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4

검색결과 65,055건 처리시간 0.075초

제주도와 추자도에 자생하는 잘피의 분포 현황 (Seagrass Distribution in Jeju and Chuja Islands)

  • 박정임;박재영;손민호
    • 환경생물
    • /
    • 제30권4호
    • /
    • pp.339-348
    • /
    • 2012
  • 제주도와 추자도에 자생하는 보호대상해양생물인 잘피 자생지의 서식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2011년 7월 GPS를 활용하여 서식면적을 기록하였고, 직접적인 잠수 조사로 서식 현황을 확인하였다. 잘피가 자생하는 곳은 해수와 퇴적물 공극수의 영양염 분석과 함께 분포 면적, 종조성, 형태적 특성, 밀도와 생물량을 조사하였다. 추자도에는 3종의 거머리말속 잘피(거머리말, 수거머리말, 포기거머리말)가 출현한 것에 비하여 제주도에는 거머리말 한 종이 동북연안에서만 서식하고 있었다. 제주도의 거머리말 서식면적은 $238,572m^2$이고, 추자도의 잘피 서식면적은 $23,584m^2$로 수거머리말이 $21,216m^2$, 포기거머리말이 $1,870m^2$, 거머리말이 $498m^2$를 차지하고 있었다. 제주도와 추자도의 거머리말은 조간대부터 조하대 평균 수심 5m까지 출현하였다. 추자도의 포기거머리말과 수거머리말은 각각 조하대 평균 수심 3~4m와 4~6m에서 출현하였다.

한국산 백운풀속(꼭두서니과)의 화분학적 연구 (A Palynological Study of the Korean Oldenlandia L. (Rubiaceae))

  • 남보미;정규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08-112
    • /
    • 2011
  • 한국산 백운풀속 5분류군의 화분을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본 속의 화분은 모두 단립이며, 극축의 길이는 $20.7-36.0 {\mu}m$, 적도면의 너비는 $21.0-38.4{\mu}m$으로 세립 또는 중립이다. 화분의 형태는 P/E가 0.93-1.00로서 약단구형 내지 구형이다. 발아구의 수는 3-7개, 발아구의 형태는 공구형이며, 구구의 길이는 $14.2-20.4{\mu}m$, 너비는 $2.6-3.4{\mu}m$이다. 외표벽의 두께는 $0.9-2.4{\mu}m$이며, 표면무늬는 모두 망상으로 미립돌기가 있거나 없었다. 본 속의 화분형질 중 화분의 크기, 발아구의 수, 표면무늬에 미립돌기의 유무는 속내 종간 식별형질로서 매우 유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화분형질에 의해 설정된 Neanotis속은 형질의 연속적인 변이에 의해 속의 실체에 대하여 재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조립식 목조주택의 평면모듈 설정을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floor modular establishment of the prefabricated wooden dwelling)

  • 김재덕;강만호;주석중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86-391
    • /
    • 2006
  • Though a variety of demands for an green dwelling, it is hard to diffuse a wooden house due to high construction cost. So this study aims to diffuse to propose a space modular for production and supply. Therefore the result of investigation to the space modular of each room through the survey of width and depth in the type of dwelling in korea is as follows. 1) Investigated the mixture of magnitude on the total width and depth, the survey is showed commonly 3.6m and 4.2m. 2) Once the depth is 3.6m, a living room and inner room, room's width is 3.9m, 4.5m. Once the depth is 4.2m, those width is 4.8m. 3) By use of a survey, the post distances consisted of all rooms are 3.6m, 3.9m, 4.2m, 4.5m, 4.8m. The result of investigation to possibility for mixture applied to six level types invested post modules to the wooden house of post & Beam method is as follows. 1) With the regularity of depth and simplicity of width, It is potential to compound floor plan in korea. 2) It is possible to plan an informal shape of kitchen+dining room which is a spare space available for the merit changeable space after arranged main rooms. 3) It is possible to plan a space through a variety of mixture method at bathroom. Thus, it is possible for a variety of floor formations to build a low-cost wooden house through five types of post distance.

  • PDF

고농도(高農度) 인산(燐酸) 수경액(水耕液)중에서 뽕나무의 Zn과 Cu 흡수(吸收) (Effects of High Phosphorus Supply on Zn and Cu Uptake by Mulberry(Morus alba L.))

  • 이완주;최영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49-252
    • /
    • 1993
  • 인산(燐酸)을 고농도(高濃度)로 공급하였을 때, 양분의 흡수(吸收) 특히 Zn과 Cu의 흡수를 알기 위하여 온실에서 수경재배(水耕栽培)로 시험을 수행하였다. 공급 인산 수준은 0, 0.2, 0.5, 2.0, 5.0mM의 5수준(水準)이었으며, 개량뽕(Morus alva L.)을 공시품종으로 2.5개월을 재배한 후, 식물체를 수확(收穫)하여 분석(分析)하였다. 건물중(乾物重)은 2.0mM 인산수준까지 계속 증가(增加)한 후 감소(減少)하였다. 잎의 수분함량(水分含量), total-N, P, K, Fe 등은 인산 공급수준과 비례(比例)하여 증가하였다. Total-Zn 함량은 인산수준에 따라 큰 차를 보이지 않았으나, 수용성(水溶性) Zn은 증가하는 반면 Cu는 감소하였다. 인산수준(燐酸水準)의 증가에 따라 $SO_4$와 Cl는 감소하다가 인산 2.0mM 이상에서 현저히 증가하였다. 인산 축적(蓄積) 뽕밭에서의 뽕잎 감소는 Cu의 흡수 저하와 $SO_4$와 Cl의 현저할 흡수(吸收) 증가에서 오는 것으로 추정(推定)되었다.

  • PDF

페닐히드라진과 브롬의 반응메카니즘에 관한 연구 (Kinetics Study of the Reaction of Bromine with Phenylhydrazine in Sulfuric Acid Media)

  • Park Byoung Bin;Park Il H.;Kong Young Kun;Choi Q. Won
    • 대한화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27-234
    • /
    • 1977
  • 황산산성에서 페닐히드라진과 브롬의 반응을 속도론적으로 검토하였다. 겉보기 2차 반응속도상수는 1M 이하의 황산농도에서는 수소이온 농도에 대략 역비례한다. KBr 첨가의 영향을 검토하여 $Br_2\;및\;Br_3^-$가 반응화학종이고, 이들의 속도상수는 $20^{\circ}C$의 0.01M $H_2SO_4$용액에서 각각 $5{\times}10^5M^{-1},sec^{-1}\;및\;0. 7{\times}10^5M^{-1},sec^{-1}$임을 밝혔다. 2,4-디니트로 페닐히드라진의 브롬과의 반응속도상수는 수소이온 농도에 거의 무관계하며 $Br_2\;및\;Br_3^-$에 대하여 각각 $1.2{\times}10^5M^{-1},sec^{-1}\;및\;2.0{\times}10^4M^{-1},sec^{-1}$이다.

  • PDF

마늘의 Callus 배양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allus)

  • 장무웅;이갑랑;조수열;정희돈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91-95
    • /
    • 1980
  • 마늘의 바이러스 무감염주 생산과 종자 비용절감을 위한 기초적연구를 행하고저 마늘인편의 보통엽조직의 callus배양을 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마늘 callus의 유도 Linsmaier & Skoog는 기본배지에 Benzyladenine $10^{-5}M$$2,4-D\;10^{-5}M$에서 가장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2. callus생장은 Linsmaier & Skoog 기본배지에 kinetin $10^{-6}M$과, $2,4D\;10^{-6}M$을 함유한 것이 가장 양호하였다. 3. callus조직내의 바이러스 소장을 조사한 결과 투명하고 부드러운 callus조직을 8대 계대배양을 하였을 때 바이러스는 제거되었다. 4. 바이러스무감염이 확인된 마늘 callus조직을 Murashing & Skoog 기본배지에 kinetin $10^{-5}M$$NAA\;5\times10^{-6}M$을 함유한 배지에 다식하였을 때 재분화 되어 소식물체를 형성하였다.

  • PDF

Oxyfluorfen 내성 수도품종의 Ethylene 발생 및 세포막삼투성 차이 (Differential Response in Ethylene Evolution and Membrane Permeability Between Rice Cultivars as Affected by Oxyfluorfen)

  • 구자옥;이영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75-379
    • /
    • 1988
  • Oxyfluorfen에 내성차이가 있는 것으로 기히 선발된 수도 두 품종(내성 : Chokoto, 감수성 : Weld Pally)을 공시하여 약해반응차이의 근거를 찾을 목적으로 ethylene 발생과 엽록소 함량변화 및 전해질 누출에 의한 세포막 삼투성 차이를 조사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Oxyfluorfen $10^{-5}$M 처리의 경우, 감수성 품종은 내성보다 신속하고 않은 ethylene 방출현상을 보였구 $10^{-4}$ M 처리에서는 두 품종간의 ethylene 방출량에 차이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2. Oxyfluorfen $10^{-6}$ M에서는 두 품종 모두 chorophyll함량차이가 없었으나 $10^{-5}$~$10^{-4}$ M에서는 감수성품종이 내성품종에 비하여 반감하였고, $10^{-3}$ M에서는 품종 차이없이 chlorophyll의 완전분해가 일어나는 양상이었다. 3. Oxyfluorfen 처리에 따른 전도도 증가 반응 및 품종간 차이는 $10^{-4}$ ~$10^{-3}$ M에서 일어났으며 , 감수성 품종이 내성품종보다 무처리대비하여 약 10% 정도 전해질 누출이 높은 경향이었다.

  • PDF

Biotransformation of Intestinal Bacterial Metabolites of Ginseng Saponin to Biologically Active Fatty-acid Conjugates

  • Hasegawa Hideo;Saiki Ikuo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317-334
    • /
    • 2002
  • Ginsenosides are metabolized (deglycosylated) by intestinal bacteria to active forms after oral administration. 20(S)-Protopanaxadiol $20-O-{\beta}-D-glucopyranoside$ (M1) and 20(S)-protopanaxatriol (M4) are the main intestinal bacterial metabolites (IBMs) of protopanaxadiol- and protopanaxatriol-type glycosides. M1 was selectively accumulated into the liver soon after its intravenous (i.v.) administration to mice, and mostly excreted as bile; however, some M1 was transformed to fatty acid ester (EMl) in the liver. EM1 was isolated from rats in a recovery dose of approximately $24mol\%.$ Structural analysis indicated that EM1 comprised a family of fatty acid mono-esters of M1. Because EM1 was not excreted as bile as Ml was, it was accumulated in the liver longer than M1. The in vitro cytotoxicity of M1 was attenuated by fatty acid esterification, implying that esterification is a detoxification reaction. However, esterified M1 (EM1) inhibited the growth of B16 melanoma more than Ml in vivo. The in vivo antitumor activity paralleled with the pharmacokinetic behavior. In the case of M4, orally administered M4 was absorbed from the small intestine into the mesenteric lymphatics followed by the rapid esterification of M4 with fatty acids and its spreading to other organs in the body and excretion as bile. The administration of M4 prior to tumor injection abrogated the enhanced lung metastasis in the mice pretreated with 2-chloroadenosine more effectively than in those pretreated with anti-asialo GMl. Both EM1 and EM4 did not directly affect tumor growth in vitro, whereas EM1 promoted tumor cell lysis by lymphocytes, particularly non-adherent splenocytes, and EM4 stimulated splenic NK cells to become cytotoxic to tumor cells. Thus, the esterification of IBM with fatty acids potentiated the antitumor activity of parental IBM through delay of the clearance and through immunostimul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atty acid conjugates of IBMs may be the real active principles of ginsenosides in the body.

  • PDF

곰소만에서의 오염물질 플럭스 및 탈질산화 (Denitrification and COD, TN and SS fluxes in Komso Bay, Korea)

  • 김도희;양재삼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32-41
    • /
    • 2001
  • 전라북도곰소만 조간대에서 조석에 따른 오염물질의 플럭스를 구한 결과, COD의 경우, 4월에는 창조와 낙조시 COD의 유출입량이 동일하였고, 8월에는 창조시 83.0 ton COD/hr가 유입되어 낙조 시에는 68.6 ton COD/hr이 유출되어 조사해역의 갯벌이 평균적으로 5.69g COD/$m^2/day$의 정화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총질소의 플럭스는 4월의 창조 시에 0.486 ton N/hr이 유입되어 낙조 시에 0.330 ton N/hr으로 유출되어 조사해역 갯벌의 질소 정화력은 0.062 g N/$m^2/day$으로 평가되었다. 8월에도 창조 시에 3.144 ton N/hr이 유입된 후 낙조 시에 2.011 ton N/hr이 유출되고 있어 조사 해역의 갯벌이 0.448g N/$m^2/day$의 정화능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부유물질의 플럭스는 4월의 창조 시에 0.31 ton SS/hr가 유입되어 낙조 시에 0.26 ton SS/㎡/day의 정화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8월에도 창조 시에 1.63ton SS/hr가 유입되어 낙조 시에 1.34 ton SS/hr이 유출되고 있어 조사해역의 갯벌이 시간당 0.29 ton의 부유물질을 수용하여 0.12g SS/$m^2/day$의 정화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곰소만 갯벌에서의 탈질산화는 1999년 4월에 0.009∼1.720 m mole N₂/㎡/day(평균 0.702 m mole ${N_2}/m^2/day$), 8월에 0.033∼0.133 m mole ${N_2}/m^2/day$(평균 0.077 m mole ${N_2}/m^2/day$)였으며, 2000년 4월에는 0.000∼1.909 m mole ${N_2}/m^2/day$(평균 0.756 m mole ${N_2}/m^2/day$), 8월에는 0.000∼1.697 m mole N₂/㎡/day(평균 0.392 m mole ${N_2}/m^2/day$)으로 계절별로 지점별로 탈질산화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4회 평균치는 0.482 m mole ${N_2}/m^2/day$으로 평가되었다.

  • PDF

New Record of Three Colpodean Ciliates (Ciliophora: Colpodea) from Korea

  • Kim, Kang-San;Min, Gi-Sik
    • 환경생물
    • /
    • 제33권4호
    • /
    • pp.375-382
    • /
    • 2015
  • We discovered three soil ciliates of the class Colpodea-Colpoda henneguyi Fabre-Domergue, 1889; C. lucida Greeff, 1888; and Bursaria truncatella $M{\ddot{u}}ller$, 1773 from Obong-ri, Ayajin-ri and Elwang-ri (Korea), respectively. Colpoda henneguyi had the following features: often wider preorally than postorally, size in vivo $60-80{\mu}m{\times}50-70{\mu}m$; extrusomes indistinct in vivo, cylindroid approximately $1{\mu}m$ long; notches caused by deep diagonal groove; yellowish globules on the cortex of the cell; 10-12 postoral kineties; silverline system aspera-type. Colpoda lucida exhibited the following features: broadly reniform, size in vivo $70-90{\mu}m{\times}50-70{\mu}m$; conspicuous extrusomes, $3.5-5{\mu}m$ long in vivo, cylindroid to fusiform; 13-16 postoral kineties; silverline system cucullus-type. Bursaria truncatella had the following features: bursiform, size in vivo $300-470{\mu}m{\times}120-260{\mu}m$; macronucleus coiled with highly variable shapes, $600-1100{\mu}m{\times}30-40{\mu}m$ long in vivo; micronuclei 16-25 in number, approximately $4{\mu}m$ in diameter; extrusomes cylindroid, $3-4{\mu}m$ long in vivo. This is the first report of colpodean ciliates from Korea, and we describe these species based on observations of live and impregnated (protargol and silver nitrate impregnation) specime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