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crophage Cell

검색결과 1,327건 처리시간 0.028초

RAW 264.7 대식세포에서의 유산균에 의한 Nitric Oxide와 $TNF-{\alpha}$의 생성 증가 효과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acidophilus, Streptococcus thermophilus, Bsfidobacterium bifidum) on the Enhancement of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and TNF-$\alpha$ in RAW 264.7 Macrophage Cell)

  • 박소희;정명준;김수동;백대헌;강병용;하남주
    • 약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459-464
    • /
    • 2005
  • The immune reinforcement of the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acidophilus, Streptococcus thermophilus and Bifidobacterium bifidum was studied in RAW 264.7 cell line treated with diluted solution (dilution to $2^{5}$) of the supernatnats of lactic acid bacteria. RAW 264.7 cell line was used as a macrophage model to assess the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on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and cytokine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and cell morphological changes. The production of NO and TNF-$\alpha$ were largely affected by lactic acid bacteria in dose-dependent manner in 24 or 48 hr cultures and cell morphological changes were also largely affected by lactic acid bacteria. Especially Bifidobacterium bifidum differentially stimulated the production of NO and TNF-$\alpha$. NO production was increased by Bifidobacterium bifidum 25 $\mu$l/ml more than LPS (20 ng/ml) control, and TW-$\alpha$ by Bifidobacterium bifidum 6.25 $\mu$l/ml more than LPS (10 ng/ml) control. The in vitro approaches employed here should be useful in further characterization of the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on systemic immunity.

차 폴리페놀화합물의 사이토카인 생성 및 항암능에 대한 영향 (Effect of Tea Polyphenols on Anticancer Activity and Cytokines Production)

  • 손미예;남상해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0호
    • /
    • pp.1354-1360
    • /
    • 2007
  • 국산 미생물 발효차의 폴리페놀 색소성분들인 데아플라빈(TF)과 데아루비긴(TR) 및 EGCG를 macrophage cell line (RAW264.7에 적용하여 nitric oxide 합성 및 사이토카인 생성을 평가하였다. 사이토카인 생성은 TF, TR 및 EGCG를 RAW264.5 cell에 적용하였을 때, $80\;{\mu}g/ml$ 농도에서 대조군과 LPS 촉진 처리에 비하여 nitric oxide 생성은 약 1.5배 증가하였다. IL-6, $TNF-{\alpha}$ 및 GM-CSF는 TF, TR 및 EGCG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TNF-{\alpha}$ 생성은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는 TF, TR 및 EGCG가 사이토카인 생성을 통하여 면역증강 효과를 가질 것으로 나타났다 TF, TR 및 EGCG는 총 페놀 함량에 비례하여 항산화능을 나타내었으며, 암세포 증식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이들 폴리페놀물질의 억제효과는 그 성분들의 항암촉진작용 및 항산화활성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폐흡충(Paragonimus westermani) 감염시의 세포 면역학적 장어 기전 (Antibody-dependent rat macrophage-mediated damage Into the excysted metacercariae of Paragonimus westeymani in vitro)

  • 정평림;장재경;소진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1호
    • /
    • pp.43-54
    • /
    • 1991
  • 폐홉충(Paragonimus westermani) 초기 감염시의 숙주 면역 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폐흡충 피낭유충을 백서에 감염시켜 주별(주별)로 항혈청을 분리하고 등일 백서에서 복강 대식세포(homologous rat peritoneal macrophage)를 얻은 다음, 이들과 폐흡충 탈낭유충 및 숙주 조직 이행중인 유약충으로 effector system을 조작하여 폐흡충 유충에 대한 항체 의존성 대식세포 공격기전을 관찰하였다. 백서 복강 대식세포는 항혈청 출현 시에만 폐흡충 탈낭유충에 대한 세포부착 반응(cell adherence reaction)을 보였고 이 반응에는 보체가 관여하지 않았다. 폐흡충 감염 1주에서 8주까지의 백서 항혈청 중 2주째에 분리한 항쳔청 실험군에서 100%의 세포부착 반응을 나타내었고 사멸된 충체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세포부착 반응은 탈낭 유충기에서만 나타나는 반면 조직이행 유약충에서는 전혀 그 반응을 인정할 수 얼어 폐흡충 감염에 따른 항체의존성 숙주 세포 매개독성(antibodydependent cell·mediated cytotoxicity)은 발육단계 별 특이성을 보였다. 한편, 대식세포의 공격에 의하여 사멸된 폐흡충 탈낭유충의 형태학적 특징은 대식세포와 유충 사이에 형성되는 fuzzy material, tegumental syncytium 내의 미세구조의 변성 및 syncytium과 근육층을 연결하는 tubular tunnel의 형성 등이었다.

  • PDF

Caspase-8의 양성 피드백 방식을 통한 중성지방-유도 THP-1 대식세포 사멸 증가 (Caspase-8 Potentiates Triglyceride (TG)-Induced Cell Death of THP-1 Macrophages via a Positive Feedback Loop)

  • 정병출;임재원;김성훈;김윤석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58-164
    • /
    • 2021
  • 고중성지방혈증은 죽상동맥경화증의 주요한 위험 요인 중 하나이다. 중성지방은 대식세포의 세포 사멸을 유도하여 죽상동맥경화증 발생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팀은 앞선 연구에서 대식세포의 중성지방-유도 세포 사멸이 pannexin-1 활성화에 의한 세포 외 ATP 농도 증가, caspase-2와 caspase-1 활성화, caspase-8을 포함한 apoptotic caspase 활성화 경로로 일어나는 것을 보고하였다. 한편 다른 연구들에서는 세포 내 다른 여러 기전에서 caspase-8이 caspase-1과 -2의 상위 단백질이라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aspase-8이 중성지방-유도 대식세포 사멸 과정에서 상위단백지로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진은 caspase-8이 중성지방-유도 대식세포 사멸 과정에서 caspase-3 활성화 및 PARP 절단을 유도하였다. 다음으로 중성지방이 처리된 대식세포에서 caspase-8 억제 시, caspase-8의 상위 단백질로 보고한 caspase-1 및 -2의 활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ATP 처리 시 caspase-8 억제제 처리에 의해 감소된 caspase-2의 활성이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위의 결과를 통해 caspase-8이 중성지방-유도 대식세포 사멸 과정에서 세포 외부 ATP 농도 증가에 관여하는 단백질 또는 그 상위 기전에 양성피드백 방식으로 영향을 미쳐 caspase-1과 -2를 활성화하여 중성지방-유도 대식세포 사멸을 증진시킴을 알 수 있다.

Macrophage 유도 사람 Low Density Lipoprotein[LDL]의 수식에 대한 Streptomyces sp. BH-405 배양액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Streptomyces sp. BH-405 on Macrophage Mediated Modification of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LDL))

  • 류병호;박종옥;김희숙;김민정
    • KSBB Journal
    • /
    • 제15권2호
    • /
    • pp.156-161
    • /
    • 2000
  • 해양에서 분리한 Streptomyces sp. BH-405의 배양액으로부터 정제하여 얻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획분 band 2 에 대하여 사람 Low Density Lipoprotein(LDL)의 산화 억제 효과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Streptomyces sp. BH-405의 배양액으로부터 분리 정제한 획분 band 2는 LDL에 대한 $5\mu\textrm{m}$ $CuSO_4$ 의 유도 산화를 측정한 결과 100 및 200 $\mu\textrm{g}$/mL에서 LDL의 산화억제 효과가 높았다. 그리고, band 2를 이용한 macrophage 및 J774 유도 LDL의 수식에 대한 항상화 효과도 native LDL에 비하여 높았다. 이때 같은 농도의 band 2를 첨가하여 산화 LDL의 전기영동의 이동거리를 측정한 결과 native LDL보다는 약간 높았으나 Oxid LDL의 대조군보다는 이동거리가 낮으며 공액2중결합의 생성억제 효과도 있었다. 사람 LDL의 산화에 대하여 macrophage 및 내피세포를 이용하여 125I-LDL 산화에 대하여 band 2를 각각 100 및 200 $\mu\textrm{g}$/mL씩 첨가하여 실험한 결과 사람 LDL의 분해는 대조구보다 낮았으며 용량 의존형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Pine Needle (Pinus densiflora) Extracts in Macrophages

  • Choi, Hye-Sook;Hang, Do;Cho, Seong-Jun;Kang, Se-Chan;Sohn, Eun-Soo;Lee, Sang-Pil;Pyo, Suhk-Neung;Son, Eun-Wha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1권2호
    • /
    • pp.105-109
    • /
    • 2006
  • Pinus densiflora belongs to the Pinaceae family which has been widely used for health promoting purposes as folk medicine or as a food. Various curative effects of different parts of the pine have been reported including as a remedy for carcinoma. We examined the effects of pine needle water extracts (PNE) on macrophage function using peritoneal macrophage, pre-osteoclast bone macrophage (Raw 264.7 cell) and brain macrophage (C6 microglia). When peritoneal macrophages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PNE ($1{\sim}100{\mu}g/mL$) for 24 hours, phagocytic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hereas it had no effect on tumoricidal activity and NO production. However, the treatment of Raw 264.7 with PNE resulted in the enhancement of NO production at high concentration ($100{\mu}g/mL$). Furthermore, the treatment of C6 with PNE increased the production of NO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whereas PNE suppressed NO production in $LPS/IFN-{\gamma}-stimulated$ microglia. These results suggest that PNE has differential immunomodulatory effects on macrophages.

대식세포의 혈청으로 식균된 자이모잔의 탐식능에 대한 삼잎국화 추출물의 효과 (Effects of Rudbeckia laciniata Extract on Phagocytosis of Serum-Opsonized Zymosan Particles in Macrophages)

  • 김준섭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41-346
    • /
    • 2016
  • Phagocytosis is a primary and an essential step of host defense, and is triggered by the interaction of particles with specific receptor of macrophag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extracts of Rudbeckia laciniata (RLE) on the phagocytic activity of macrophage, by monitoring the phagocytosis-associated signal transduction. RLE markedly increased phagocytosis of serum-opsonized zymosan particles (SOZ), while phagocytosis of IgG-opsonized zymosan particles (IOZ) or none-opsonized zymosan particles (NOZ) remained unaffected. However, RLE did not affect the binding of opsonized zymosan particles (OZ) with the cell surface of macrophage. This suggests that RLE may regulate SOZ-induced intracellular signaling during phagocytosis of macrophage. To confirm this hypothesis, we investigated whether RLE was involved in the RhoA-mediated signal transduction during phagocytosis of SOZ. Inhibitors of the RhoA-mediated signaling pathway, such as Y-27632 (for ROCK), ML-7 (for MLCK), and Tat-C3 (for RhoA), totally blocked phagocytosis of SOZ enhanced by RLE, as well as phagocytosis of SOZ. Additionally, RhoA activity was markedly increased when cells were treated with RLE, suggesting that RLE could increase the phagocytic activity of macrophage via RhoA-ROCK/MLCK signal pathway. Thus, RLE may be used to develop functional foods for immunity.

Immune Enhancing Effect by Orally-Administered Mixture of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Fermented Rice Bran

  • KOH, JONG HO;JIN MAN KIM;HYUNG JOO SUH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2호
    • /
    • pp.196-201
    • /
    • 2003
  • The mixture (PM) of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fermented rice bran on the activation of macrophage and bone marrow cell proliferation was studied in mice. PM stimulated not only the activation of macrophage (1.8-fold of saline) but also IL-6 production from macrophage (1.5-fold) at 2.0 g/㎏/day during 7 days of oral administration. By the culture supernatant of Peyer's patch cells from C3H/HeJ mice fed PM at 2.0 g/㎏/day for 7 days, the bone marrow cells significantly proliferated compared with that of mice receiving only saline (1.7-fold). In addition, the contents of GM-CSF and IL-6 in the culture supernatant of Peyer's patch cells from mice fed PM at 2.0 g/㎏/day were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those from the control (1.8 and 1.4-fold, respectively). These results revealed that oral administration of PM may modulate IL-6 production to induce the activation of macrophage, and also enhance secretion of hematopoietic growth factors such as GM-CSF and IL-6 from Peyer's patch cells.

사람의 Low Density Lipoprotein에 대한 녹차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Green Tea Extracts toward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 박춘옥;진성현;류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850-858
    • /
    • 1996
  • 본 연구는 녹차를 열수로 추출하여 LDL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연구한 결과이다. 녹차 1.25 g에 열수 500 ml를 가하여 추출한 후 다시 500 ml를 가하여 재추출하였으며 이를 증발, 건조한 결과 추출액의 건물량은 4.67 mg이었다. 녹차잎의 함량이 1.25%가 되도록 조절한 녹차에는 항산화 활성이 강한 polyphenol 화합물중 (-) epicatechin gallate 54.1%, (-) epicatechin gallate 26.2%, (-) epigallocatechin 10.7%, (-) epicatechin 이 7.0% 및 catechin이 1.8% 함유되었다. Low density lipoprotein (LDL)의 산화에 있어서 LDL은 $CuSO_4$ 존재하에서 macrophage와 배양시켰더니 빠르게 산화를 일으켰다. 그러나 $5\;{\mu}M\;CuSO_4$ 매개 LDL의 산화에 50 및 $100\;{\mu}g/ml$ 농도의 GTE를 넣어 배양하면 거의 완전히 산화를 억제하였다. $5\;{\mu}M\;CuSO_{4}$ 존재하에서 산화시킨 LDL의 전기영동 이동거리는 native LDL보다 높았다. 또 50 및 $100\;{\mu}g/ml$ 농도의 GTE는 J774, human monocyte derived macrophags 및 vascular endothelial cells에서 유도되는 LDL의 산화를 억제하였다. $CuSO_4$ 및 cell 유도에 의하여 산화되는 LDL은 native LDL보다 더욱 많은 양이 human macrophage에 의하여 분해되고 GTE는 macrophage에 의한 $^{125}I-LDL$의 산화를 강력히 억제하였다. 그리고 GTE는 cell 매개 LDL의 macrophage에 의한 축적 또는 분해를 억제하였다. LDL을 $5\;{\mu}M\;CuSO_4$, 존재하에서 산화시킬 때 GTE를 50 및$100\;{\mu}g/ml$ 농도로 넣어 배양하면 공액 dienes의 생성이 억제되고, 또한 Oxid LDL macrophage derived human monocytes에서도 축적이 억제되었다.

  • PDF

Immunomodulating Activity of Fungal $\beta$-Glucan through Dectin-1 and Toll-like Receptor on Murine Macrophage

  • Kim, Ha-Won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 /
    • pp.103-115
    • /
    • 2006
  • $\beta$-Glucan is a glucose polymer that has linkage of $\beta$-(1,3), -(1,4) and -(1,6). As exclusively found in fungal and bacterial cell wall, not in animal, $\beta$-glucans are recognized by innate immune system. Dendritic cells (DC) or macrophages possesses pattern recognition molecule (PRM) for binding $\beta$-glucan as pathogen-associated molecular pattern (PAMP). Recently $\beta$-glucan receptor was cloned from DC and named as dectin-l which belongs to type II C-type lectin family. Human dectin-1 is consisted of 7 exons and 6 introns. The polypeptide of dectin-1 has 247 amino acids and has cytoplasmic, transmembrane, stalk and carbohydrate recognition domains. Dectin-1 could recognize variety of beta-1,3 and/or beta-1,6 glucan linkages, but not alpha-glucans. In our macrophage cell line culture system, dectin-1 mRNA was detected in RA W264.7 cells b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Dectin-1 was also detected in the murine organs of spleen, thymus, lung and intestines. Treatment of RA W264.7 cells with $\beta$-glucans of Ganoderma lucidum (GLG) resulted in increased expression of IL-6 and TNF-$\alpha$ in the presence of LPS. However, GLG alone did not increase IL-6 nor TNF-$\alpha$.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ceptor dectin-1 cooperate with CD14 to activate signal transduction that is very critical in immunorespon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