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HABITAT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32초

표지 및 재포획 방법(Jolly-Seber Model)을 이용한 백곡천 미호종개(Cobitis choii) 개체군크기 추정 (Applying the Jolly-Seber Model to Estimate Population Size of Miho spine roach (Cobitis choii) in the Backgok Stream, Korea)

  • 배대열;문운기;장민호;장규상;서정빈;김원장;김재옥;김재구
    • 생태와환경
    • /
    • 제45권3호
    • /
    • pp.322-328
    • /
    • 2012
  • 금강수계 백곡천 상류에 서식하는 미호종개(국가 천연기념물)를 대상으로 형광물질 주입에 의한 다중표지-재포획법(졸리-시바모델적용)으로 개체군 크기를 추정하였다. 총 어류조사지점은 335개였고, 그 중 미호종개가 출현 지점은 217개 였다. 본 연구에서 추정한 미호종개 평균 개체군 크기는 6,143개체였다. 이는 2009년 환경부에서 수행한 미호종개 개체군 규모와 비교 했을때보다 41% 감소된 것이다. 백곡천에서 본 종의 감소는 미소서식지 훼손, 퇴적물, 서식환경의 악화 등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백곡천 본 종의 개체군 회복 미소서식지 보호를 위해 서식지복원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거금도와 장흥에 서식하는 한국고유종 남방종개 Iksookimia hugowolfeldi의 미소서식처 특성 (Microhabitat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Endemic Cobitid Species Iksookimia hugowolfeldi Inhabited at Geogeum Island and Jangheung-gun in Korea)

  • 박철우;김형수;김재구;윤승운;김현태;박종성;최웅선;조윤정;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5-40
    • /
    • 2016
  • 잉어목 미꾸리과에 속하는 한국고유종 남방종개의 하상구조, 유속, 유폭, 하폭 등의 서식처 특성을 전라남도 고흥군 금산면 거금도와, 전라남도 장흥군 안양면 수문리 지점에서 조사하였다. 거금도 개체군은 유속이 0.1 m/s, 수심 0.8 m 이하의 하상이 모래와 잔자갈로 이루어진 소에서 집단으로 서식하였다. 또한 당년생 치어는 수심이 0.3 m 이하인 모래 하상의 소에 대부분 분포하였다. 장흥 개체군 또한 유속이 0.1 m/s, 수심 0.8 m 이하의 하상이 모래와 잔자갈로 이루어진 소를 선호하였다. 거금도와 장흥의 동소서식종은 각각 4과 7종으로 나타났으며 집단내에서 남방종개는 우점 및 아우점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방댐 준설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ediment Control Dam Dredging on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of Mountain Stream)

  • 김봉성;이창우;서을원;이종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3호
    • /
    • pp.454-460
    • /
    • 2012
  • 본 연구는 사방댐의 준설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경북북부지역 예천, 영주, 봉화의 산간계류에 위치한 사방댐을 대상으로 준설 전 후로 조사하였다. 조사는 실험수계 3곳과 대조수계 2곳의 사방댐을 기준으로 상류와 하류로 설정하여 2011년 5월부터 8월까지 이루어졌다. 실험수계에서 준설 전 4문 6강 11목 31과 56종이 출현하였으나, 준설 후 4문 5강 10목 27과 51종으로 감소하였다. 이와 같이 사방댐 준설후 발생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미소서식처 파괴는 종수 및 개체수의 감소로 이어졌으며, 특히 실험수계의 상류지점에서는 종수가 평균 38% 감소하였다. 전반적으로 준설 후 실험수계에서 종풍부도지수와 종다양도지수가 감소했지만, 우점도지수는 증가하였다. 실험수계의 상류지점에서 미소서식처의 파괴와 정수역이 형성되었으며, 유속이 감소하고 하상구조는 모래나 실트로 단순해졌다. 그에 따라 상류지점의 섭식기능군과 서식기능군의 종조성은 단순해졌으며, 상 하류 군집의 차이가 커졌다. 또한 상류지점에서는 유속이 느리거나 정수역을 선호하는 깔따구류(Chironomidae spp.), 부채장수잠자리류(Gomphidae spp.), 하루살이류(Ephemeridae spp.)의 개체수 비율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군집의 균형성을 나타내는 EPT/C 지수가 감소하였다.

섬진강에 서식하는 모래주사 Microphysogobio koreensis의 산란 미소서식 환경 (Spawning Microhabitat of Microphysogobio koreensis (Pisces: Cyprinidae) in the Seomjin River, Korea)

  • 윤승운;김재구;김현태;박종성;김치홍;이용주;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5-140
    • /
    • 2013
  • 잉어과에 속하는 모래주사 Microphysogobio koreensis는 현재 환경부에 의해 멸종위기종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는 고유종이다. 본 연구에서는 모래주사의 산란장 하상구조 등의 산란 미소서식 환경을 조사하였다. 이들의 산란 서식처는 큰돌, 작은돌, 자갈, 잔자갈 등으로 구성된 Bb type이며, 수심은 약 0.3~1.0 m, 유속은 빠른 $0.5{\pm}0.2$ m/sec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산란이 일어나는 산란장은 수심이 $0.4{\pm}0.1$ (0.4~0.6)m로 얕은 반면에 유속은 $0.8{\pm}0.1$ (0.6~0.9) m/sec로 빨랐으나 수정란이 부착되어 있는 장소는 오히려 0.4 m/sec로 느렸다. 산란은 수온이 $20^{\circ}C$가 되는 5월초에 이루어졌으며, 자갈 표면이나 틈 사이에 알을 낳는다. 이러한 산란장의 특성은 수정란이 휩쓸려 나가지 못하게 하는 기능과 함께 산소공급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산란시기 이후에 모래주사들은 이 산란장에서 거의 출현하지 않는 특징을 보여 모래주사 개체들은 산란 후 댐호나 수심이 깊은 하류로 이동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Fauna of Macroinvertebrates and Composition of Functional Feeding Groups about the Aquatic Insects to Microhabitats from the Geum River, Korea

  • Park, Young-Jun;Cho, Young-Ho;Han, Yong-Gu;Oh, Hong-Sik;Kwon, Oh-Seok;Nam, Sang-H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5호
    • /
    • pp.415-424
    • /
    • 2006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fauna of macroinvertebrate and composition of functional feeding groups about the aquatic insects to microhabitat from the Geum River, Korea. This study is based on investigations of the main channel of Geum River, Korea which is upstream of Daecheong Dam, and carried out in the spring and autumn of 2004. Collections from all the sites were 39,532 individuals, 130 species, 54 families, 16 orders, 7 classes, and 4 phyla of macroinvertebrates. Aquatic insects were composed of 90.76% (118 species) and 98.88% (39,088 individuals) of all the identified species. Among the microhabitats, the riffles were collected 26,293 individuals and 92 species, and the runs were collected 12,329 individuals and 89 species. Finally, the pools were collected 494 individuals and 41 species. In this survey, the proportions of functional feeding groups of aquatic insects were as follows (percent of identified): predators 37.65%, gathering-collectors 23.53%, scrapers 16.47%, filtering-collectors 11.76%, shredders 9.41% and plant-piercers 1.18%. Also, the functional feeding groups were sorted according to microhabitat, in the riffles 30.65% were predators and 29.03% were gathering-collectors; in the run 30.3% were predators, and 28.79% were gathering-collectors; while in the pools 36.67% were predators, and 30.0% were gathering-collectors. In all microhabitats, gathering collectors and predators were predominant, because most of the survey sites are in the midstream. Also, the scrapers were shown more frequently in the riffle (17.74%) and run (18.18 %) than pool (13.13%), the filtering-collectors were shown more frequently in the riffle (14.52%) and the run (12.12%) than the pool (6.67%), and the plant-piercers (3.33%) were found only in pools. But the shredders weren't a difference in the run (10.61%), the pool (10.0%) and the riffle (8.06%),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 Microhabitats (riffle and run) are much alike in composition ratio of functional feeding groups and pool was very lower out of composition ratio in microhabitats. But riffle is very important than run, because most of individual occur in streams. Besides, pool was diverse to composition ratios, considering the number of individuals.

탄천의 서식처별 어류상과 피라미 개체군의 특징 (The Characteristic of Fish Fauna by Habitat Type and Population of Zacco platypus in the Tan Stream)

  • 최준길;장창렬;변화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1-80
    • /
    • 2011
  • 2009년 8월부터 2010년 4월까지 탄천 9개 미소서식지에서 어류상과 피라미 개체군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동안 채집된 어류는 총 7과 17종개체가 확인되었다. 출현한 어종 중 한국고유종은 Hemiculter eigenmanni와 Odontobutis interrupta로 2종(11.8%)이었으며 국외도입종은 Microterus salmoides 1종 이었다. 우점종으로는 Zacco platypus, 아우점종으로는 Carassius auratus 이었다. 서식처별로는 댐형 웅덩이, 사행형 웅덩이, 평여울, 거석형 웅덩이 등에서 Carassius auratus가 우점하였고, Pseudogobio esocinus는 샛강, Rhinogobius brunneus는 급여울, Z. platypus 는 개방형 하도습지, 낙차형 웅덩이, 폐쇄형 웅덩이 등에서 우점하였다. Z. platypus의 성장도와 비만도의 회귀계수 b값이 3.29의 값으로 나타났고 PCA 분석 결과 탄천에서 크게 3개의 Group으로 나누어졌다. 탄천의 서식처 별 Bray-Curtis Cluster 분석을 실시한 결과 낙차형 웅덩이와 폐쇄형 하도습지가 65.9%로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30.4%로 댐형 웅덩이와 급여울이 가장 대조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Detecting response patterns of zooplankton to environmental parameters in shallow freshwater wetlands: discovery of the role of macrophytes as microhabitat for epiphytic zooplankton

  • Choi, Jong-Yun;Kim, Seong-Ki;Jeng, Kwang-Seuk;Joo, Gea-Jae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8권2호
    • /
    • pp.133-143
    • /
    • 2015
  • Freshwater macrophytes improve the structural heterogeneity of microhabitats in water, often providing an important habitat for zooplankton. Some studies have focused on the overall influence of macrophytes on zooplankton, but the effects of macrophyte in relation to different habitat characteristics of zooplankton (e.g., epiphytic and pelagic) have not been intensively studied. We hypothesized that different habitat structures (i.e., macrophyte habitat) would strongly affect zooplankton distribution. We investigated zooplankton density and diversity, macrophyte characteristics (dry weight and species number), and environmental parameters in 40 shallow wetlands in South Korea. Patterns i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self-organizing map (SOM), which extracts information through competitive and adaptive properties. A total of 20 variables (11 environmental parameters and 9 zooplankton groups) were patterned onto the SOM. Based on a U-matrix, 3 clusters were identified from the model. Zooplankton assemblag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macrophyte characteristics (i.e., dry weight and species number). In particular, epiphytic species (i.e., epiphytic rotifers and cladocerans) exhibited a clear relationship with macrophyte characteristics, while large biomass and greater numbers of macrophyte species supported high zooplankton assemblages. Consequently, habitat heterogeneity in the macrophyte bed was recognized as an important factor to determine zooplankton distribution, particularly in epiphytic species. The results indicate that macrophytes are critical for heterogeneity in lentic freshwater ecosystems, and the inclusion of diverse plant species in wetland construction or restoration schemes is expected to generate ecologically healthy food webs.

밀어속(genus Rhinogobius, Gobiidae) 어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II. 한국산 밀어(R. brunneus complex) 3型의 분포 및 분류학적 고찰 (Systematic studies on the freshwater goby, Rhinogobius species (Percifromes, Gobiidae). II. BEographic distribution and taxonomic status of three color types in the Rhinogobius brunneus complex from South Korea.)

  • 김종범;양서영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2권4호
    • /
    • pp.331-347
    • /
    • 1996
  • 한국산 밀어(R. brunneus complex)에 대한 지리적 변이 및 분포를 조사한 결과 반 문 및 체색 등에 뚜렷한 차이가 있는 3type이 채집되었다. 이들은 유전적으로도 typerks에 총 genome의 26-30%(A-B type : 30%, A-C type : 30%, B-C type : 26%) 차이가 있어 유전적 근연치(Rogers' S)가 S=0.628-0.661(A-B type : 0.631, A-C type : 0.628, B-C type : 0.661)로 뚜렷한 유전적 차이를 나타냈다. 각 type의 유전적 변이 정도를 비교한 결과 A-type은 평균 P=25.90%, Ho=0.081, He=0.092로 B-type(P=12.33%, Ho=0.037, He=0.044)과 C-type(P=11.10%, Ho=0.032, He=0.048)에 비하여 약 2배 이상 높은 특징을 보였다. 이들 3 type의 분류학적 위치를 명확히 구명하고자 3type이 모두 서식하는 고성의 북천에서 유전적 표식인자를 이용하여 각 typerks의 생식적 격리 수준을 분석하였다. 이들 3 type은 동서(同 棲)하천에서 하구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parapatric 하게 서식하면서 각 typerks에 유전자 교 환이 전혀없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3type은 이미 생식적 격리가 완성되고 미세분포역에 차이가 있는 별종으로 판단되었다.

  • PDF

Dietary composition of two coexisting bat species, Myotis ikonnikovi and Plecotus ognevi, in the Mt. Jumbong forests, South Korea

  • Sungbae Joo;Injung An;Sun-Sook Kim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7권4호
    • /
    • pp.168-176
    • /
    • 2023
  • Background: Many insectivorous bats have flexible diets, and the difference in prey item consumption among species is one of the key mechanisms that allows for the avoidance of interspecies competition and promotes coexistence within a microhabitat. In Korea, of the 24 bat species that are known to be distributed, eight insectivorous bats use forest areas as both roosting and foraging sites. Here, we aimed to understand the resource partitioning and coexistence strategies between two bat species, Myotis ikonnikovi and Plecotus ognevi, cohabiting the Mt. Jumbong forests,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in dietary consumption based on habitat utilization. Results: Upon examining their dietary composition using the DNA meta-barcoding approach, we identified 403 prey items (amplicon sequence variants). A greater prey diversity including Lepidoptera, Diptera, Coleoptera, and Ephemeroptera, was detected from M. ikonnikovi, whereas most prey items identified from P. ognevi belonged to Lepidoptera. The diversity index of prey items was higher for M. ikonnikovi (H': 5.67, D: 0.995) than that for P. ognevi (H': 4.31, D: 0.985). Pianka's index value was 0.207, indicating little overlap in the dietary composition of these bat species. Our results suggest that M. ikonnikovi has a wider diet composition than P. ognevi. Conclusions: Based on the dietary analysis results, our result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differences in foraging site preferences or microhabitat utilization between two bat species cohabiting the Mt. Jumbong. In addition, these differences may represent one of the important mechanism in reducing interspecific competition and enabling coexistence between the two bat species. We expected that our results will be valuable for understanding resource partitioning and the coexistence of bats inhabiting the Korean forests.

유속분포에 따른 미호천에서의 미시서식처 분류 (Microhabitat Classification Using Velocity Distribution at Miho River)

  • 이현석;이근상;서진원;김준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874-187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물고기 서식처의 수리조건을 조사하기 위한 현장조사와 대상지에서의 미시서식처의 분포를 파악하기위한 수치계산을 실시하였다. 현장조사는 미호천과 금강이 합류되는 지점으로부터 약 24km 상류에 위치한 동경127도26분-북위36도41분 충북 청원군 오창면의 미호천 일부구간을 대상으로 수리학적 특성 조사, 지형측량 및 서식처별 대표어종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수치실험은 하천에서의 흐름거동을 2차원적으로 해석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는 상용프로그램인 SMS (Surface - Water Modeling System)의 RMA2 모형에 현장조사로부터 얻은 결과들을 입력함으로서 진행하였다. 그 결과 유속과 수심에 따른 서식처 구분이 가능하였으며, 현지특성을 재현한 수치모형 결과는 대상하천에서의 서식지 분포를 정량적으로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