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lodorous VOC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4초

하수관거 및 토구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악취 특성 (Odor Characteristics and Concentration of Malodorous Volatile Organic Compounds Emitted from a Sewer and Its Outlet)

  • 박상진;권수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457-466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emitted from sewerage facilities such as a sanitary sewers, outlets, and catch basins. In addition, the dominant malodorous VOCs among the compounds in this study were studied. Methods: Waste gas samples were collected at 27 points in a sanitary sewer in commercial and residental areas. The concentrations of seven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cluding benzene and toluene, in the sample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 mass spectrophotometer (GC/MS). Odor concentrations were estimated using the concentration data of the VOCs and each compound's threshold limit value. Results: As a result, it appeared that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total observed data for acetaldehyde was 15.98 ppb and benzene 1.87 ppb, toluene 82.31 ppb, ethyl benzene 63.12 ppb, m+p-xylene 15.66 ppb, oxylene 18.73 ppb, and styrene 4.39 ppb. VOC concentrations in the commercial area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residential area. VOC concentrations of waste gas emitted from sewer lines was also higher than those at the outlet and in the catch basins. It was estimated that the main malodorous VOC among the seven VOCs was acetaldehyde. Conclusions: As there is little data on VOC concentrations inside sewer facilities in Korea, these data will be helpful for estimating impact assessment of VOCs and establishing a counter-plan for the abatement of VOCs from sewer facilities in the future.

악취성 VOCs 제거를 위한 전해 산화제 OCl-의 생산 최적화 (Optimization of Electrolytic Oxidant OCl- Production for Malodorous VOCs Removal)

  • 양우영;이태호;류희욱
    • 청정기술
    • /
    • 제27권2호
    • /
    • pp.152-159
    • /
    • 2021
  • 다양한 환경문제를 일으키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은 산업 지대 및 도심의 실내외에서 다양하게 발생한다. 악취성 VOCs는 심미적 불쾌함과 더불어 인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기존에 악취성 VOCs를 저감하는 방식에 비하여, 전기 분해를 통해 생산된 산화제를 이용한 수세정 방식은 오염 물질 저감과 동시에 산화제의 재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염소계 산화제인 OCl-을 생산하기 위한 최적 조건을 연구하였다. 산화 및 환원 전극의 종류와 전해질의 종류, 전해질의 농도 및 전류 밀도를 변화시켰다. 산화 전극은 Ti/IrO2, 환원 전극은 Ti을 사용하였을 때 OCl- 생산이 가장 우수하고 안정적이었다. 전해질의 OCl- 생산 능력은 KCl과 NaCl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경제적이고 쉽게 구할 수 있는 NaCl이 최적이라고 판단하였다. OCl- 생산 속도가 우수하고 농도가 가장 높게 생산된 NaCl 농도 및 전류 밀도 조건은 0.75 M NaCl, 0.03 A cm-2이었다. 하지만 전력 비용을 고려했을 때 본 실험에서는 1.00 M NaCl, 0.01 A cm-2의 조건의 OCl- 생산이 가장 효율적이었다. 실제 현장 적용시 오염물질의 농도 및 특성에 따라서 전류밀도를 조절하여 OCl-을 생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직물의 β-cyclodextrin 가공에 따른 휘발성 유기성분의 흡착과 제거 (Adsorption and Removal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from Fabrics with β-Cyclodextrin Finish)

  • 정혜원;황나원;김주연;신승엽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13-123
    • /
    • 2013
  • Clothes that retain and emanate body odor feel uncomfortable and unclean; subsequently, the adsorption, desorption and removal amounts of malodorous compounds from fabrics with different polarities were examined. 1-Octen-3-one, octanal and isovaleric acid, which are important malodor compounds from the body, were used as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Samples were prepared with unfinished and ${\beta}$-CD finished cotton, nylon and PET fabrics. The amounts of VOCs retained on the fabrics were measured using headspace GC-MS; in addition, the odor intensity of the samples were evaluated by 10 trained panelists. The amounts adsorbed were estimated by weight gain; however, moisture was found to have a larger effect on the increase in weight than VOCs. The polarity of the VOCs decreased in the order of isovaleric acid, octanal and 1-octen-3-one. Despite the exceptionally large amounts of octanal adsorbed on the nylon sample, the amounts of malodorous compounds adsorbed on fabrics increased with the decreasing VOC molecular weight. The unfinished PET sample adsorbed more VOCs than the unfinished-fabric samples. The odor intensity was mostly weaker in the ${\beta}$-CD finished fabrics than in the unfinished fabrics. The odor intensity of the ${\beta}$-CD finished fabrics was lower than unfinished fabrics. The amount of VOCs that remained on the soiled fabric samples after storing in air for 24 hrs decreased with the increasing VOC vapor pressure. Most VOCs were removed by washing; however, more VOCs were left on the ${\beta}$-CD finished fabrics than unfinished fabrics. The intensity of the odor from the unfinished PET and ${\beta}$-CD finished fabrics was stronger and weaker, respectively, than that of other fabrics, even when the same amounts of VOCs remained.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arbonized Material from Al-Fe-Mg-Si Nanocomposites Impregnated Biomass

  • Kim, Jin Woo;Lee, Chul Ja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6권2호
    • /
    • pp.129-136
    • /
    • 2018
  • Our present study, we impregnated Al-Fe-Mg-Si (NFM) nanocomposites having various concentrations 0, 1000, 3000, and 5000 mg/L in biomass in order to make carbonized biomass. We characterized the properties of the impregnated samples through thermogravimetric/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TG-DTA), pore distribut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The best results were observed for a NFM nanocomposites concentration of 5000 mg/L. After the first heat treatment, carbonization, and activation processes, the fixed carbon ratio and iodine adsorptivity were increased by 21.89% and 368 mg/g, 23.98% and 475 mg/g, 26.40% and 238 mg/g, respectively. The remove rate of malodorous and VOCs were that the sample shows good removal capabilities. From above results, our sample could be used for the removal of noxious and malodorous gases and for the purification of wastewater.

여름철 여수산업단지에서 발생하는 악취성 VOCs의 농도특성 (Characteristics of Malodorous VOCs Concentrations at the Yosu Industrial Complex during the Summer)

  • 임득용;황인조;김동술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58-359
    • /
    • 2003
  • 산업화가 급속히 진행됨에 따라 삶의 질은 향상된 반면, 대기오염으로 인한 피해는 증가하고 있다. 대기 중 존재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VOCs)은 인체에 독성을 가지며 암을 유발하고, 오존의 전구물질(precursor), 광화학 스모그의 원인물질, 성층권의 오존층 파괴 및 지구온난화에도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Derwent et al., 1996) 악취를 유발하기도 한다. 악취는 황화수소(hydrogen sulfide), 메르캅탄류(mercaptans), 아민류(amines) 등 기타 자극성 있는 기체상 물질이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과 혐오감을 주는 냄새로 정의되며, 주로 인체의 위해성보다는 정신적ㆍ심리적인 피해를 일으키는 감각공해라고 할 수 있다 (환경부, 2002). (중략)

  • PDF

열처리가 마늘과 김치에서 발생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미치는 영향 (Heat Effects for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emitted from Garlic and Kimchee)

  • 김병순;양성봉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7권5호
    • /
    • pp.615-622
    • /
    • 1998
  • 생마늘과 김치에서 발생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대해 열흡탈착 혹은 퍼지/트랩을 이용한 가스크로마토그래프/질량선택성 검출기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메틸알릴 황, 이메틸 황, 이메틸 이황, 이알릴 황, 이알릴 이황, 메틸알릴 이황, 이알릴 이황 및 이메틸 삼황과 같은 대단히 악취가 강한 성분이 검출되었으며 이들 중 이메틸 이황과 이메틸 삼황은 김치의 숙성과정이나 마늘이 아닌 김치의 재료에서 발생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마늘이나 김치에서 발생되는 악취성분은 우리나라 사람의 입김이나 김치를 보관하는 냉장고 안의 공기 중에서도 검출되었다. 한국인의 입냄새나 냉장고 안의 냄새의 원인은 마늘이나 김치에서 발생되는 이황 화합물이 주성분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냄새를 없애주는 간단한 방법으로 마늘이나 김치를 열처리하는 것이 대단히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 PDF

복합악취와 악취농도지수 분석을 통한 국내 하수처리시설 바이오필터의 악취제거 특성 (Odor Removal Characteristics of Biofilters in Domestic Sewage Treatment Facilities Analyzing Composite Odor and Odor Quotient)

  • 고병철;박영호;김동일;이민규;감상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09-117
    • /
    • 2013
  • The removal characteristics of composite odor and malodorous substances using 33 biofilters in sewage treatment facilities were investigated. The geometry mean values of composite odor and odor quotient were reduced by 52.7% and 59.2% at the outlet of the biofilters, respectively. The removal efficiencies of the biofiltes for the composite odor and odor quotien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p=0.000<0.05). The median value of odor quotient of sulfur compounds was reduced by 69.1% at the outlet of the biofilter and the odor quotient of the sulfur compound at the inlet and outlet of the biofilter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p=0.000<0.05); on the other hand, those of the $NH_3$ and trimethylamine, aldehydes, VOCs and alcohols, organic acids do not.

석유화학 공장에서 VOCs 제거시설 설치사례 연구 (A Study on Installation of Removal Device f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from Petrochemical Plant)

  • 김석택
    • 환경위생공학
    • /
    • 제15권2호
    • /
    • pp.95-101
    • /
    • 2000
  • 산업의 고도화에 따른 경제성장으로 인류의 삶의 질은 많이 좋아졌지만 경제활동으로 인한 각종 환경 오염물질은 상대적으로 많이 배축된 것이 사실이다. 특히 대기오염물질의 주 요인이 되고있는 질소산화물과 아황산가스 등 많은 오염물질이 있지만 최근 더욱더 문제가 되고있는 것이 휘발성 유기화합물질로써 대기중의 탄화수소 화합물의 총칭으로 광 화학 옥시던터와 오존 등으로 인한 대기오염으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아주 심각하며, 발생장소도 대규모 석유화학 장치산업의 원유를 정제하는 정제공정에서부터 저유소 및 중간 제품공정, 그리고 소비자가 직접 접하는 전국각지에 산재되어 있는 주유소 등에서 많은 량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질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정부차원에서 우선 대규모 석유화학단지를 휘발성 유기화합물질 배출저감을 위한 종합대책지역으로, 전남 여천지역은 1996. 9. 20일, 울산지역은 1997. 7. 1일에 지정고시 하였다. 울산지역의 경우 당초 대상물질이 47개 항목에서 시행초기에 보완적인 차원에서 크실렌 및 초산 등 일부물질이 수정된 31개 항목으로 변경고시 되었으며, 이에 대해 사업장에서는 해당물질에 따른 처리시설을 설치 가동 중에 있다. 그러나 휘발성 유기화합물질의 발생조건과 발생량, 각 물질의 혼합시 안전성문제 등이 공정조건상 일정하지 않아 방지시설 선정설치에 많은 에로사항이 있었다. 기존의 시설에 방지시설을 추가한다는 것은 화학공장 특성상 여러 가지 조건이 있으며, 그 동안 많은 시행착오를 하면서 설치하였다. 그러나 일부시설은 아직도 완벽한 방지효과를 얻기에는 부족하므로 향후 계속적인 기술 및 설비투자와 관리대책이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대전광역시 양축농가의 축분뇨 관리 실태 및 VOCs 농도 조사 (Investigation on the Management of Livestock Wastes and VOCs Concentration of Farms in Daejeon Area)

  • 이봉덕;이수기;오홍록;허정민;정기철;김성복
    • 농업과학연구
    • /
    • 제32권1호
    • /
    • pp.43-51
    • /
    • 2005
  • 본 조사는 대전광역시 양축농가의 축사 형태, 그리고 축분 및 축사주위의 악취물질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한우사는 조사 농가 중 대부분(94.5%)이 톱밥 또는 왕겨를 축사 바닥에 깔아주고 있어서 분뇨가 축사 밖으로 유출되지 않았다. 돈사의 경우는 대부분이 슬러리식을 채택하고 있었으나 아직도 일부 농가는 바닥 충전재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축사로부터의 오물 유출가능성은 없다고 판단되었다. 계사의 경우, 육계사는 전부 바닥 깔짚을 사용하고 있었고 산란계사는 스크레퍼를 이용하고 있었으며, 축사로부터의 오염물의 유출 가능성은 없다고 판단된다. 사슴사는 12개소 중 3개 소는 바닥 충전재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10개소는 재래식으로 관리되고 있었으며, 지붕설치 여부와 관련하여 볼 때 7개소는 우천 시 오물의 유출이 우려된다고 하겠다. 생분의 암모니아, 아민류 및 휘발성지방산 함량은 부숙분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함황 물질인 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 및 에틸메르 캅탄의 농도는 부숙분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축사내의 악취성분은 돈사와 육계사에서 암모니아와 황화수소가 미량 검출되었을 뿐 다른 성분은 검출한계 이하였다. 축사 외 부지경계선에서의 악취성분은 검출되지 않았다. 그리고 악취감 소용 사료첨가제에 대한 축산농가의 반응은 전반적으로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사실로 미루어 볼 때 축산 시설로부터의 오염물질 유출은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고 생각되지만, 조사 시점이 동절기인 것을 감안하면 좀 더 세심한 배려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악취저감 사료첨가제에 대해서는 제조기준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