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G paper

검색결과 1,085건 처리시간 0.029초

잔디상토로서의 제지스럿지와 연탄재 이용에 관한 연구 (Use of Paper Mill Sludge and Briquet Ash as Root Zone Soil Mixtures for Thrfgrass Culture)

  • 구자영;김태일;안주원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22
    • /
    • 1992
  • To determine the use of waste materials as root zone soil mixtures for turfgrass culture, the effects of paper mill sludge and briquet ash on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 and growth of turfgrasses were examined. Three turfgrass species of zoysiagrass(Zoysia japonicaSteud.). kentycky bluegrass(Poa pratensis L. 'Ram I') and creeping bentgrass(Agrostis panistris Huds 'Persucross') were cultured in 32cm diameter plastic pots containing various soil mixtures. The basic ingredients used for mixtures included sand(SD), field soil(SL), paper mill sludge(PS), sphagnum peat moss(PM) and briquet ash(BA). Seven combinations using these ingreients were mixed in different percentage by volume as follows: SD+SL+PM(80:10.10), SH+SL+PS(80:10:10), SD-PM(80:20), SD+PS (80:20), SD+BA(80:20), SD+BA+PM(60:20:20) and SD+BA+PS(60:20:20). 1. Paper mill sludge showed pH of 6.6, more than 30% of organic matter content, and higher concentrations of total N, P, k, Ca, Mg and CEC. Bulk density, fild moisture capacity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soil mixtures were increased by the comimation of 10~20% PS by volume. 2. Briquet ash showed pH of 8.0, and higher levels of P, k, Ca and Mg than those of field soiks. Bulk density, field moisture capacity and hardenss of soil mixtures were increased but vertical water flow rate and electrical conductivity were decreased by the combination of 20% BA by volume. 3. Phytotoxic effects of PS and BA on growth of turfgrasses were not found. Shoot growth of all three species was higher in soil combination of SD+BA+PS than that of SD+SL+PM added with fertilizer. However, root growth was better in soil mixtures combined with PM. Soil mixtureomposed of 60% SD, 20% BA and 20% PS by volume was most effective on growth of all three species. 4. Paper mill sludge resulted in higher N level in the leaf tissue.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such as Cd and Ph did not vary significantly among soil mixtures and species. However, the Mn level was 2~3 times higher in plants growh in mixtures containing PM compared with others, and especially it was higher in creeping bentgrass than other species.

  • PDF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 지상부(잎과 줄기)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Aerial Part (Leaf and Stem) Extracts of Cnidium officinale Makino, a Korean Medicinal Herb)

  • 정동선;이나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0-35
    • /
    • 2007
  • 약용식물인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의 미활용 부위의 생리활성 탐색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천궁 지상부(잎과 줄기)를 ethyl acetate, methanol, 물의 3가지 용매로 추출한 후, paper disc method와 microtiter broth dilution method를 이용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천궁 지상부 ethyl acetate 추출물과 methanol 추출물은 비교적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Gram 양성균, Gram 음성균, 그리고 효모 등에 대해 broad한 항균범위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ethyl acetate 추출물은 0.4 mg/disc의 농도에서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typhimurium, Listeria monocytogenes등의 식중독균에 대해 각각 9.7 mm, 9.2 mm, 10.0 mm의 억제환을 보였다. Saccharomyces cerevisiae에 대한 항진균활성은 물 추출물과 유기용매 추출물에서 확인되었다. 그러나 물 추출물의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은 유기용매 추출물에 비해 현저히 낮아 비교적 높은 농도에서 항균효과가 나타났다. 천궁 지상부 ethyl acetate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사용 농도와 균의 종류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0.5 mg/mL의 농도에서 Staphylococcus aureus와 Pseudomonas aerogenes의 생육은 완전히 저해되었으나, 0.25 mg/mL 이하의 농도에서는 생육억제효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nterobacter cloacae는 0.5 mg/mL의 추출물 처리에 의해 생육이 2 log cycle정도 억제된 반면, Escherichia cole는 비교적 저항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천궁의 ethyl acetate 추출물은 열에 매우 안정하여 $100^{\circ}C$ 30분 또는 $121^{\circ}C$에서 15분간의 열처리(autoclave)에 의해서 항균활성이 감소되지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천궁의 근경 이외의 미활용자원인 잎과 줄기 등의 지상부위를 이용한 천연 항균소재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고형연료(SRF)시설로 반입되는 폐기물의 영향 및 유해성물질 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oxious Materials in the Waste Shipped into Solid Recovered Fuel(SRF) Facilities and Their Influence)

  • 이승원;김상훈;이상석;김정권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1-97
    • /
    • 2018
  • This study carried out first a component survey on the domestic waste shipped into a waste disposal facility in B city, and then heavy metal analysis of each component according to the SRF standards. Based on this, this study explored the problems with domestic waste and measures to improve th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result of the survey of physical components show that paper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with 20.5 %~59.9 %, metals (including batteries) among incombustibles accounted for 0.0~8.3 %, other inorganic substances, glass and ceramics accounted for 0.0~43.7 % and 0.0 %~19.6 % respectively. However, the proportion of coated viny and plastics, which have high lead and cadmium content, was rather high with 2.9 %~30.9 %.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actual concentration of lead and cadmium within SRF is likely to be higher. Among the 15 components contained in the waste brought into the waste disposal facility, 10 components (food waste, textiles, vinyl, plastics, wood, rubber and leather, paper, metals, electronic substrates, and nail polish) were analyzed according to assay samples (approximately 0.1 g and 0.3 g).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the amount of Cd and Pb detected in coated vinyl for 0.109 g of assay sample was 98.6 mg/kg and 20.6 mg/kg respectively; 117.0 mg/kg and 29.0 mg/kg respectively for 0.313 g of assay sample. This is high contents exceeding the Cd standard. As for wooden component, the amount of Pb was 480.0 mg/kg for 0.3 g of assay sample. This suggests that there always exists the possibility of exceeding the exposure level of heavy metals (Cd and Pb) in SRF as long as coated wood and vinyl plastics with high contents of Pb and Cd are shipped into the waste disposal facility; and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residents need to work hard to improve the situation including development of the machine to sort electronic substrates and batteries for separate collection of the waste of coated vinyl and plastics within domestic waste.

선인장 추출물이 인체 장내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ctus Extracts on Human Intestinal Microflora)

  • 라보현;이운종;조윤원;김광엽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3호
    • /
    • pp.45-5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인체 내 장내 세균 및 병원성 식중독 세균에 선인장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과 항산화, 항고혈압 활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항균활성은 96well-plate법과 paper disc법을 이용하여 실험하였으며 줄기 추출물의 경우 96well-plate 및 paper disc법의 결과, 장내유해균인 Eubacterium limosum 및 Clostridium perfringens, C. butyricum, C. difficile과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하여 높은 억제율을 보였으나 Bacteroides fragilis, Bifidobacterium bifidum, Lactobacillus acidophilis, Streptococcus thermophilus의 경우 억제율을 나타내지 않았다. 열매 추출물의 경우 장내유해균 및 장내유익균에 Bacteroides fragilis, Bifidobacterium bifidum, Lactobacillus acidophilis, and Streptococcus thermophilis에 대하여 억제율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줄기 추출물의 경우 열 및 pH에서도 장내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에 안정함을 나타내었다. 선인장 추출물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열처리하지 않은 열매와 줄기 추출물의 폴리페놀은 3.02 mg/g, 5.85 mg/g, 플라보노이드는 1.04 mg/g, 2.1 mg/g, 전자공여능은 87, 88%로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선인장 추출물의 항고혈압활성은 줄기 추출물의 경우 88.8% 열매 추출물의 경우 69.2%의 항고혈압활성을 보였으며 상기 결과를 종합할 때, 선인장 줄기추출물은 장내 유해균의 억제 및 유익균의 증진을 통한 장내 균총 개선을 위한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유화제를 이용한 계육 표면에서 Campylobacter jejuni의 부착 제어 (Adhesion control of Campylobacter jejuni in chicken skin using emulsifiers)

  • 오도건;김광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6호
    • /
    • pp.670-67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세균성 식중독의 원인균인 C. jejuni의 주 감염원인 계육에 대하여, 식품공전에 등재된 식품첨가물 중 유화제를 이용하여 계육에서 C. jejuni의 부착을 제어 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8종의 유화제를 200 mg/mL의 농도에서 paper disc agar diffusion method로 C. jejuni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색한 결과 L-7D, L-1695, polysorbate 20, polysorbate 80 등 4종의 유화제에서 생육억제환을 생성하였다. L-7D, L-1695, polysorbate 20, polysorbate 80 4종의 유화제를 25, 50, 100, 200 mg/mL의 농도에서 항균활성을 검색한 결과, 농도가 작아질수록 생육억제환의 크기도 줄어들었으며, 유화제 중 L-1695 샘플이 200 mg/mL에서 가장 큰 생육억제환을 생성하였다. pH 및 열에 대해 안정성을 측정한 결과 L-7D, L-1695, polysorbate 20, polysorbate 80 4종의 유화제 모두 pH 및 열에 안정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최소저해농도를 측정한 결과 다른 유화제 L-7D, polysorbate 20, polysorbate 80 샘플과 비교하였을때 L-1695 샘플이 1.56 mg/mL에서 가장 좋은 최소저해농도를 나타냈다. 최소살균 효과는 L-7D, L-1695, polysorbate 20, polysorbate 80 4종의 유화제 모두 나타나지 않았다. 접촉표면의 부착제어능력을 확인하기 위해서 stainless steel과 ceramic에서 실험한 결과, 두 접촉 표면 모두에서 L-1695 샘플 처리 시 가장 적은 생균수를 나타냈다. 앞선 실험의 종합적인 결과에 따라 L-1695 유화제를 최종적으로 선별하고, 계육 피부에 부착된 C. jejuni에 영향을 주는지 CLSM으로 분석한 결과 대조구에 비하여 conventional spray 및 electrostatic spray를 처리하였을 때 모공에 부착된 균이 대다 수 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생균수를 확인해 본 결과 conventional spray와 electrostatic spray 처리 시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위 결과들을 종합한 결과 C. jejuni KCTC 5327에 대하여 L-1695 유화제는 생육을 억제시키지만, 살균효과는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L-1695 유화제는 식품접촉표면에서 캠필로박터균의 부착을 저해하는 특성을 갖고 있으며, 계육 피부에 인위접종된 C. jejuni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볼 때, 실제 도계공정에서 세척수에 포함시켜 C. jejuni의 제어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모발에 대한 연구 (제3보) 한국인두발의 Trace Element의 함량조사보고 (Biochemical Studies on Hair(III) Trace Elements Content of Korean Women's Hair)

  • 허검;전순기;이자혜
    • 약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2-13
    • /
    • 1959
  • The contents of trace elements of the 44 Korean women's hair samples are studied quantitatively by means of th ecircular paper chromatography method in this paper. The elements studied are Fe, Co, Cu, Ni, Mn, Mg, Ca, and Zn. The age distribution of subjecte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and 2.

  • PDF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해수로부터 고농도 마그네슘 용액의 제조 (Production of Concentrated Magnesium Solution from Seawater Using Industrial By-products)

  • 조태연;김명진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5권3호
    • /
    • pp.63-7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해수로부터 마그네슘을 농축하기 위하여 세 가지 침전제(NaOH, 시멘트 킬른 더스트, 제지슬러지소각재)를 이용하여 마그네슘을 침전시키고, 황산을 이용하여 마그네슘을 용출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사용한 침전제의 종류와 상관없이 침전반응 효율은 거의 100%이었고, 용출반응 효율은 77 - 89%로 비슷하였다. 용출액의 마그네슘 농도가 4975 - 5775 mg/L이었는데, 이것은 침전반응과 용출반응을 통해 해수의 마그네슘이 3.8 - 4.4배 농축되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침전제로 사용한 산업부산물의 반응효율은 거의 100%로 기존의 고가 침전제와 비슷하였다.

식품위해성 미생물에 대한 대황(Rheum tanguticum) 메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 및 성분분석 (Antimicrobial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from Rheum tanguticum against Food Hazardous Microorganisms and the Composition of the Extract)

  • 임미경;김미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70-476
    • /
    • 2003
  • 식품 위해성 세균과 곰팡이에 대하여 대황 메탄을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paper disc법으로 조사하였고 최소생육저해농도를 결정하였다. 또한 GC/MS를 이용하여 대황 메탄을 추출물에서 분리된 각 peak의 성분과 함량을 분석하였다. 대황 메탄을 추출물은 p. aeruginosa에 대해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S. aureus와 S. typhimurium에 대해서도 상당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대황 메탄을 추출물은 250mg/$m\ell$농도에서 S. aureus의 생육을 저지시켰으며 300mg/$m\ell$농도에서 p. aeruginosa와 S. typhimurium의 생육을 억제시켰다. 대황 메탄을 추출물을 GC/MS로 분석한 결과 전체 120가지의 성분이 분석되었으며 이 중 추출물에 함유된 ketones 화합물이 39%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항균물질로 알려진 phenol성 화합물인 2-methoxy-phenol, 4-vinyl-2-methoxy-phenol 등이 대황 메탄을 추출물에서도 검출되었다.

Pigment and Saikosoponin Production Through Bioreactor Culture of Carthamus tinctorius and Bupleurum falcatum

  • Wenyuan Gao;Lei Fan;Hahn, Eun-Joo;Paek, Kee-Yoeup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권1호
    • /
    • pp.1-5
    • /
    • 2001
  • Traditional culture technology of medicinal plants mainly depends on the field culture, which has many problems. With progress of modern culture technology, it has become possible to produce valuable secondary metabolites from medicinal plants. In this paper, we discuss about the pigment and saikosaponin production from too medicinal plants, Carthamus tinctorius and Bupleurum falcatum, through bioreactor culture system. A two-stage bioreactor culture system was established for the production of yellow and red pigments and saikosaponins by cell suspension cultures of Carthamus tinctorius and Bupleurum falcatum. In Carthamus tinctorius, balloon type airlift bioreactors and column type airlift bioreactors were employed for the tell culture and for the pigment production, respectively. The greatest pigment production was obtained on White medium supplemented with 4 mg/L kinetin, high levels of sucrose concentration and photosynthetic photon flux. In Bupleurum falcatum, adventitious roots were cultured in balloon type airlift bioreactors and the root growth was greatest on SH medium containing 5 mg/L IBA and 0.2 mg/L kinetin. HPLC analysis showed that the contents of main active saikosaponins a, c, and d in adventitious roots were almost the same as those in field cultured roo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