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K1/2

검색결과 171건 처리시간 0.037초

Ginsenoside Rg1 activates ligand-independent estrogenic effects via rapid estrogen receptor signaling pathway

  • Gao, Quan-Gui;Zhou, Li-Ping;Lee, Vien Hoi-Yi;Chan, Hoi-Yi;Man, Cornelia Wing-Yin;Wong, Man-Sau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3권4호
    • /
    • pp.527-538
    • /
    • 2019
  • Background: Ginsenoside Rg1 was shown to exert ligand-independent activation of estrogen receptor (ER) via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mediated pathway. Our study aimed to delineate the mechanisms by which Rg1 activates the rapid ER signaling pathways. Methods: ER-positive human breast cancer MCF-7 cells and ER-negative human embryonic kidney HEK293 cells were treated with Rg1 ($10^{-12}M$, $10^{-8}M$), $17{\beta}$-estradiol ($10^{-8}M$), or vehicle. Immunoprecipitation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s between signaling protein and ER in MCF-7 cells. To determine the roles of these signaling proteins in the actions of Rg1, small interfering RNA or their inhibitors were applied. Results: Rg1 rapidly induced $ER{\alpha}$ translocation to plasma membrane via caveolin-1 and the formation of signaling complex involving linker protein (Shc), insulin-like growth factor-I receptor, modulator of nongenomic activity of ER (MNAR), $ER{\alpha}$, and cellular nonreceptor tyrosine kinase (c-Src) in MCF-7 cells. The induction of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protein kinase and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kinase (MEK) phosphorylation in MCF-7 cells by Rg1 was suppressed by cotreatment with small interfering RNA against these signaling proteins. The stimulatory effects of Rg1 on MEK phosphorylation in these cells were suppressed by both PP2 (Src kinase inhibitor) and AG1478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inhibitor]. In addition, Rg1-induced estrogenic activities, EGFR and MEK phosphorylation in MCF-7 cells were abolished by cotreatment with G15 (G protein-coupled estrogen receptor-1 antagonist). The increase in intracellular cyclic AMP accumulation, but not Ca mobilization, in MCF-7 cells by Rg1 could be abolished by G15. Conclusion: Ginsenoside Rg1 exerted estrogenic actions by rapidly inducing the formation of ER containing signalosome in MCF-7 cells. Additionally, Rg1 could activate EGFR and c-Src ER-independently and exert estrogenic effects via rapid activation of membrane-associated ER and G protein-coupled estrogen receptor.

RASAL1 Attenuates Gastric Carcinogenesis in Nude Mice by Blocking RAS/ERK Signaling

  • Chen, Hong;Zhao, Ji-Yi;Qian, Xu-Chen;Cheng, Zheng-Yuan;Liu, Yang;Wang, Zh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3호
    • /
    • pp.1077-1082
    • /
    • 2015
  • Recent studies have suggested that the RAS protein activator like-1 (RASAL1) functions as a tumor suppressor in vitro and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gastric cancer. However, whether or not RASAL1 suppresses tumor growth in vivo remains to be determined.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role of RASAL1 in gastric carcinogenesis using an in vivo xenograft model. A lentiviral RASAL1 expression vector was constructed and utilized to transfect the human poorly differentiated gastric adenocarcinoma cell line, BGC-823. RASAL1 expression levels were verified by quantitative real-time RT-PCR and Western blotting analysis. Then, we established the nude mice xenograft model using BGC-823 cells either over-expressing RASAL1 or normal. After three week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ver-expression of RASAL1 led to a significant reduction in both tumor volume and weight compared with the other two control groups. Furthermore, in xenograft tissues the increased expression of RASAL1 in BGC-823 cells caused decreased expression of p-ERK1/2, a downstream moleculein the RAS/RAF/MEK/ERK signal pathway. These findings demonstrated that the over-expression of RASAL1 could inhibit the growth of gastric cancer by inactivation of the RAS/RAF/MEK/ERK pathway in vivo. This study indicates that RASAL1 may attenuate gastric carcinogenesis.

Involvement of Corticotropin-releasing Factor Receptor 2β in Differentiation of Dopaminergic MN9D Cells

  • Jin, Tae-Eun;Jang, Miae;Kim, Hyunjung;Choi, Yu Mi;Cho, Hana;Chung, Sungkwon;Park, Myoung Kyu
    • Molecules and Cells
    • /
    • 제26권3호
    • /
    • pp.243-249
    • /
    • 2008
  • Corticotropin releasing factor (CRF) mediates various responses to stress through CRF receptors 1 and 2. CRF receptor 2 has two forms, $2{\alpha}$ and $2{\beta}$ each of which appears to have distinct roles. Here we used dopaminergic neuron-derived MN9D cells to investigate the function of CRF receptor 2 in dopamine neurons. We found that n-butyrate, a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induced MN9D cell differentiation and increased gene expression of all CRF receptors. CRF receptor $2{\beta}$ was minimally expressed in MN9D cells; however, its expression dramatically increased during differentiation. CRF receptor $2{\beta}$ expression levels appeared to correlate with neurite outgrowth, suggesting CRF receptor $2{\beta}$ involvement in neuronal differentiation. To validate this statement, we made a CRF receptor $2{\beta}$-overexpressing $MN9D/CRFR2{\beta}$ stable cell line. This cell line showed robust neurite outgrowth and GAP43 overexpression, together with MEK and ERK activation, suggesting MN9D cell neuronal differentiation. From these results, we conclude that CRF receptor $2{\beta}$ plays an important role in MN9D cell differentiation by activating the MEK/ERK signaling pathway.

Reduction of Dioxin-Induced Expression of cyplal Gene through Repression of AhR/Arnt DNA Binding by Mek-1 inhibitor PD98059

  • Park, Hyunsung
    • 한국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독성학회 2002년도 Molecular and Cellular Response to Toxic Substances
    • /
    • pp.60-66
    • /
    • 2002
  • Aryl hydrocarbons, environmental contaminants accumulate in tissue and pose potential risk in human health. 2,3,7,8-Tertachlorodibenzo-p-dioxin (TCDD) is known as a most potent toxicant among aryl hydrocarbons. TCDD elicits numerous toxic responses in experimental animals and human, including hepatic carcinoma, pulmonary and skin tumor in adult rodents, craniofacial abnormality during mouse embryogenesis, chloracne, reproductive abnormality, immunotoxicity, endocrine effects in exposed humans.(omitted)

  • PDF

DMF함유 혼합 유기용제에 대한 인화점의 측정과 평가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Flash Point for the DMF Contained Organic Solvent Mixtures)

  • 이정석;한우섭;이근원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4호
    • /
    • pp.9-1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합성피혁 제조 공정에서 주로 사용되는 혼합 유기용제 중에서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formamide, DMF)를 기준물질로 톨루엔과 메틸에틸케톤 등이 혼합된 2성분 및 3성분 혼합물질 7종류에 대하여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시험방법을 이용하여 인화점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몇 가지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인화점을 예측하고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2성분 혼합물에서 DMF 몰분율이 약 0.7 이하인 경우는 혼합물의 인화점이 25 ℃이하로 관측되어, 고인화점 물질의 혼합에 의한 인화점상승에 대한 효과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평균온도차이를 이용하여 각 모델별 예측값을 평가한 결과, 르샤틀리에 모델의 경우가 1.95 ℃로 측정값에 가장 근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Ascofuranone에 의한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발현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 of LPS-Induced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by Ascofuranone in Rat Kidney Fibroblast Cells)

  • 장영채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0호
    • /
    • pp.1438-1443
    • /
    • 2009
  • 이 연구는 신장섬유아 세포를 이용하여 LPS에 의해 유도된 신장섬유화 표적유전자인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 (PAI-1) 발현과 Ascofuranone (AF)에 의한 신장섬유화 저해효과를 연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LPS가 PAI-1의 발현을 농도 및 시간 의존적으로 증가시켜 LPS가 신장섬유화 유도물질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LPS로 유도된 PAI-1 mRNA 및 단백질 발현 레벨이 AF에 의해 저해되었으며, 신장섬유화의 또 다른 대표유전자인 fibronectin의 단백질 발현도 AF에 의해 억제되어 AF가 신장섬유화를 저해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AF에 대한 PAI-1 프로모터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p800-PAI-1-luc을 신장섬유아 세포에 형질전환 시킨 결과, AF가 PAI-1의 전사 활성 조절을 통해 발현을 억제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ERK-1/2의 상위에 존재하는 MEK inhibitor를 처리하여 PAI-1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에서도 AF를 처리한 경우와 동일하게 PAI-1 발현이 저해되어 LPS로 유도된 PAI-1의 발현이 ERK-1/2에 의해 조절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LPS로 유도된 ERK-1/2의 인산화가 AF 농도의존적으로 저해된 결과는, AF가 ERK-1/2의 활성저해를 통하여 PAI-1 발현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 AF가 신장섬유화를 저해하는 유력한 후보물질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P-1 단핵구의 펩티도글리칸 유래 인터루킨-1 알파 발현에서 TLR2, PI3K/Akt/mTOR, MAPKs의 역할 (Involvement of Multiple Signaling Molecules in Peptidoglycan-induced Expression of Interleukin-1α in THP-1 Monocytes/Macrophages)

  • 허원;손용해;조혁래;김관회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421-42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죽상경화 플락에서 발견되는 펩티도글리칸이 혈관염증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한 종류인 인터루킨-1 알파의 발현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방법으로는 혈관염증을 주도하는 단핵구/대식세포인 THP-1 세포주에 펩티도글리칸을 처리하고 인터루킨-1 알파의 발현을 RT-PCR, real-time PCR, ELISA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펩티도글리칸의 처리 시간과 농도에 비례하여 단핵구/대식세포에서 인터루킨-1 알파의 전사체와 단백질 분비가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또한 펩티도글리칸의 작용기전을 규명하기 위하여 신호전달을 차단하는 억제제를 세포에 처리하고 인터루킨-1 알파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TLR2/4의 억제제인 OxPAPC 그리고 세포 kinase의 작용을 억제하는 LY294002(PI3 kinase 억제), Akti IV (Akt 억제), rapamycin (mTOR 억제), U0126 (MEK 억제), SB202190 (p38 MAPK 억제), SP6001250 (JNK 억제), DPI (NOX 억제)를 처리하는 경우 인터루킨-1 알파 전사체의 발현 그리고 단백질의 분비가 감소되었다. 반면에 LPS의 작용을 억제하는 polymyxin B는 인터루킨-1 알파의 발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펩티도글리칸이 TLR2, PI3K, Akt, mTOR, MAPKs를 통하여 단핵구/대식세포의 인터루킨-1 알파 발현을 증가시키고 혈관염증에 기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영광 원전 3,4호기용 콘크리트를 이용한 MCCI 현상의 실험적 연구

  • 신기열;정모;김상백;김종환;조영로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발표회논문집(1)
    • /
    • pp.778-783
    • /
    • 1997
  • 원자력 발전소에서의 중대사고시, 고온의 노심 용융물이 원자로 공동으로 떨어지면 노심용융물과 콘크리트간의 반응(MCCI)에 의한 여러가지 현상으로 인해 격납용기의 건전성을 위협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영광원전 3, 4호기에 사용된 공동구조물 콘크리트와 고온용융물간의 반응특성을 실험적으로 살펴보았다. 실험은 유도가열로를 이용한 1차원 장기침식을 모사하기 위한 MEK-S1 실험이다. 실험에서는 유도로의 전원부족으로 용융풀을 형성하지 못하여 장기침식에는 실패하였다. 하지만 약 150$0^{\circ}C$의 고온 SUS 304에 의한 콘크리트의 침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후 분해한 콘크리트 반응시편의 단면은 침식으로 인해 매우 불규칙한 모양을 나타내었으며, 최대침식 깊이는 24mm로 나타났다. 실험중에 발생한 가스의 성분분석 결과에서 H$_2$, $CO_2$, CO 및 $O_2$, $N_2$등의 가스가 발생된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SB202190- and SB203580-Sensitive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Positively Regulates Heat Shock- and Amino Acid Analog-Induced Heat Shock Protein Expression

  • Kim, Sun-Hee;Han, Song-Iy;Oh, Su-Young;Seo, Myoung-Suk;Park, Hye-Gyeong;Kang, Ho-Sung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59-65
    • /
    • 2003
  • When cells are exposed to proteotoxic stresses such as heat shock, amino acid analogs, and heavy metals, they increase the synthesis of the heat shock proteins (HSPs) by activating the heat shock transcription factor 1 (HSF1), whose activity is controlled via multiple steps including homotrimerization, nuclear translocation, DNA binding, and hyperphosphorylation. Under unstressed conditions, the HSF1 activity is repressed through its constitutive phosphorylation by glycogen synthase kinase 3$\beta$ (GSK3$\beta$), extracellular regulated kinase 1/2 (ERK1/2), and stress-activated protein kinase/c-Jun N-terminal kinase (SAPK/JNK). However, the protein kinase (s) responsible for HSF1 hyperphosphorylation and activation is not yet identified. In the present study, we observed that profile of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p38MAPK) activation in response to heat shock was very similar to those of HSF1 hyperphosphorylation and nuclear translocation. Therefore, we investigated whether p38MAPK is involved in the heat shock-induced HSF1 activation and HSP expression. Here we show that the p38MAPK inhibitors, SB202190 and SB203580, but not other inhibitors including the MEK1/2 inhibitor PD98059 and the PI3-K inhibitor LY294002 and wortmannin, suppress HSF1 hyperphosphorylation in response to heat shock and L-azetidine 2-carboxylic acid (Azc), but not to heavy metals. Furthermore, heat shock-induced HSF1-DNA binding and HSP72 expression was specifically prevented by the p38MAPK inhibitors, but not by the MEK1/2 inhibitor and the PI3-K inhibito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B202190- and SB203580-sensitive p38MAPK may positively regulate HSP gene regulation in response to heat shock and amino acid analogs.

  • PDF

신경 활성화 연구의 원리와 최근 동향 (Principle and Recent Advances of Neuroactivation Study)

  • 강은주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1권2호
    • /
    • pp.172-180
    • /
    • 2007
  • [ $^{15}O$ ]을 이용한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 기법(Positron emission tomography)은 핵의학 영상 기법 중에서 두뇌의 인지 기능과 연관된 두뇌 활성화를 정상인과 환자들로부터 연구하는데 큰 장점이 있다. $^{15}O-PET$, 특히 $H_2^{15}O$ PET 기법은 두뇌 국소 혈류 변화(rCBF; regional brain flow)를 상대적으로 비침습적이면서 동시에 정량적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두뇌 기능을 연구하는데 오늘날 존재하는 핵의학 영상기법 중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쓰이고 있다. 특히 $^{15}O$은 짧은 반감기로 인하여, 동일한 피험자를 서로 다른 과제 조건에서 반복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PET기법은 fMRI와 같은 다른 기능 영상 기법에 비하여 기술적 제한이 있는데, 예를 들면 시간과 공간 해상도가 좋지 않다든지, 개인 데이터를 분석하기에 통계적 효율성이 부족하다거나 하는 문제이다. 그러나 최근에 3D 획득방법 같은 기술적인 발전으로 적은 양의 방사능 dose로 좋은 영상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고, 이는 다시 개개인으로부터 더 많은 수의 PET 스캔을 획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결과적으로 개인 데이터의 분석이 가능한 통계적 효율성을 제공하게 되었다. 그 외에 $^{15}O$ PET 의 스캐너 환경이 소음에서부터 자유롭다던가, 개개 스캔이 각 과제 조건에서 불연속적이지 획득되기 때문에 상태 특정적 두뇌 변화를 연구하기에 유리하다는 PET연구 만의 장점이 있다. 본 종설에서는 정상인들이나 임상적 환자 집단을 사용한 예시적 연구들을 들어 $^{15}O$ PET의 장점과 한계를 논하고, 두뇌 활성화 연구에 효율적인 PET 연구 절차를 고안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들에 대하여 논하였다.TEX>$29.9{\pm}1.8%$, DMF: $7.6{\pm}0.5%$이었다. MEK에서 얻은 $[^{11}C]1$의 비방사능은 98 ($GBq/{\mu}mol$)이다. 각 물질의 질량 분석은 1: m/z 257.3 (M+1), 2: 257.3 (M+1), 3: 271.3 (M+1)이었다. 각 생성물질의 표지효율은 MEK에서 $86.0{\pm}5.5%:5.0{\pm}3.4%:1.5{\pm}1.3%$ $([^{11}C]1:[^{11}C]2:[^{11}C]3)$, CHO에서 $59.7{\pm}2.4%:4.7{\pm}3.2%:1.3{\pm}0.5%$, DEK에서 $29.9{\pm}1.8%:2.0{\pm}0.7%:0.3{\pm}0.1%$, DMF에서 $7.6{\pm}0.5%:0.0%:0.0%$이다. 결론: $[^{11}C]1$은 4가지 반응용매 중 MEK 반응용매에서 가장 높은 표지효율을 나타냈다. 부산물인 $[^{11}C]3$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의 자외선, 방사능 검출기와 질량 분석법을 통해 물질을 추정할 수 있었다.의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지질과산화에 대해서 강한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복분자는 생활 습관병의 예방과 개선에 유효한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지질대사와 과산화지표의 검증을 통해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로서 역시 CTV 치료계획에서 적게 조사되었다(p=0.005). 기존의 ICRU 치료계획은 잔류종양의 크기가 작은 경우 불필요하게 정상조직에 많은 선량이 투여되기 때문에 CT를 이용한 CTV 치료계획을 적용하여 정상조직에 대한 피폭을 현저히 낮추고 잔류종양에 목표한 선량을 조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