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IC Spectrum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6초

다경로인 경우 Eigen 구조를 이용하는 공간 스펙트럼 추정 알고리듬의 성능비교 (Performance Comparisons of Eigenstructure Based Spatial Spectrum Estimation Algorithms in a Multipath Environment)

  • 이충용;차일환;윤대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5권12호
    • /
    • pp.1522-1531
    • /
    • 198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eigenstructure based spatial spectrum estimation algorithms computing better estimates than the other approaches. Also, as an approach to overcome performance degradations in a multipath environments, the notion of forward and backwark spatial smoothing is discussed. Intensive simulation results,which include the comparisons of the eigenbased spatial spectral estimation algorithms in the situations of faulty estimation of the number of signals, are presented. The simulation results have shown that overestimation of the number of signals is more desirable than underestimation in using EV (Eigen Vector) and MUSIC (Multiple Signal Classification) algorithms and that underestimation of the number of signals is better strategy than overestimation in using eigenstructure based LP(Linear Prediction) algorithms.

  • PDF

음성 및 음향분석 프로그램 Praat의 임상적 활용법 (Guidance to the Praat, a Software for Speech and Acoustic Analysis)

  • 성철재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64-76
    • /
    • 2022
  • Praat is a useful analysis tool for linguists, engineers, doctors, speech-language pathologits, music majors, and natural scientists. Basic parameters including duration, pitch, energy and perturbation parameters such as jitter and shimmer can be easily measured and manipulated in the sound editor. When a more in-depth analysis is needed, it is recommended to understand the advanced menus of the object window and learn how to use them. Among the object window menus, vowel formant analysis, spectrum analysis, and cepstrum analysis can be cited as useful ones in the clinical field. The spectrum object can be usefully used for voice quality measurement and diagnosis of patients with voice disorders by showing the energy distribution according to frequency axis (domain). A cepstrum object is useful for speech analysis when periodicity of the sound object is not measurable. The low to high ratio obtained from the spectral object and the CPPs measured from the cepstrum object have attracted many researchers, and it has been proven that the CPPs measured in Praat are relatively excellent.

The Place of Complementary Medicine in the Treatment of Autistic Children

  • Konac, Ozgur Taskiran;Baldemir, Ercan;Inanc, Betul Battaloglu;Kara, Bilge;Topal, Yasar;Topal, Hatice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8-36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hieve a vision for autistic children and their parents aimed at generating interest in ideas such as "Sanitas Per Aquam" (SPA), massage and music therapy, which has begun to have widespread use and to attract attention. Methods: This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carried out with autistic children and their parents from February to April 2015 in $Mu{\breve{g}}la$, Turkey. The study was began by interviewing experts in the field and by developing a suitable assessment questionnaire. In order to direct the flow of conversation between the researchers and the autisitc children and their parents, the researchers conducted semi-structured face to face interviews in a form that had been determined by using reports in the literature and the opinions of experts in the field. Results: Forty two boys (84%) and eight girls (16%) with autism participated in our study. Children in the 0 - 7 age group spent long time in the bathroom (P = 0.001). Boys liked to be hugged more than girls (P = 0.01). Children ages 0 - 7 years liked bright lighting while those 15 years of age and older liked gloomy lighting (P = 0.009). Except for thes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x- and age-related differences, no other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in the parameters of this study. Although the resul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more children with mild autism disorder obeyed commands like inhale or exhale (P = 0.051). Conclusion: Treatment for autism spectrum disorders is not yet fully possible, so many studies are being done to alleviate some symptom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individuals with autism and their families. As a result of our study, whether touching the areas the children want touched and listening to their favorite music are required to stimulate the brain remain as questions in our minds.

성악다들의 목소리에 대한 Long Term Average Spectrum 분석 -$2^{nd}$ Singer's Formant의 존재 가능성에 대하여- (Long Term Average Spectrum Characteristics of Head and Chest Register Sounds of Western Operatic Singers : Extended Study)

  • 반재호;권영경;진성민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1-36
    • /
    • 2004
  • Background and Objectives : It has been shown that the epilaryngeal tube in the human airway is responsible for vocal ring, or the singer's formant. In previous study, authors showed that in trained tenors, besides the conventional singer's formant in the region of ,5500Hz, another energy peak was observed in the region of 8,000Hz. This peak was interpreted as the second resonance of the epilarynx tube. Singers in other voice categories who produce vocal ring are assumed to have the same peak, but no measurements have as yet been made. Materials and Methods : Fifteen tenors, fourteen baritones, seven sopranos and five mezzo sopranos attending the music college, department of vocal music who could reliably produce the head and chest registers were chosen for this study. Each subject was asked to produce an/ah/sound for at least three seconds for the head register sound(tenors ; G4, barions ; E4 sopranos ; F5 and mezzosopranos ; C5) and for the chest register sound (tenors ; C3, baritones ; D3, sopranos ; D4 and Mezzosoprano ; A3). The soun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Fast Fourier Transform (FFT)-based power spectrum, Long term average(LTA) power spectrum using the FFT algorithm of the Computerized Speech Lab (CSL, Kay elemetrics, Model 4300B, USA).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Mann-Whitney test of the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SPSS). Results : For head register sounds, a significant increase was seen in the 2,200-3,400Hz region(p<0.05) and the Similar to the head register sounds,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energy in the four trained singer group compared with the untrained group in the 2,200-3,100Hz region(p<0.05), the 7,800-8,400Hz region(p<0.05) for the chest register sounds. Conclusions : When good vocal production was made for the head and chest registers, an energy peak was observed near 2,500Hz, a frequency already known as the "singer's formant', in all subjects in the study group. Another region of increased energy was observed around 8,000Hz that had not been noticed previously. The authors believe this region to be the second singer's formant.

  • PDF

음악 단서와 시각 단서 조건에 따른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정서 인식 비교 (Emotion Recognition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 Comparison of Musical and Visual Cues)

  • 윤예은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9권1호
    • /
    • pp.1-20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Autism Spectrum Disorder, 이하 ASD)과 일반 아동(Typically developing, 이하 TD)의 음악 단서와 시각 단서 조건에 따른 4가지 기본정서(행복, 슬픔, 분노, 두려움) 인식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 실험연구가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ASD 진단 기준을 충족한 만 7세~13세 아동 9명과 일반 아동 14명으로, 모든 참가자를 대상으로 4가지 기본정서 인식 능력을 평가하는 음악 과제와 시각 과제를 실시하였다. ASD 아동과 TD 아동의 단서 조건, 즉 음악 단서와 시각 단서에 따른 정서를 인식하는 정확도와 정서 유형에 있어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 분석한 결과, ASD 아동이 TD 아동에 비해 정서 인식 정확도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또한, 시각 단서보다 음악 단서에서 정서 인식 정확도가 높은 경향으로 나왔다. 마지막으로 정서 유형에 따른 차이는 ASD 아동과 TD 아동 두 그룹 모두 음악 단서에서 행복이 정서 인식 정확도가 높게 나타났고, 시각 단서에서 ASD 아동은 행복이 TD 아동은 분노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ASD 아동은 음악 매체가 제공되었을 때 시각 매체보다 정서를 보다 잘 인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ASD 아동 대상 정서와 관련된 첫 시도라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관련한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시행되기를 기대한다.

음악적 단서 및 후속 자극에 따른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공동주의 반응 행동 비교 (Analysis of Joint Attention Behavior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Depending on the Type of Attentional Cue and Reinforcing Stimulus)

  • 김온유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21권1호
    • /
    • pp.69-87
    • /
    • 2024
  •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이하 ASD) 아동을 대상으로 음악적 단서 및 후속 자극에 따른 공동주의 반응 행동이 달라지는지 알아보고, 비장애(neurotypically developing, 이하 NT) 아동 그룹과 비교하는 실험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만 3세에서 5세 사이의 ASD 아동 13명과 NT 아동 14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의 반응을 유도하는 단서(음악적 단서 대 언어적 단서)와 아동의 공동주의 반응 행동에 대한 후속 자극(언어 자극 대소리 자극 대 음악 자극)을 구성하고 총 6가지 과제 조건을 2회씩 총 12회 제시하였다. 먼저, 주의 유도 단서를 제공하고 3초 이내 대상자의 주의 전환을 평가하였고 대상자의 공동주의 반응 행동이 나타난 경우, 후속 자극을 제공하였으며 후속 자극을 제공하는 동안 대상자의 사회적 참조 행동의 발생 빈도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주의 유도 단계에서는 음악적 단서를 제공했을 때 ASD 아동의 공동주의 반응 행동 수준을 높게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와 일치한 결과를 보였다. 이어 후속 자극 제공 단계에서는 음악 후속 자극이 ASD 아동의 사회적 참조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킨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음악 후속 자극이 단서로서의 감각자극에서 나아가 대상자로 하여금 타인의 사회적, 정서적 정보를 이해하고 반응하도록 유도하는데 그 적용 범위가 확장된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ASD 아동의 공동주의 행동 이후 제공하는 후속 음악 자극이 효과적인 사회적 강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국악기 근접 마이크로폰 테크닉스를 위한 연구 (가야금, 해금, 대금, 꽹과리) (Study on Close Microphone Technique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Gayageum, Haegeum, Daegeum, and Kkwaenggwari))

  • 한제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4753-4761
    • /
    • 2013
  • 본 연구는 국악기 방사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마이크로폰의 설치 각도와 거리를 설정하여 국악기소리를 녹음한 후 녹음된 데이터를 주파수 스펙트럼과 반복청취를 통하여 음색특징을 분석, 가장 적합한 마이크로폰의 위치 및 녹음위치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은 대중음악에 사용되어지는 근접 마이크로폰 테크닉을 위한 실험이며 대중음악 녹음 스튜디오에서 이루어 졌다. 이 연구는 녹음 시 가장 적합한 마이크로폰의 위치 제시와 함께 다양한 위치에서 나타나는 음색의 차이를 설명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아름다운 우리 국악기 소리를 정확하게 표현하고 다양한 음색을 표현하기 위한 국악기 근접 마이크로폰 테크닉스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Matrix Pencil 기법을 이용한 근거리 음원 위치 추정 기법 (Near-field Source Localization Method using Matrix Pencil)

  • 정태진;이수형;윤경식;이균경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47-251
    • /
    • 2013
  • 본 논문은 선형 선배열에서 Matrix Pencil(MP) 기법을 이용해 별도의 탐색과정 없이 근거리 음원의 방위를 추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은 선형 선배열에서 근거리 음원이 가지는 대칭성을 이용하여 조향 벡터를 거리 독립적인 항으로 변화 시킨 후 MP 기법을 적용한다. 각 음원의 거리는 앞서 추정된 방위 정보를 이용하여 음원 수만큼의 1차원 MUSIC 기법을 적용하여 추정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성능 검증을 하였다.

가상확장 어레이를 이용한 공간스펙트럼의 분해능 향상 (Resolution Enhancement of Spatial Spectrum by a virtually Expanded Array)

  • 김영수;김영수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1414-1419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임의 배열 안테나에 입사하는 다중 협대역 인코히런트 신호를 분리 추정하기 위한 분해능 향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도래각 추정 알고리즘의 분해능은 배열 안테나 개구면의 크기에 좌우되므로 분해능을 좋게 하기 위해서는 개구면을 크게 해야 한다. 그러나 실환경하에서 배열 안테나의 개구면 크기를 증기시키는 것은 비 실용적이므로 배열 안테나의 센서간격을 가상적으로 확장시킴으로서 개구면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적절한 변환 행렬을 사용하여 이 가상 배열 안테나의 스티어링 행렬을 구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등간격 협대역 인코히런트 신호가 원형배열 안테나에 입사되었을 경우에 제안된 방법이 표준 MUSIC보다 뛰어난 분해성능을 보여주었다.

  • PDF

치료사-내담자 관계에서 음악의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Role of Music in Therapist - Client Relationship)

  • 이혜주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3권2호
    • /
    • pp.29-44
    • /
    • 2006
  • 치료사와 내담자의 관계에서 신뢰 형성과 이해는 효과적인 치료를 위한 기본적인 요소이다. 치료활동에 있어서 효과적인 동반자 관계는 치료 전 과정의 기초가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은 비단 음악치료 뿐만이 아니라 정신심리학적 치료나 상담치료 등에서도 같은 맥락을 가지고 중요시 하고 있다. 이러한 중요성 때문에 치료사와 내담자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폭넓게 이루어져 왔다. 여기에 최근의 연구는 치료사나 내담자 한 쪽의 일방적인 영향만을 고려하거나, 각자의 내적 변인들에 초점을 두어 연구하는 전통적인 견해를 탈피하여, 치료사와 내담자의 상호영향을 동시에 고려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의 연구동향에 주목하여 음악치료 환경에서 나타나는 치료사와 내담자의 관계에서, 음악이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알코올 중독 판정을 받은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총 11회의 음악치료를 실시하였다. 처음 3회 세션은 연구 대상 여성을 포함한 그룹으로 진행되었으며, 4회부터 11회까지는 개인 세션으로 진행되었다. 이 중 개인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비디오 오디오 자료를 토대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방법은 Amir(1990)가 음악 연구를 위해 사용한 Ferrara(1984)의 현상학적 연구 7단계를 변용한 것을 참조하였으며, 활동 중 나타나는 내담자의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에서 나타나는 음악적 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에 있어서, 세션에서 얻어진 비디오 오디오 자료를 문서화하는 작업은 음악치료에서 qualitive research 연구를 위한 guide인 Henk Smeijsters,의 저서 "Multiple Perspective"에서 Researchers as Instruments 부분을 참조하였다. 즉흥연주 활동에서 나타난 내담자의 음악 분석은 Bruscia의 저서 "Improvisational Models of Music Therapy"에서 Bruscia의 모델인 Improvisation Assessment Profile과 Alvin모델인 Free Improvisation Therapy를 참조하였다. 연구 결과 음악과 악기는 치료사와 내담자의 관계를 중재하여 치료과정을 용이하게 해준다는 점을 보여 주었다. 음악과 악기가 감정전이의 주 역할을 맡음으로써, 치료사와 내담자 관계에 있어서 나타날 수 있는 부정적 감정전이로부터 치료사를 보호함과 동시에, 치료사-내담자 사이의 긍정적인 관계형성을 유지하게 해주었다. 이때 음악과 악기가 감정전이의 주 역할을 담당한다는 점은 내담자의 갈등이 대인 관계적 상황이 아닌 음악적 상황에서 나타났음을 증거 한다. 이는 세션 중 치료사와 내담자의 관계 형성에 있어서 음악이 그 중심이 되며, 치료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암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