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ycium chinensis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4초

구기자(Lycium chinensis Miller)의 휘발성 성분 (Volatile Components of Lycium chinensis Miller)

  • 박원종;복진영;백순옥;한상빈;주현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5
    • /
    • 1997
  • 건조 구기자의 휘발성 성분을 분석하기 위하여 SDE 방법으로 정유성분을 추출한 다음 GC 및 GC-MS로 성분을 확인하였다. 확인된 성분은 54종으로써 알코올류 12종, 에스테르류 12종, 알데히드류 7종, 산류 6종, 탄화수소류 5종, 케톤류 8종, 푸란류 1종 및 피라진류 3종이었다. 그 중 에스테르류의 상대적 면적비가 가장 높았다. 건조 구기자의 주요 휘발성 성분은 hexadecanoic acid의 에틸에스테르, 1-octadecanone, tetrapyrazine, 2-furancarboxaldehyde, ethyl linoleate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 PDF

수확시기가 다른 품종별 구기자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of Different Species Lycium chinensis Miller Extracts by Harvest Time)

  • 박수진;박원종;이봉춘;김수동;강명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9호
    • /
    • pp.1146-1150
    • /
    • 2006
  • 본 연구는 구기자(Lycium chinesis Miller)의 우수품종을 선발하고 최적 수확시기를 결정하기 위하여 한달 간격으로 수확하여 구기자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 추출물들의 가용성 당분, betaine,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 전자공여능 및 SOD 유사활성을 측정하였다. 수확시기에 따라 구기자의 당도를 측정한 결과 품종간에는 큰 차이는 없었지만 8월에 수확하는 것보다 11월에 수확한 구기자의 가용성 당도가 높았다. Betaine 함량은 수확시기가 늦을수록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청양재래, 불로 및 청대는 8월 수확한 품종이 가장 높았고, 장명, 청운 및 명안은 9월에 수확한 품종이 가장 높았다. 전자공여능은 수확시기가 늦을수록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SOD 유사활성은 8월에 수확한 구기자보다 늦게 수확한 구기자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구기자나무의 약물활성 (Pharmacological Effects of Lycium chinensis)

  • 김남재;윤황금;홍남두
    • 생약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64-271
    • /
    • 1994
  • Pharmacological effects of water extracts of Lycii Fructus, Lycii Folium and Lycii Cortex Radicis from Lycium chinensis were investigated. Lycii Folium significantly protected the hepatic function from damages orally caused by $CCl_4 $administration in mice and had a strong hypoglycemic effect in hyperglycemic mice induced by streptozotocin. Lycii Fructus decreased the blood pressure rise associated with the growth of normal rats. Lycii Cortex Radicis had a strong hypoglycemic effect in hyrerglycemic mice induced by streptozotocin. Also, hypolipidemic effects in hyperlipidemic rats induced by 1% cholesterol fed-diet and 75% fructose were significantly observed by oral administration of water extracts of Lycii Fructus, Lycii Folium and Lycii Cortex Radicis.

  • PDF

수종 생약이 일차배양한 계배의 뇌세포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Effect of Several Crude Drugs on Cultured Chicken Brain Cells)

  • 박미정;송진호;김영중
    • 생약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2-36
    • /
    • 1989
  • Effects of Lycium chinensis, Epimedium koreanum and tuguaconitine which is isolated from Aconitum sibiricum on primary culture chicken embryonic brain cells were studied by microscopic observation and determined of the activity of pyruvate dehydrogenase complex(PDHC). Brain cells were prepared from the brain of 10-day-old chicken embryo and cultured with a medicine consisted of 90%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DMEM) and 10% horse serum. It was observed that all substances studied seemed to show the tendency to stimulate the neurite outgrowth of brain cells which were cultured with a deficient medium under microscopic observation. The activity of PDHC in brain cells cultured with a deficient medium was increased by Lysium chinensis and Epimedium koreanum. However, tuguaconitine had not influence on the activity of PDHC.

  • PDF

한국산 구기자, 오미자, 갈근, 두충차 음료의 중금속 흡착율 (Effects of Korea Lycium chinense Miller,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Pueraria thunbergiana Benth, Eucommia ulmoides Oliv Tea Beverage on the Removal of Heavy Metal)

  • 한성희;신미경;김용욱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63-369
    • /
    • 1999
  • The heavy metal removability of four kinds of tea was investigated in the various conditions: particle size of tea(10, 35. 70, 100 mesh), concentration of heavy metal(25, 50, 100ppm) and extraction temperature(30. 50, 70. 10$0^{\circ}C$). The removabilities by the tea solids were increased as the particle size decreased, concentration of heavy metal increased, and extracting temperature increased. Of the four kinds of tea Pb, Cd and Cu removability by Eucommia ulmoides Oliv tea was the highest. In addition, heavy metal removability by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tea was better than that of other tea as extraction temperature was increased.

  • PDF

둥굴레, 어성초, 구기자 혼합 음료의 배합비 최적화 및 항산화 효과 (Optimization of Production and Antioxidant Effects of Beverage Prepared using Hot-water Extracts of Polygonatum odoratum, Houttuynia cordata, and Lycium chinensis)

  • 강민경;김일출;장경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835-84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당류 등 별도의 첨가물질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오직 둥굴레, 어성초 및 구기자로부터 추출한 열수추출액만을 혼합하여 기호도가 높으면서도 혈당 및 지질대사 개선 효능을 가진 건강음료를 제조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관능평가와 반응표면분석에 의하여 이들 재료의 혼합비율을 최적화하고 최적 비율로 혼합 제조한 음료의 항산화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음료 제조 시 열수추출액들의 최적 혼합비율은 둥굴레 열수추출액의 첨가비율 2.15%, 어성초 열수추출액의 첨가비율 1.74%, 구기자 열수추출액의 첨가비율 0.19%인 것으로 예측되었다. 제조한 음료의 항산화능을 알아보고자 조사한 총 폴리페놀, 전자공여능 및 환원력은 각각 3.42 mg/mL, 23.78% 및 0.26이었다.

한약재 추출물의 폴리페놀 화합물과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Contents of Polyphenolic Compound of Medicinal Herb Extracts)

  • 박영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3-31
    • /
    • 2002
  • 한약재를 기능성 식품에 이용하기 위하여 한약재의 생리활성 인자를 탐색할 목적으로 한약방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국화(Chrysanthemum morrifolium Ramat), 구기자(Lycium chinensis Miller),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당귀(Angelica gigas Nakai), 대추(Zizyphus jujuba Miller),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as),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을 물과 에탄올로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을 DPPH법, SOD유사활성 측정법, thiocyanate법 및 TBARS법으로 측정하였다. 에탄을 추출물에 비하여 물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구기자 물 추출물의 함량이 1.6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물 추출물 중 국화는 63.0% 그리고 에탄을 추출물 중 감초가 63.8%으로 BHT의 전자공여능(49.7%) 보다 높게 나타냈으며, SOD 유사활성은 물 추출물 중 황기에서 41.8%의 높은 활성능을 보였으며 에탄을 추출물 중 구기자에 38.2%의 높은 활성능을 보였다. 물 추출물 중 감초와 대추가 에탄을 추출물 중에는 당귀와 국화의 TBARS 값이 대조구에 비하여 5.0이상으로 항산화 활성이 BHT의 항산화 활성과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Thiocyanate법에의한 항산화 활성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국화, 구기자, 감초, 작약의 물 추출물의 유도기간이 8일까지 연장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에탄을 추출물 중에는 감초와 국화의 유도기간이 8일가지 연장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황기, 국화, 구기자, 감초, 당귀, 대추, 작약, 천궁의 물과 에탄을 추출물 중에는 in vitro 항산화 실험 계에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생리활성 성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의 구기자에 기생하는 혹응애 (Eriophyid Mites Associated with Lycium chinese Mill in Korea)

  • 이원구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11권1_2호
    • /
    • pp.13-15
    • /
    • 2006
  • This report concerns with three species of eriophyid mites on Licium chinensis in Korea. Of them, the external morphology of Aceria tjyingi (Manson 1973) was observed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author reviewed three species of Korean eryophid mites and suggests Korean names of Aceria kuko kishida, A. macrodonis Keifer, and A. tjyngi (Manson), respectively.

  • PDF

구기자 가공품의 생리기능성 및 항고혈압 활성 검증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Gugija Products and an In Vivo Examination on Anti-hypertension Effects)

  • 이지수;박영춘;백승우;이석수;안용근;이종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5-120
    • /
    • 2008
  • To develop a new Gugija(Lycium chinensis Mill) product having increased value,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various commercial Gugija product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an in vivo study was performed using spontaneous hypertensive rats(SHR) to examine the anti-hypertension effects of products. The results showed that antioxidant activity was highest in the methanol extract of Gugija leaf pickle(97.7%), and anti-hypertensive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ACE) inhibitory activity was 80.4% in Gugija doenjang(soybean paste) water extract. Anti-cholesterolemia HMG-CoA reductase inhibitory activity was highest in the methanol extract of Gugija rice cake(66.1 %). However, SOD-like activity was below 30% in most products; and fibrinolytic activity was not detected or was very weak. Ultimately, we selected Gugija tea and Gugija wine as superior anti-hypertensive Gugija products, and subsequent in vivo testing was performed using SHR, comparing the tea and wine to Gugija fruit. Among them, the Gugija fruit demonstrated the best anti-hypertension effects in SH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