있다. 삼천천은 고사평 쓰레기 매립장에서 전주천과 합류하고 전주천은 최종적으로 만경강에 합류된다. 본 연구에서는 중금속과 음이온에 대한 전주천과 삼천천의 오염현황과 오염원 그리고 이들 하천이 만경강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전주천과 삼천천에 대한 연구를 위한 시료채취지점을 선정하기 위하여 하천 구간을 오염정도가 다를 것으로 예상되는 여러 구간으로 나누고 각 구간에서 난수표를 이용하여 대표적인 시료를 채취하는 층화랜덤추출 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시료 채취 당시 전주천과 삼천천은 중금속이나 음이온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음용수 기준치 이상으로 오염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중금속과 음이온은 현재 하천으로 계속 공급되고 있으며 가뭄 동안에는 하천을 오염시킬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 두 쓰레기 매립장은 Fe, Mn, Al, Zn, Cl ̄, SO$_4$$^{2-}$ , NO$^2$-N, NH$_3$-N, 그리고 미처리된 하수는 Al, Zn, Mn, Cl ̄, SO$_4$$^{2-}$ , NH$_3$-N, PO$_4$$^{3-}$ 의 오염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주천은 Fe, Mn, $Cl^{-}$, $SO_{4}^{2-}S$ 성분에 대한 만경강 오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