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lodorous substance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초

오존($O_3$)을 이용한 악취물질 처리시설의 적용사례 연구 (A Study on Installation of Treatment Equipment of Malodorous Substances using the $O_3$)

  • 김석택
    • 환경위생공학
    • /
    • 제15권3호
    • /
    • pp.70-74
    • /
    • 2000
  • The technology of malodorous substances treatment was classified physical separation and chemical destruc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malodorous substances treatment with the change of operating conditions from the ozone generator.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Removal efficiency by additive ozone rate was measured $NH_3$:95%(ozone additive rate : 2), $H_2S$ : 97%(ozone additive rate:4), $CH_3SH$ : 96%(ozone additive rate : 3), $(CH_3)_2S_2$ : 97%(ozone additive rate:5), $(CH_3)_3N$ : 95%(ozone additive rate : 1), $CH_3CHO$ : 95%(ozone additive rate : 2), $C_6H_5CHCH_2$ : 95%(ozone additive rate : 2).

  • PDF

Ceramic 분말의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 맹장 및 배설물중 병원성 미생물의 수, 배설물충의 악취물질 및 난황중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Ceramic Powder on Laying Performance, Pathogenic Bacterial Count in Caecal Content and Excreta, Malodorous Substances in Excreta and Fatty Acid composition or Egg Yolk in Laying Hens)

  • 손장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61-268
    • /
    • 2005
  • 본 연구는 Ceramic분말의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 맹장 및 배설물중 병원성 미생물(E. coli, salmolella)의 수, 배설물 중의 악취물질$(NH_3,\;H_2S,\;VFA)$ 및 난황중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총 360수의 34주령의 산란계를 120마리씩 3처리구로 구분하여서 Ceramic 분말 $0.0\%$ (대조구), $0.4\%$$0.8\%$를 첨가한 사료로 6주 동안의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결론적으로 34에서 40주령의 산란계 사료에 $0.4\%$의 Ceramics 분말의 첨가는 생산성 향상, 장관내 E. coli 및 Salmonella 수가 감소되어 배설물 중의 $NH_3$ 및 VFA의 발생량 감소 및 난황중의 지방산 조성을 개선시킬 가능성이 인정되었다.

돈사환경 개선을 위한 생육단계별 돈사내 악취물질 농도 및 유해가스의 1일 변화추세 분석 (Analysis of Changing Pattern of Noxious Gas Levels with Malodorous Substance Concentrations in Individual Stage of Pig Pens for 24 hrs to Improve Piggery Environment)

  • 유원균;김초롱;이명규;김동균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5-34
    • /
    • 2012
  • 1. 돈사의 유형별 시간대에 따른 공기품질의 변화패턴을 알아본 결과 돈사 실내의 온 습도, 먼지농도, 실내기체의 조성 등이 주간과 야간의 편차가 크게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돈사는 주간시간대인 12:00경의 실내 환경조건이 가장 양호하였고 00:00~06:00 사이의 공기조성이 가장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2. 돈사의 유형별 공기품질이 양호한 곳은 임신돈사와 분만돈사였으며, 불량한 돈사는 육성돈사와 비육돈사 이었다. 공기의 품질이 양호하였던 임신돈사의 경우, 슬러리 형태로서 분과 뇨의 분리가 잘 이루어진 결과였으며, 분만돈사의 경우는 돈사당 사육두수에 비하여 포유자돈의 배설량이 적었기 때문이었다. 반면, 공기품질이 불량한 육성돈사 및 비육돈사는 분뇨배설량이 많을 뿐 아니라 분뇨의 적체시간이 긴 구조적 특성이 작용한 결과였다. 또한 분만돈사의 경우, 심야시간대인 00:00 부터 06:00 사이에 일산화탄소와 이산화탄소의 함량이 크게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는데 이것은 이 시간대의 공기품질이 자돈폐사율의 증가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3. 그러므로 돈사의 환경을 개선하려면, 실내 악취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시설구조, 적합한 사육밀도의 조절 및 자동감지 환기 시설 등이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하겠다.

매립지 악취가 주변 대기질에 미치는 영향 예측 - 청주청원 광역매립지 사례연구 - (Prediction of Malodorous Landfill Substances Effect on Ambient Air Quality - A Case Study on Cheongju·Cheongwon Metropolitan Landfill -)

  • 이상우
    • 환경영향평가
    • /
    • 제21권5호
    • /
    • pp.695-70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ncentration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malodour substances generated from landfill site in C city. Also, it is tried to predict distribution of concentration level using ISCST3 model around landfill site. From the results, it can be confirmed that twelfth-class malodour substances such as ammonia, methyl mercaptan, hydrogen sulfide, dimethyl sulfate, dimethyl disulfate, toluene, acetaldehyde, styrene, propionaldehyde, butylaldehyde, n-Valeraldehyde, xylene were generated from landfill site. The levels of the malodour substances were lower than that of permeable concentration regulated by odor control law in Korea.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malodour substances including methyl mercaptan, hydrogen sulfide, acetaldehyde, and propionaldehyde exceeded threshold limit value(TLV). It was seemed that these substances caused the problem of offensive odor around circumstance of landfill. The concentration of malodour substances was higher in slant than in upper part of landfill. The concentrations of malodour substances measured at night time were shown higher level than those at night time because atmospheric condition was stable at night time. It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 of malodour substances were higher in spring. The results of atmospheric diffusion model predicted that tolerance limit level of hydrogen sulfide and methyl mercaptan was detected within nearly 5km from the boundary of landfill.

검지관을 이용한 축산 악취 간이 측정방법 연구 (Simple Measurement of Livestock Foul Smells by Gas Detector Tube)

  • 정재칠;안민호;정종원;최희선;김태진
    • KSBB Journal
    • /
    • 제24권5호
    • /
    • pp.420-424
    • /
    • 2009
  • 악취방지법의 시행으로 악취의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축산 시설에서 발생하는 악취의 주요 원인 물질인 암모니아와 황화수소를 신속하고 간단한 방법으로 검지할 수 있는 방법으로 화학적 방법을 이용한 가스 검지관을 개발하였다. 악취물질의 농도를 변색길리를 통하여 알 수 있도록 발색반응 메카니즘을 규명하고 이를 정량화 하여 유리관에 충전하여 암모니아와 황화수소 검지관을 제작하였다. 암모니아 검지관은 선형성 및 재현성 평가에서 99.6%의 선형성을 나타내었으며, 검지환경에 따라서 민감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암모니아 가스에 대한 동일한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황화수소 검지관은 99.7%의 선형성을 나타내었으며, 동일한 시료를 이용한 반복 평가에서 95% 이상의 재현성을 나타내었다.

사출성형 공정에서 유발되는 냄새의 후각 감성 특성 (Olfactory Sensitivity Characteristics of Odors from Injection Molding Processing)

  • 류영재;김보성;이예현;곽승현;서상혁;류태범;민병찬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67-71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olfactory sensitivity of odors from injection molding processing. To do this,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an injection molding factory, and participants were exposed to the environment where odor-substances (Formaldehyde,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Xylene, Styrene) exist. In addition, we used the subjective scale using semantic adjectives as an olfactory sensitivity. As a result, the assessment structure of olfactory sensitivity was composed of eight factors (irritant, thermal, tense, unique, like-dislike, active, stable, masculine), and the main factor which was irritant characteristics explained 20% of the total olfactory sensibilit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odors from injection molding processing would cause more negative emotional responses than the flavor which is mainly used in olfactory sensitivity. This study, as a basic study of the improvement in a factory environment for the efficiency of work, has limits in that it was conducted to the extent of identifying the olfactory sensitivity structure of those who were at a laboratory and who were exposed to the environment of odor substance induced in the injection molding processing. Therefore, for the method of removing malodorous substance, the effect of materials which can neutralize it, and the comparison of a direct performance in the environment where negative sensitivity structure exists, a series of studies which aim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injection molding factories, such as performance assessment in the environment of a factory and an office need to be conducted. It is expected that when these studies are put together, the improvement guidelines will be provided as a type that can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work in the factory environment where injection molding processing is done.

BIO-CLOD를 이용한 소화슬러지의 악취저감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Odor Removal of Digested sludge using BIO-CLOD)

  • 성일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665-867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장의 소화슬러지(digest sludge)를 대상으로 악취제거 및 유기물제거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BIO-CLOD를 넣은 반응조와 넣지 않은 반응조에 대하여 24시간, 48시간, 72시간 후 ammonia, methyl mercaptan(MMC) 및 $H_2S$에 대해서 측정하였다. BIO-CLOD를 침적시킨 반응조(BIO-CLOD)에서 24시간 내에 ammonia는 48%인 것에 비해 $H_2S$와 MMC는 98%이상의 높은 제거율을 보인 반면에 BIO-CLOD를 침적시키지 않은 반응조(Non BIO-CLOD)에서는 24시간 내에 ammonia가 45%, $H_2S$는 71%, MMC는 84%로서 악취제거 가능성을 보였다. 암모니아 농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면서 질산성질소농도는 증가하는 질산화 현상을 보였으며, 소화슬러지내의 유황계 악취성분들이 호기성 미생물들에 의해 산화 분해되어 용액 중의 황산염농도를 증가시키는 데는 BIO-CLOD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황산염농도증가와 대기중의 $H_2S$ 제거율간에는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수 있었다. 반응조 유출수에서 유기물의 감소는 짧은 시간 내에서는 BIO-CLOD가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HRT 12시간과 HRT 24시간으로 운전하였을 때 경제적인 면에서 HRT 12시간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