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omus Tumor in Soft Tissue

연부 조직에 발생한 사구종

  • Kim, Do-Yeo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Soo-Hyu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Min-Ju (Department of Path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hin, Kyoo-Ho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김도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교실) ;
  • 이수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교실) ;
  • 김민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 신규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교실)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Purpose: Glomus tumors are rare benign vascular tumors, usually located in the skin or soft tissue of extremities. Approximately 30-50% of glomus tumors occur in subungal area, but glomus tumors have been described in every location even where glomus bodies are not or rarely pres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linical, histologic and MRI characteristics of soft tissue glomus tumor.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1993 and 2008, eight patients underwent surgery of soft tissue Glomus tumor at our institution. Exclusion criteria were patients with Glomus tumors in digits, stomach, trachea and glomus tympanicum. We analyzed medical records, interviews, physical examinations, MR findings and histolocial types retrospectively. Results: There were four men and four women. The mean age was fourty-seven years. The mean prevalence time was eight-point-nine years. In the classic triad of symptoms, all eight patients had pain and tenderness. Two patients complained of cold sensitivity. Two showed skin color changes. After surgery, two showed symptom improvement (VAS $9^{\circ}{\rightarrow}8$, $8^{\circ}{\rightarrow}5$) and?six showed complete disappearance of symptoms. Slightly symptom improvemented (VAS $9^{\circ}{\rightarrow}8$) one had additional surgery two times after first surgery due to relapse/remaining Glomus tumor. The mean size was 13.9 mm. In histology, six were 'solid glomus tumor', one was a mixture of 'solid glomus tumor' and 'lomangioma' and one was 'malignant glomus tumor'. MR findings showed isointense signal on T1 image, high signal on T2 image and strong enhancement on the Gadolinium enhanced image. Conclusion: Glomus tumor has low recurrence rate and malignant change, rapid diagnosis and surgical excision is critical in treatment to prevent unnecessary pain of patient.

목적: 사구종은 사지의 피하지방층에 발생하는 드문 양성 종양이다. 조갑하에 30~50% 가 발생하며 정상적인 사구체가 없거나 드물게 존재하는 조직에서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연부조직에 발생한 사구체 종양에 대해 임상적, 조직학적, 영상의학적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부터 2008년까지 본원에서 종양 절제술을 시행 받고 사구체 종양으로 진단 받은 51명의 환자 중, 수지 말단과 위, 기관, 고실정맥구에서 발생한 경우를 제외한 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진료 기록, 환자와의 면담, 진찰 소견, 영상 소견, 조직학적 양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8명의 환자 중 남자 환자가 4명, 여자 환자가 4명이었으며, 수술 당시 평균 나이는 47세였다. 유병 기간은 평균 8.9년이었다. 사구종의 세 가지 주 증상인 통증, 압통, 냉온 민감성에서는 통증과 압통은 8명의 환자 모두 호소하였으나, 냉온 민감성은 8명 중 2명만이 호소하였다. 8명 중 2명이 피부 색 변화가 있었다. 종양 절제술을 받은 후, 2명은 각각 시각상 사통증 9에서 8로, 8에서 5로 증상 호전이 있었고, 나머지 6명은 수술 이후 수술 전 증상의 완전 소멸을 보였다. 증상 호전이 시각상사통증 9에서 8로 있었던 1명은 2차례 재발/잔존 사구종으로 1차 수술 이후 2회의 수술을 더 받았다. 종양의 크기는 가장 큰 직경을 기준으로 했을 때 평균 13.9mm이였다. 조직병리학적으로 사구체의 아형 분류에서는 총 8예 중 6예가 '고형 사구종', 1예가 '고형사구종' 과 '사구맥관종' 의 혼합, 1예가 '악성 사구체 종양' 소견을 보였다. 자기공명영상 분석 결과 모두 T1 강조 영상에서는 근육과 유사한 중신호 강도, T2 강조 영상에서는 고신호 강도, T2 조영증강 영상에서는 고신호 강도를 보이면서 좀 더 명확한 병변을 보였다. 결론: 연부 조직 사구종은 재발과 악성화가 낮지만 진단이 늦어 임상적으로 환자에게 고통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진단과 수술적 처치가 중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