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2M architecture

검색결과 1,846건 처리시간 0.027초

백두대간 댓재에서 백봉령구간 마루금의 식물군집구조 특성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Daetjae(hill)~Baekbongryung(ridge), the Baekdudaegan Mountains)

  • 이수동;홍석환;김지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719-729
    • /
    • 2012
  • 백두대간은 남한구간만 약 670km로 전체 지역에 대한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기는 어려워 각 지역에 대한 상세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백두대간 구간 중 댓재에서 백봉령구간의 식생구조를 밝히고 향후 복원 및 관리계획 수립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마루금을 중심으로 $10m{\times}10m(100m^2)$ 조사구 40개소를 설치하였다. TWINSPAN에 의한 군집분류 결과 구상나무군집, 소나무 우점군집, 신갈나무 우점군집, 일본잎갈나무 우점군집 등 8개로 유형화되었다. 구상나무군집과 소나무군집은 신갈나무와의 경쟁을 회피할 수 있는 능선부 또는 암반지대에 분포하였으나 낙엽활엽수와의 경쟁으로 쇠퇴할 가능성이 높아 보호의 필요성이 있었다. 단위면적당($400m^2$) 종다양도는 0.8046~1.1283이었으며 단일종 우점군집이 낮고 경쟁상태인 군집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층위구조가 형성된 보호가치가 있는 숲이었다.

The CO2 Reduction Potential Calculation through the Urban Park Construction

  • Lee, Eun Yeob;Kang, Myung Soo;Kim, Jong Kon
    • KIEAE Journal
    • /
    • 제14권2호
    • /
    • pp.87-98
    • /
    • 2014
  • This study is to identify quantitatively the function of carbon dioxide emissions reduction due to temperature and energy reduction according to direct carbon dioxide storage, shade provision, and evaportanspiration of urban park. According to the result of study, landscape tree indicated high carbon dioxide storage effect compare to bush, in which broadleaf tree indicated higher storage function than coniferous tree. It is believed to be the storage of carbon dioxide can b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composition rate of forest plants in the urban park. According to the direct estimation result of carbon dioxide storage in terms of example area, storage of carbon dioxide is estimated to be "seoul a zone" $476,818.8kg{\cdot}CO_2/m^2yr$, "anyang b zone" $186,435.7{\cdot}CO_2/m^2yr$, "daejeon c zone" $262,826{\cdot}CO_2/m^2yr$, "kwangju d zone" $231,657.8{\cdot}CO_2/m^2yr$. The carbon dioxide storage per unit area estimated to be "seoul a zone" $3.4{\cdot}CO_2/m^2yr$, "anyang b zone" $5.0{\cdot}CO_2/m^2yr$, "daejeon c zone" $2.6{\cdot}CO_2/m^2yr$, "kwangju d zone" $5.6{\cdot}CO_2/m^2yr$. The result of indirect carbon dioxide reduction effect estimated to be "seoul a zone" $291,603.4{\cdot}CO_2/m^2yr$, "anyang b zone" $165,462.4{\cdot}CO_2/m^2yr$, "daejeon c zone" $141,719.2{\cdot}CO_2/m^2yr$, "kwangju d zone" $154,803.4{\cdot}CO_2/m^2yr$. Carbon dioxide reduction potential amount through the urban park was increased to 1.6 times to 1.8 times when calculated to the indirect effect.

고속 저전력 동작을 위한 개방형 파이프라인 ADC 설계 기법 (Open-Loop Pipeline ADC Design Techniques for High Speed & Low Power Consumption)

  • 김신후;김윤정;윤재윤;임신일;강성모;김석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0권1A호
    • /
    • pp.104-112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고속, 저전력 8-비트 ADC를 설계하는 기법들을 제안하였다. 비교적 적은 전력 소모를 가지면서 고속으로 동작 시키기 위해 기존의 파이프라인 구조인 MDAC를 이용한 폐쇄형 구조 대신에 개방형 구조를 채택하였다. 또한 Distributed THA와 캐스캐이드 형태의 구조를 이용하여 높은 샘플링 속도에 최적화 하였다. 제안한 각 단의 크로싱 지점을 판별하는 기법은 증폭기의 개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저전력과 좁은 면적의 ADC 구현을 가능하게 하였다. 모의 실험 결과 500-MHz의 샘플링 속도와 1.8V 전원 전압에서 테스트에 필요한 디지털 회로까지 포함, 210mW의 전력을 소비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1.2Vpp(Differential) 입력 범위와 200-MHz까지의 입력 주파수에서 8-비트에 가까운 ENOB를 가짐을 볼 수 있었다. 설계된 ADC는 $0.18{\mu}m$ 6-Metal 1-Poly CMOS 공정을 이용, $900{\mu}m{\times}500{\mu}m$의 면적을 차지한다.

Trinomial $GF(2^m)$ 승산기의 하드웨어 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ardware Architecture of Trinomial $GF(2^m)$ Multiplier)

  • 변기영;윤광섭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1권5호
    • /
    • pp.29-36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m차 trinomial을 적용한 새로운 GF(2m)상의 승산기법과 그 구현회로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연산기법들을 각각 MR, PP 및 MS라 명칭한 연산모듈로 구현하였고, 이들을 조직화하여 새로운 GF(2/sup m/) 병렬 승산회로를 구성하였다. 제안된 GF(2/sup m/) 승산기의 회로복잡도는 ㎡ 2-입력 AND게이트와 ㎡-1 2-입력 XOR게이트이며, 연산에 소요되는 지연시간은 T/sub A/+(1+[log₂/sup m/])T/sub x/이다. 제안된 연산기의 시스템 복잡도와 구성상의 특징을 타 연산기들과 비교하였고, 그 결과를 표로 정리하여 보였다. 제안된 승산기는 정규화된 모듈구조와 확장성을 가지므로 VLSI 구현에 적합하며, 타 연산회로로의 응용이 용이하다.

식물의 온도 완화효과에 관한 기초적 연구 (A Quantitative Study on the Effect of Temperature Control by a Shade Tree and the Lawn Area)

  • 안계복;김기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13
    • /
    • 198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mperature control by a shade tree and the lawn area. In this investigation, we find out that artificial-lawn, concerte, and exposed soil are more higher temperature than covered with plant materials.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 may to summerized as follows; 1) Low-temperature effects of zoysia japonica is more controlled by condition of growth than leaf length of grass. Surface temperature make 0.7$^{\circ}C$ difference between long grass (15cm), and short grass (5cm), but make 5$^{\circ}C$ difference between good growth grass (230/10$\textrm{cm}^2$) and bad growth grass (80/10$\textrm{cm}^2$). 2)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lawn area is 40.5$^{\circ}C$ lower on a maxinum than that of the artificial lawn (July 28, 1985). During the day of summer, shade area under the shade tree is 0.9$^{\circ}C$ lower then lawn area surface temperature, 6.9$^{\circ}C$ lower than bad growth lawn, 10.3$^{\circ}C$ lower than exposed soil, and 18$^{\circ}C$ lower than concrete surface temperature. 3) Natural irrigation effect on the surface temperature fluctuation. But this effect is changed by compositions of ground materials and time-lapse. 4) Sunny day is more effective than cloud day. 5) In summer season, surface temperature make a difference compare to temperature of 0.5-1.5m height from ground : Surface temperature is 3.4$^{\circ}C$ lower at the lawn area (11 a.m.), 4.2$^{\circ}C$ lower at the shade area the shade tree, 12.7$^{\circ}C$ higher at the concrete area (3p.m.), 38.8$^{\circ}C$ higher at the artificial lawn (2p.m.) 6) According to compositions of ground materials and season have specific vertical temperature distribution curve. 7) In summer season, temperature distribution of 0.5-1.5m hight at the shade tree is 4.8-5.7$^{\circ}C$ lower than concrete area (noon-3p.m.)

  • PDF

도로변 완충녹지의 식재구조에 따른 초미세먼지(PM2.5)농도 저감효과 연구 - 서울 송파구 완충녹지를 대상으로 - (A Study on Decreasing Effects of Ultra-fine Particles (PM2.5) by Structures in a Roadside Buffer Green - A Buffer Green in Songpa-gu, Seoul -)

  • 황광일;한봉호;곽정인;박석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61-7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계획시설로 조성되는 완충녹지가 $PM_{2.5}$(초미세먼지) 저감에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고, 도로변 완충녹지의 구조, 녹량(녹지용적), 식재유형에 따른 초미세먼지 변화량을 분석하여 초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완충녹지 조성 시 활용할 수 있는 요소들을 도출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지는 송파구를 선정하였고, 양재대로, 송파대로에 인접한 5개의 완충녹지에서 16개 조사구를 선정해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PM_{2.5}$ 농도 측정결과, 조사구별 평균농도는 계절 상관없이 보도 $46.6{\mu}g/m^3$, 녹지 $45.5{\mu}g/m^3$, 주거지 $42.9{\mu}g/m^3$로 모두 도로($53.2{\mu}g/m^3$)보다 낮았으며, 주거지 농도 값이 가장 낮았다. 완충녹지의 농도 저감효과 확인을 위해 완충녹지의 녹량과 초미세먼지 상대비율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교목과 관목 전체 녹량이 높은 그룹의 상대비율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어 완충녹지 녹량의 영향력을 증명했으며, 관목 부족형이 교목 부족형보다 농도상대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관목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교목과 관목의 식재구조에 따른 녹피율과 녹지용적계수가 복합적으로 $PM_{2.5}$ 농도 저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교목의 열수와 관목의 층위구조가 $PM_{2.5}$ 농도 저감에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초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겨울철 완충녹지의 $PM_{2.5}$ 농도저감 특성 분석결과, 관목의 녹피율이 중요한 요인이었다.

관악산 삼림의 22년간(1972~1993)의 식물군집구조 변화 (Changes of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during the Twenty-two Years(1972~1993) in Forest of Mt. Kwanak)

  • 이경재;송준근;조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79-90
    • /
    • 1994
  • This survey was ocnducted to investgate changes of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from 1972 to 1993 in forest of Mt. Kwanak and thirty-five plots that the size of each plot was 10m${\times}$10m(100㎡) were set up and the vegetation analysis was caried out. By the TWINSPAN analysis, the plant community of survey area were divied into Quercus mongolica, Q. mongolica-Pinus densiflora(1), Q. mongolica-P. densiflora(2), Q. acutissima community. The successional trends of the woody species were seemed to be from P. densiflora, Sorbus alnifolia to Q. mongolica in the canopy layer. But the successional trends in the understory and shrub layer were difficult to suppose. The forest vegetation of Mt. Kwanak from 1972 to 1993 was severely decreased in species number and individuals. The sensitive species for the environmental pollution were selected, and the tolerant plants for the acid soil were increased. In comparision with the DBH class distribution from 1972 to 1993, it shows that the ecological succession has stopped. In the analysis of soil characteristics, soil acidification has taken place over last twenty-two years(from pH=5.40 to pH=4.53). The concentration of K+, Ca++ was severly decreased(from K+=0.60m.e./100g to K+=0.06m.e./100g, from Ca++=3.20m.e./100g to Ca++=0.63m.e./100g), which also could seemed to be cause of plant community decline.

  • PDF

하절기 조경용 녹음수 수관 하부의 일사와 평균복사온도 비교 (The Comparison of the Solar Radiation and the Mean Radiant Temperature (MRT) under the Shade of Landscaping Trees in Summertime)

  • 이춘석;류남형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22-30
    • /
    • 2014
  • 조경용 녹음수가 하절기 옥외공간에서 인간이 느끼는 열쾌적성에 미치는 효과를 객관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수형이 서로 다른 미국참나무, 배롱나무, 참느릅나무 등 세 종의 수목를 선정하여 일사차단율과 평균복사온도 저감 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주기적으로 수관부 사진을 촬영하여 수관부의 변화특성도 비교 검토하였다. 일사량과 건구온도, 흑구온도를 현장에서 자동으로 계측 기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각 수목의 수관 하부에 지면으로부터 1.1m 위치에 설치하고, 2013년 4월 1일부터 동년 11월 30일까지 매 분 단위로 기록될 수 있도록 설정하였다. 수관의 천공차폐율 분석결과, 비교적 일정한 상태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난 2013년 6월 1일부터 동년 8월 30일까지의 자료 중, 우천과 이상 기상일 자료를 제외한 오전 10시에서 오후 2시까지의 자료를 통계 분석에 이용하였다. 10분 단위 평균값으로 환산된 총 6,640건의 흑구온도와 건구온도를 바탕으로 평균복사온도를 환산하였으며, 이를 각 시험구의 일사량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기간 중 미국참나무와 배롱나무, 참느릅나무 수관부의 평균 천공차폐율은 각각 99%, 98%, 97%였으며, 각 수관하부에 도달한 평균 태양 복사량은 $106W/m^2$, $163W/m^2$, $202W/m^2$로 대조구의 $823W/m^2$와 비교했을 때, 최소 75%이상이 차단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평균복사온도의 경우, 각각 $30.34^{\circ}C$, $33.34^{\circ}C$, $34.77^{\circ}C$로 계산되어 대조구의 $46.0^{\circ}C$와 비교했을 때, 적게는 $10^{\circ}C$에서 많게는 $16^{\circ}C$까지 수목의 수관부에 의해서 저감된 것으로 나타났다. 일사량과 평균복사온도의 관계를 회귀분석한 결과, 매우 밀접한 선형관계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설명력도 매우 높게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서 하절기 옥외공간에서 녹음수의 수관은 일사량의 상당부분을 차단함으로써 인간이 체감하는 열쾌적성을 개선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을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옥외공간에 더 많은 녹음수와 숲을 조성하여 그늘 지역을 증가시킴으로써 인간의 하절기 옥외활동에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는 불필요한 열에너지를 현격하게 저감시켜 쾌적한 열환경을 효과적으로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보안 표준 지원 M2M 공통 서비스 플랫폼 (Common Services Platform for M2M Supporting Security Standards)

  • 사도르존 와코소브;남궁정일;박수현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3권3호
    • /
    • pp.76-88
    • /
    • 2016
  • 사물통신(M2M)은 사람의 개입이나 간섭 없이도 2개 이상의 단말 간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M2M 통신은 환경 모니터링, 헬스 케어 등과 같은 다양한 유즈케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대부분의 유즈케이스에서 M2M은 관심 있는 환경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 센서 노드를 활용하며 데이터는 다른 기기(즉, 게이트웨이, 싱크 노드)를 거쳐 M2M 응용으로 전송된다. 어떤 유즈케이스에서는 M2M 단말들이 서비스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센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진다. 게이트웨이와 싱크노드 또한 센서 노드들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 및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접근방법은 학계 및 산업계 모두에 매우 도전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러한 접근방법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M2M 단말과 게이트웨이를 위한 공통 서비스 보안 플랫폼(CSSP)를 제안한다. CSSP 플랫폼은 단말과 게이트웨이를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만들기 위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게다가, 통신 프로토콜간의 비교 및 선정된 메트릭스에 따른 프로토콜들의 성능 분석을 제시한다.

개나리와 미선나무의 새로운 자생지 보고 (Recently Augmented Natural Habitats of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and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in Korea)

  • 신현탁;이명훈;김용식;이병천;윤정원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74-277
    • /
    • 2010
  • 본 연구는 개나리와 미선나무의 새로운 자생지의 보고이다. 개나리의 자생지는 경상북도 청송군 부동면에서 발견하였다. 자생지의 규모는 $5m{\times}5m$크기로 12개체가 생육 중이었으며 그 중 3개체는 7-10 cm 정도의 유묘였다. 자생지의 식생은 주로 소나무와 아까시나무가 우점하는 2차림으로 교목층의 피도는 15% 정도였으며, 관목층의 피도는 40%로 조팝나무가 우점하였다. 경상북도 의성읍에서 발견한 미선나무는 하천변에 위치하여, 전석지 혹은 돌이 많은 곳으로, 하천을 따라 15개의 패치(patch)상으로 분포하고 있다. 자생지 크기는 $50m{\times}15m$로 약 $750m^2$이며, 교목과 아교목층은 굴참나무가 우점하고, 관목층은 산팽나무가 우세하였다. 기존의 보고 및 새롭게 밝혀진 개나리와 미선나무의 자생지를 대상으로 세계자연보전연맹 종보전위원회의 적색목록 평가기준의 하나인 분포역(EoO)를 적용하여 미선나무에 대한 분포역을 검토하였다. 검토한 결과 면적$21,513Km^2$로 산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