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lachite Green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26초

Relative Hydrophobicity of Triphenylmethane Dyes as Revealed by Interaction with Tetraarylborate Anions

  • Lee, Beom-Gyu;Yoon, Kil-Joong;Kim, Jin-Doo;Kim, Kang-Ji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0권4호
    • /
    • pp.357-359
    • /
    • 1989
  • The ion aggregates formed between cationic triphenylmethane dyes and tetraphenylborate(TPB) or tetrakis(4-fluorophenyl) borate (TFB) anions have been investigated spectroscopically. The photometric sensitivities of the dyes are found to be increasing in the order pararosaniline < malachite green < methyl violet 2B < crystal violet < ethyl violet.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CTAB) and Triton X-100(TX-100) destroy the ion aggregates. By comparing the concentration of surfactant beyond which dye-borate mixed solutions behave identically with the dye blank, the order of hydrophobicity appears to be parallel with that of photometric sensitivity.

Trametes versicolor 의한 triphenyl methane계 염료의 분해 (Biodegradation of triphenyl methane dyes by white rot fungus, Trametes versicolor)

  • 백승아;최재혁;이태수;임경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3-67
    • /
    • 2015
  • 구름버섯(Trametes versicolor)은 phenolic compound인 CV와 MG를 효과적으로 탈색할 수 있었으며 고체와 액체배양 상태 모두에서 CV보다 MG를 더 효과적으로 탈색시켰다. 구름버섯에 의한 두 색소의 탈색 과정에서 phenolic compounds를 분해하는 것으로 알려진 세 가지 효소 중 laccase의 활성이 가장 높았다. MnP 역시 적은 수치지만 활성을 나타냈으며 LiP의 활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구름버섯에 의한 합성염료의 분해과정에서 laccase가 주로 사용되고 MnP는 탈색과정에서 보조적인 작용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CV의 경우 MnP가 활발하게 염료분해에 관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MG가 대부분 탈색되었을 때의 laccase 활성(0.16 U/mg)이 CV가 대부분 탈색되었을 때의 활성(0.23 U/mg)보다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보아 구름버섯이 CV를 탈색시키는데 더 높은 활성의 laccase가 필요로 하는 것이 밝혀졌다. 본 실험에서 한국산 구름버섯 종의 CV와 MG 탈색능력이 확인되었으며 앞으로 한국산 구름버섯을 이용한 triphenyl methane계에 속하는 합성염료의 분해에 관한 친환경적 처리기술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Fruits Extracts Mediated Synthesis of Zinc Oxide Nanoparticles Using Rubus coreanus and its Catalytic Activity for Degradation of Industrial Dye

  • Rupa, Esrat Jahan;Gokulanathan, Anandapadmanaban;Ahn, Jong-Chan;Mathiyalagan, Ramya;Markus, Josua;Elizabeth, Jimenez Perez Zuly;Soshnikova, Veronika;Kim, Yeon-Ju;Yang, Deok-Chu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93-93
    • /
    • 2018
  • This study disclosed the aqueous fruits extract of Rubus coreanus as a sustainable agent for the synthesis of Rubus coreanus zinc oxide nanoparticle (Rc-ZnO Nps) using as a reducing and capping precursor for co-precipitation method. The development of Rc-ZnO was assured by white precipitated powder and analyzed by spectroscopic and analytical instruments. The UV-visible (UV-Vis) studies indicate the maximum absorbance at 357nm which confirmed the formation of ZnO Nps and the purity, functional group and monodispersity were assured by field emiss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FE-TEM), Fourier Transform Infrared (FTIR) Spectroscopy and dynamic light scattering (DLS). The X-ray powder diffraction (XRD) data revealed the Nps is 23.16 nm in size, crystalline in nature and possess hexagonal wurtzite structure. The Rc-ZnO Nps were subjected for catalytic studies. The Malachite Green dye was degraded by Rc- ZnO NPs in both dark and light (100 W tungsten) conditions and it degraded about 90% at 4 hours observation in both cases. The biodegradable, low cost Rc-ZnO NPs can be a better weapon for waste water treatment.

  • PDF

평안감사향연도(平安監司饗宴圖)의 채색 재료 특성 연구 -연광정연회도(練光亭宴會圖)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Painting Materials Used in Welcome Feast for the Pyeongan Governor: Focusing on Banquet at Yeongwangjeong Pavilion)

  • 박진호;장연희;고수린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8권
    • /
    • pp.109-13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조선 후기 기록화인 《평안감사향연도》 총 3점 중 <연광정연회도>를 분석하여 채색 재료를 규명했다. 포인트 위주의 분석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문제를 최소화하고자 우선 파장별 이미지를 촬영했다. 엑스선을 통해 먹, 금, 유·무기 안료를 분류했고, 적외선으로 먹과 구리계 안료를 파악했다. 초분광으로는 흑색, 청색, 녹색 재료 중에서 안료와 유기 염료를 구별해냈다. 색상별 선정 지점을 분석하여 백색(연백), 흑색(먹/쪽), 적색(연단+진사), 분홍색(염료), 자주색(염료), 갈색(산화철), 황색(석황/염료), 녹색(석록/석록+염료/쪽)과 청색(석청/연백+쪽/쪽), 자색(쪽+연지), 금색(금박) 등의 재료를 규명했다. 향후 파장별 라이브러리가 확보되면 더 효율적인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병원성세균에 의한 잉어의 궤양성질병에 관한 조직병리학적 연구 (HISTOPATHOLOGICAL STUDIES ON THE DISEASE CAUSED BY PATHOGENIC BACTERIA OF THE CARP)

  • 박수일;전세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5-27
    • /
    • 1974
  • 1972년 여름 이후 어류의 궤양성 질병이 각처에서 갑자기 발생하여 양어가들에게 많은 피해를 입히고 있다. 그래서 잉어의 궤양성 질병의 원인과 치료법을 밝히기 위해서, 1972년 8월부터 1973년 11월까시 잉어의 궤양에 대한 세균학적 조사 및 조직병리학적 조사를 하였고, 치료 실험을 하며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환부의 점액에서 병원성 세균인 Chodrococcus columnaris와 Aeromonas sp.를 검출했다. 2. 이 증세를 보면 비늘 밑에 출혈성 반점이 나타난 후, 진피가 붕괴되어 비늘이 탈락되고, 환부는 궤양을 형성하고 근육이 노출되었다. 지느러미의 침식은 선단부에서 시작되는 경우가 많으나 때로는 기부에서 부식되는 예도 볼 수 있었다. 아가미에서는 빈혈 증세가 나타난 후, 부분적으로 회백색을 띠고 그 부위의 조직이 붕괴되었다. 3. 피부 상피조직의 붕괴에 이어 진피가 노출되었으며 근육조직이 괴사되고 근섬유가 찢어지는 현상이 일어났다. 아가미 조직은 상피세포가 증식되고 새열이 유착되며 붕괴하였다. 그리고, 간의 지방변성과 괴사가 일어나는 조직의 병변을 볼 수 있었다. 4. 수온 $22\~25^{\circ}C$에서의 치료 결과는 다음과 같은 처방에 의한 것이 효과가 있었다. 혼합액 1. Aivet (HB-115.HCI) 0.3ppm Malachite green 0.2ppm Dipterex 0.4ppm 혼합액 2. Furanace(P-7138) 0.05ppm Malachite green 0.2ppm Dipterex 0.4ppm 그러나, 상기 혼합액일지라도 수온이 저하($13\~15^{\circ}C$)되니 효과가 없었다. 5. 치료된 궤양 환부는 상피세포 및 진피가 재생되고, 근섬유가 융합되었다.기에 뇌역의 4안점 중에서 양측 바깥쪽의 2안점이 퇴화되었다. 10. 저서초기유생은 S. ijimai가 P. obscurus 두 종류 모두 저질이 이토인 곳에서만 발견되었다.6\times10^3$ 및 $0.25\times10^3$, 카드뮴은 $0.11\~0.31ppm$ 및 0.18 ppm에 $0.61\times10^3\~1.7\times10^3$$1.0\times10^3$이고, 납은 $0.8\~2.2ppm$ 및 1.4 ppm에 $3.1\times10^3\~8.5\times10^3$$5.4\times10^3$, 구리는 $3.6\~13.1ppm$ 및 5.7 ppm에 $14.4\times10^3\~52.4\times10^3$$22.8\times10^3$이다. 7, 미역의 수은 카드뮴 및 납의 농축계수는 모자반의 약 3배가되고 구리의 그것은 오히려 모자반이 크다. (이 연구는 1973년도 문교부 연구조성비로 되었으며, 시료를 제공해 주신 해운대 김경재씨에 감사드립니다) 27.17mm(변태 후 40일)까지는 L=1.6864C-1.0387의 회귀 직선으로 표시되었고, 체중은 갑장 7.47mm부터 18.53mm까지(새끼 게 변태 후 23일)는 $W=9.367\times10^{-5}C^{3.5567}$였고, 갑장 22.11mm부터 27.17mm까지(새끼 게 변태 후 40일)는 $W=3.406\times10^{-5}C^{3.8571}$ 등의 지수 곡선으로 표시되었다. 식으로 표시되었고 해안 쪽의 포항산이 남해안산에 비하여 각장에

  • PDF

구리와 염소 주성분 녹색 안료 코퍼 트리하이드록시클로라이드(Copper Trihydroxychloride)에 대한 고찰 (Review of Copper Trihydroxychloride, a Green Pigment Composed of Copper and Chlorine)

  • 오준석;이새롬;황민영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2호
    • /
    • pp.64-87
    • /
    • 2020
  • 중국의 돈황 막고굴 벽화 등 서북지방에서 처음 사용된 copper trihydroxychloride(아타카마이트, 파라타카마이트, 보탈라카이트 등)는 고대부터 동록, 녹염, 염록으로 알려져 왔으며, 중국에서는 석록과 함께 중요 녹색 안료로 사용되어 왔다. 처음에는 천연 광물인 녹염동광이 사용되었지만 5대 이후에는 합성 copper trihydroxychloride가 주로 사용되었다. 중국 문헌에는 동록, 녹염, 염록은 구리 분말, 광명염(염화나트륨), 요사(염화암모늄)을 반응시켜 만드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이렇게 제조된 물질은 copper trihydroxychloride로 분석되었다. 한국에서는 고려시대까지의 회화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조선시대 회화(초상화, 산수화, 기록화, 장식화, 불화, 무속화 등)와 건축물 단청의 녹색 안료 분석에서 석록과 함께 중요 녹색 안료로써 사용되었음이 밝혀졌다. 특히 불화, 무속화, 단청, 기타 채색 유물에서는 석록보다 사용 빈도가 높았다. 조선시대에서 사용된 copper trihydroxychloride 안료는 일부 회화의 녹색 안료 분석에서 합성 copper trihydroxychloride가 확인되었지만, 나머지 회화 등의 분석에서는 합성 안료인지 천연 안료인지는 불명확하였다. 문헌과 유물 분석을 통해 조선에서 사용된 copper trihydroxychloride의 안료명은 진한 녹색인 하엽으로 판단되며, 옅은 녹색의 삼록과 함께 주로 사용되었다. 하엽은 조선초(15세기) 중국에서 배워와 처음으로 제조되어 19세기 말까지 계속 제조되었으며, 중국으로부터 수입품도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채색 유물의 합성 copper trihydroxychloride 안료와 조선의 합성 copper trihydroxychloride의 입자 특성(어두운 코어를 가진 원형 또는 타원형 입자)이 비슷하였다. 따라서 한국과 중국의 합성 copper trihydroxychloride 안료는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봉정사 영산회괘불도 화기에 기록된 안료명에 대한 고찰 (A Consideration of Pigments name on Ceremonial writing of Youngsan Ritual Ceremony Buddhist Painting, BongJeongsa)

  • 송유나;김규호
    • 보존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3-25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안동 봉정사 영산회괘불도에 대한 비파괴성분 분석과 현미경 관찰을 통해 괘불에 채색된 안료의 화학적 성분 및 채색 기법을 해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괘불의 화기에 명시되어 있는 채색 재료의 명칭에 대한 화학적 특성을 규명하였다. 백색 안료는 연백, 황색 안료는 석황, 유기염료, 적색 안료는 진사/주, 연단, 대자, 적색 염료을 사용하였으며, 녹색 안료는 석록 또는 녹염동광, 청색 안료는 석청, 쪽, 흑색은 먹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화기에 명시된 안료 이름은 주홍, 중청, 하엽, 황단, 황금 등으로 주홍은 진사(천연) 또는 주(인공), 중청은 석청, 하엽은 석록 또은 녹염동광, 황단은 석황, 황금은 금박인 것을 확인하였다.

광두근(廣豆根), 북두근(北豆根) 및 화목람(花木藍)의 형태(形態) 감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of Sophora tonkinensis, Menispermum dauricum and Indigofera kirilowii)

  • 이충헌;한신희;이영종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5-119
    • /
    • 2007
  • Objectives : A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among Sophora tonkinensis, Menispermum dauricum and Indigofera kirilowii was made through microscopic observation. Method : The slice of the tested material made by paraffin section technique was colored with Safranine Malachite Green contrast methods, and then observed and photographed by olymphus-BHT. Result : 1. The cross-sections of Sophora tonkinensis and Indigofera kirilowii have piths, but Menispermum dauricum does not have any. 2. The lateral parts of Sophora tonkinensis cortex include the square crystal of calcium oxalate, but Indigofera kirilowii does not. Conclusion : The number of piths and the presence of the square crystal of calcium oxalate can be used to distinguished Sophora tonkinensis from Indigofera kirilowii.

  • PDF

대황(大黃)의 형태(形態) 감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of Kinds of Rhei Rhizoma)

  • 김선제;한신희;이영종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71-176
    • /
    • 2006
  • Objectives : A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among Rheum palmatum Linne, Rheum undulatum Linne and Rumex crispus was made through microscopic observation. Methods : The slice of the tested material made by paraffin section technique was colored with Safranine Malachite Green contrast methods, and then observed and photographed by olymphus-BHT. Results: 1. Stellate spots were found on the intersection of Rheum palmatum, composed of heteromorphy vascular bundles. 2. Stellate sponts were not found in Rheum undulatum and Rumex crispus, because they do not have heteromorphy vascular bundles. Conclusion : Rheum palmatum can be distinguished with Rheum undulatum and Rumex crispus, based on the presence of Stellate spots on its intersection.

  • PDF

노근(蘆根)과 위경(葦莖)의 형태(形態) 감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of Phragmitis Rhizoma and Phragmitis Caulis)

  • 범희변;한신희;이영종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77-181
    • /
    • 2006
  • Objectives : External form and internal intersection of Phragmites communis were observed by the parts of usage (leaves, stems, and roots). Methods : The slice of the tested material made by paraffin section technique was colored with Safranine Malachite Green contrast methods, and then observed and photographed by olymphus-BHT. Results : 1. The intersection of Phragmitis Folium was typically characterized as Gramineae plants, which was perfectly distinguished with Phragmitis Rhizoma and Phragmitis Caulis. 2. The cortex of Phragmitis Rhizoma has a large rectangular pore space, but Phragmitis Caulis does not. Conclusion : Phragmitis Folium, Phragmitis Caulis, and Phragmitis Rhizoma can be distinguished by microscop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