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lignant glomus tumor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2초

복합화학요법에 반응한 악성 사구체 종양 1예 (A Case Report of Malignant Glomus Tumor Responding to Combination Chemotherapy)

  • 이상윤;최인실;박숙련;김도연;김광현;김노경;허대석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19-222
    • /
    • 2002
  • Malignant glomus tumor is a very rare disease originating from the paraganglia system through the body. Glomus tumor, also known as paraganglioma, usually are considered benign, and arises in a variety of head and neck locations, most of which include the carotid body, the vagus nerve, and the jugulotympanic area. The most widely accepted management of benign glomus tumor is surgical extiration. Here, we report a case of recurrent laryngeal glomus tumor which is proven malignant and metastatic to the brain and the lungs. We have treated the patient with combination chemotherapy and radiation to the brain, the result of which is partial response in terms of decreased size of metastatic lung lesions.

족지 외 족부에 발생한 사구종의 보고 (1예 보고) (Glomus Tumor in a Extradigital Lesion of Foot (A Case Report))

  • 박현우;유문집;황성수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00-103
    • /
    • 2007
  • Glomus tumors are uncommon soft tissue tumors which usually found in a subungual lesion of hand, producing pain. This uncommon tumors have been reported in other locations, including nasal cavity, stomach, mediastinum, heart, lung, and vagina etc. Especially, it was a very rare case found in an extradigital lesion of foot. Glomus tumors should not be ruled out for an extradigital mass lesion of foot and also any other locations. Although glomus tumors are generally considered a benign lesion,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glomus tumors have also reported as a malignant type tumor, even the diagnosis based on histologic features not clinical one.

  • PDF

연부 조직에 발생한 사구종 (Glomus Tumor in Soft Tissue)

  • 김도연;이수현;김민주;신규호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4-43
    • /
    • 2009
  • 목적: 사구종은 사지의 피하지방층에 발생하는 드문 양성 종양이다. 조갑하에 30~50% 가 발생하며 정상적인 사구체가 없거나 드물게 존재하는 조직에서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연부조직에 발생한 사구체 종양에 대해 임상적, 조직학적, 영상의학적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부터 2008년까지 본원에서 종양 절제술을 시행 받고 사구체 종양으로 진단 받은 51명의 환자 중, 수지 말단과 위, 기관, 고실정맥구에서 발생한 경우를 제외한 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진료 기록, 환자와의 면담, 진찰 소견, 영상 소견, 조직학적 양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8명의 환자 중 남자 환자가 4명, 여자 환자가 4명이었으며, 수술 당시 평균 나이는 47세였다. 유병 기간은 평균 8.9년이었다. 사구종의 세 가지 주 증상인 통증, 압통, 냉온 민감성에서는 통증과 압통은 8명의 환자 모두 호소하였으나, 냉온 민감성은 8명 중 2명만이 호소하였다. 8명 중 2명이 피부 색 변화가 있었다. 종양 절제술을 받은 후, 2명은 각각 시각상 사통증 9에서 8로, 8에서 5로 증상 호전이 있었고, 나머지 6명은 수술 이후 수술 전 증상의 완전 소멸을 보였다. 증상 호전이 시각상사통증 9에서 8로 있었던 1명은 2차례 재발/잔존 사구종으로 1차 수술 이후 2회의 수술을 더 받았다. 종양의 크기는 가장 큰 직경을 기준으로 했을 때 평균 13.9mm이였다. 조직병리학적으로 사구체의 아형 분류에서는 총 8예 중 6예가 '고형 사구종', 1예가 '고형사구종' 과 '사구맥관종' 의 혼합, 1예가 '악성 사구체 종양' 소견을 보였다. 자기공명영상 분석 결과 모두 T1 강조 영상에서는 근육과 유사한 중신호 강도, T2 강조 영상에서는 고신호 강도, T2 조영증강 영상에서는 고신호 강도를 보이면서 좀 더 명확한 병변을 보였다. 결론: 연부 조직 사구종은 재발과 악성화가 낮지만 진단이 늦어 임상적으로 환자에게 고통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진단과 수술적 처치가 중요하다.

  • PDF

사구종양의 치료 (Treatment of Glomus Tumor)

  • 송석환;우영균;이승구;이화성;이상훈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05-111
    • /
    • 1997
  • 본 대학 부속 성모병원에서 경험한 사구종양 11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전례가 여자로, 특징적인 동통 및 압통, 그리고 냉각 과민성의 3 주증상을 보였다. 손톱밑 사구종양이 8례, 발톱밑 사구종양이 1례, 그리고 원위 수지 수질(pulp)내 사구종양이 2례이었다. 10례에서 합병증없이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으며, 손톱바닥을 종괴와 함께 절제한 1례는 손톱기형으로 경과추시중이다. 사구종양은 완전한 절제시 국소재발이나 전이를 하지 않는 양성종양이나, 손톱 바닥의 손상 시 손톱의 변형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완벽한 절제 및 손톱바닥의 세심한 재 봉합이 이루어져야하겠다.

  • PDF

폐 혈관종의 외과적 치험 -2례 보고- (Surgical Experience of Pulmonary Vascular Tumor 2 cases)

  • 박재길;박성용;이선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6호
    • /
    • pp.631-635
    • /
    • 1997
  • 혈관에서 기원되는 종양은 혈관외피 세포로부터 발생되는 종양 혈관외피종과 glomus tumor)관 혈관내피 세포로부터 발생되는 종양(를상피 혈관내피종)의 두가지로 구분된다. 이들은 매우 드물게 발생되며 악성종양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폐에서 발생된 경우에는 무증상의 작은 종괴로부터 증상이 있는 커다란 종양 의 형태로 나타난다. 최근 저자들은 단일성의 유상피 혈관내피종과 혈관외피종 각각 1례를 치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 고하는 바이다. a Tumors of vascular origin are subdivided into two groups: those composed of pericytes (hemangiopericytoma and glomus tumor), and those composed of endothelial cells(hemangioendothelioma). They are uncommon, potentially malignant tumors, and in the lung, the tumors may present as a small asymptomatic nodule or a large symptomatic lesion. Recently we experienced two cases of solitary pulmonary vascular tumors(epithelioid hemangioendothelioma and hemangiopericytoma), and reviewed them with references.

  • PDF

두경부 신경성 종양의 진단과 치료 (Diagnosis and Treatment of Neurogenic Tumors in the Head and Neck)

  • 김성배;오상훈;김상효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61-168
    • /
    • 1996
  • The neuorogenic tumor is known to be originated from neural crest, and the involved cells are Schwann cell, ganglion cell, and paraganglion cell. The Schwannoma, neurofibroma, and malignant schwannoma arise from the schwann cell, ganglioneuroma is from ganglion cell, and carotid body tumor and glomus tumor are originated from paraganglion cell. Authors reviewed thirty-eight patients of the neurogenic tumors in the head and neck, excluding intracranial tumor and Von-Recklinghausen disease, surgically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Surgery, Pusan Paik Hospital from January 1981 to May 1996. Of the 38 cases, 28 cases were schwannoma, 6 cases neurofibroma, 2 cases malignant schwannoma, and 2 cases paraganglioma. These tumors occurred at any age, but the majority of patients occurred in the fourth decade of life. There was female preponderance (M : F=1 : 1. 53) in sex ratio. The lateral cervical region was the most common distribution. 12 cases arose from the anterior triangle of neck, and 12 cases from the posterior triangle of neck. The major nerve origin of tumor could be identified in 30 cases (80%). 11 cases were treated by simple excision, and partial excision was 3 cases. Excision with parotidectomy 1 case, enucleation 11 cases, enucleation with parotidectomy 7 cases, radical neck dissection 1 cases, upper neck dissection 2 cases, suprahyoid dissection 1 case, Caldwell­Luc operation 1 case.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hoarseness (2 cases), facial palsy (1 case), Homer syndrome (1 case), and hypoesthesia of tongue (1 ca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