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ung Volume Measurements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38초

정상 성인의 신체조성과 폐 기능의 연관성 (Correlation between Body Composition and Lung Function in Healthy Adults)

  • 김현승;조성현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53-61
    • /
    • 2020
  • Purpose :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body composition and lung function in healthy adults. Methods : This study included 204 healthy adults in whom all measurements were obtained once, and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software for Windows, version 22.0.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body composition (represented by the total body water, protein mass, soft lean mass, mineral mass, basal metabolic rate, fat-free mass, skeletal muscle mass, and body fat percentage) and lung function (represented by the forced vital capacity [FVC],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 the FEV1/FVC ratio, maximum voluntary ventilation [MVV], maximum expiratory pressure [MEP], and the maximum inspiratory pressure [MIP]). All measurements were obtained by two investigators to improve reliability. A significance level of α=.05 was used to verify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s : Among the lung function measurements obtained in both men and women, the FVC, FEV1, MVV, and MIP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total body water, protein mass, soft lean mass, mineral mass, basal metabolic rate, fat-free mass, and skeletal muscle mass in men (p<.05). The FEV1/FVC ratio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total body water, soft lean mass, mineral mass, basal metabolic rate, fat-free mass and the body fat percentage (p<.05). Notably, the FVC, FEV1, and MVV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total body water, protein mass, soft lean mass, mineral mass, basal metabolic rate, fat-free mass, and skeletal muscle mass in women (p<.05).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body composition and lung function in healthy adults. In combination with future studies on lung function, our results can provide objective evidence regarding the importance of prevention of lung disease, and our data can be utilized in rehabilitation programs for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eases.

개에서 정량적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한 폐용적과 폐밀도의 평가 (Quantitative CT Evaluation for Lung Volume and Density in Dogs)

  • 최수영;이인;정우창;;이영원;최호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376-381
    • /
    • 2014
  •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하여 개에서 폐용적과 폐밀도를 측정하였으며, 체중, 나이, 성별 및 품종에 따라 분석하였다. 데이터 수집을 위해 호흡기 질환이나 심혈관계질환이 없는 개에서 수행된 흉부 컴퓨터단층촬영 영상이 사용되었으며, 전체 폐용적과 밀도의 측정을 위해 컴퓨터단층촬영 영상의 재구성 기법을 이용하였다. 폐용적은 체중이 증가할수록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p < 0.0001). 폐밀도는 체중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 = 0.0078). 그러나, 폐용적과 밀도는 성별 또는 연령과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정량적 컴퓨터단층촬영 검사로 전체 폐용적이나 폐밀도를 평가할 때 체중으로 인한 효과가 고려되어야 한다.

전산화단층촬영에서 폐 반고형결절의 크기와 용적에 호흡이 미치는 영향: 개인 내 전폐용량과 일호흡량 간 비교 (The Effect of Lung Volume on the Size and Volume of Pulmonary Subsolid Nodules on CT: Intraindividual Comparison between Total Lung Capacity and Tidal Volume)

  • 이현지;안찬식;유석종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6호
    • /
    • pp.1534-1544
    • /
    • 2021
  • 목적 전산화단층촬영에서 호흡에 의한 폐 용적의 변화가 폐 반고형결절의 크기와 용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총 31명의 환자에서 42개의 반고형결절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먼저 총 폐활량 상태에서 전산단층화촬영을 시행 받은 후, 결절이 포함된 부분만 일호흡용적 상태에서 추가로 촬영하였다. 각각의 반고형결절의 직경과 용적을 측정하였고, 전체 폐 용적은 결절의 중심이 있는 동측 폐의 단면적으로 추정하였다. 동일한 개인 내에서 총 폐활량과 일회 호흡량 간 측정값 변화의 유의성을 통계적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총 폐활량 상태와 비교하였을 때, 일회 호흡용적 상태에서 폐 단면적은 평균 12.7 cm2, 반고형결절의 직경 및 용적은 평균적으로 각각 0.5 mm와 46.4 mm3 감소하였다(p < 0.001). 총 폐활량 상태와 일호흡량 상태 간 폐 면적 변화는 반고형결절의 직경 변화(rho = 0.341; p = 0.027) 및 부피 변화(rho = 0.401; p = 0.014)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폐 용적의 변화를 고려하여 보정한 후에는 반고형결절의 평균 직경과 부피가 총 폐활량 상태와 일호흡량 상태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각각 p = 0.062, p = 0.124). 결론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측정한 반고형결절의 크기와 용적은 동일한 환자 내에서도 촬영 당시의 폐 용적에 유의한 영향을 받는다.

폐용적과 폐기능 환기장애에 대한 유의성 평가 (Significance Evaluation of Lung Volume and Pulmonary Dysfunction)

  • 김지율;예수영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767-77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폐용적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인자들과 폐기능 환기장애에 대한 유의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대상으로는 저선량 흉부 CT검사와 폐활량검사를 동시에 수행한 정상 성인 남·여 206명을 선정하였으며 실험방법으로는 저선량 흉부 CT검사로 획득한 폐 CT 영상을 이용하여 폐용적을 딥러닝 기반의 AVIEW LCS 자동진단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폐활량계를 이용하여 폐기능을 측정한 결과를 획득하였으며 폐용적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인자로 성별 및 BMI를 선정하여 폐용적과의 독립표본 T-test를 통하여 유의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성별에 따른 폐용적의 평가에서 남성의 모든 폐용적이 여성의 모든 폐용적보다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별 및 폐용적에 대한 각각의 평균값을 이용한 독립표본 T-test 결과 남성이 여성보다 모든 폐용적이 더 크다는 결과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p<0.001). 그리고 BMI 지수에 따른 폐용적의 평가에서 BMI 지수 24 이상의 성인의 모든 폐용적이 BMI 지수 24 미만의 모든 폐용적보다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BMI 지수 및 폐용적에 대한 각각의 평균값을 이용한 독립표본 T-test 결과 BMI 지수 24 이상이 BMI 지수 24 미만보다 모든 폐용적이 더 크다는 결과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5). 폐기능 환기장애 유무에 따른 폐용적의 평가에서 폐기능 환기 정상성인의 모든 폐용적이 폐기능 환기 장애성인의 모든 폐용적보다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폐기능 환기장애 유무 및 폐용적에 대한 각각의 평균값을 이용한 독립표본 T-test 결과 폐기능 환기 정상성인이 폐기능 환기 장애성인보다 모든 폐용적이 더 크다는 결과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p<0.001). 폐용적과 폐활량 검사 결과는 폐 건강을 평가하는데 가장 중요한 지표이며, 이 두 지표를 함께 사용하여 폐 기능을 평가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평가 방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폐용적과 폐활량 검사에 대한 향후 유사 연구 시 폐기능 환기 정상 성인과 폐기능 환기 장애 성인에 대한 폐용적 평균값을 제시하여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Lung Function Profiles among Individuals with Nonmalignant Asbestos-related Disorders

  • Park, Eun-Kee;Yates, Deborah H.;Wilson, Donald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5권4호
    • /
    • pp.234-237
    • /
    • 2014
  • Background: Inhalation of asbestos fibers can lead to adverse health effects on the lungs. This study describes lung function profiles among individuals with nonmalignant asbestos-related disorders (ARDs). Methods: The study population was from the Workers' Compensation (Dust Diseases) Board of New South Wales, Sydney, Australia. Lung function measurements were conducted in males with asbestosis (n = 26), diffuse pleural thickening (DPT; n = 129), asbestosis and DPT (n = 14), pleural plaques only (n = 160) and also apparently healthy individuals with a history of asbestos exposure (n = 248). Standardized spirometric and single-breath diffusing capacity for carbon monoxide ($DL_{CO}$) measurements were used. Results: Mean age [standard deviation (SD)] was 66.7 (10.3) years for all participants. Current and ex-smokers among all participants comprised about 9.0% and 54.8%, respectively. Median pack-years (SD) of smoking for ex- and current-smokers were 22.7 (19.9). Overall 222 participants (38.6%) and 139 participants (24.2%) had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_1$) and forced vital capacity (FVC) measurements < 80% predicted, and 217 participants (37.7%) had $FEV_1/FVC$ results < 70%. A total of 249 individuals (43.8%) had DLCO values < 80% predicted and only 75 (13.2%) had DLCO/VA results < 80% predicted. A total of 147 participants (25.6%) had peak expiratory flow (PEF) measurements < 80% predicted. The presence of ARDs lowered the lung function measurements compared to those of healthy individuals exposed to asbestos. Conclusion: Lung function measurement differs in individuals with different ARDs. Monitoring of lung function among asbestos-exposed populations is a simple means of facilitating earlier interventions.

폐 부위 Planning Target Volume(PTV)설정시 폐 움직임의 객관적 측정 (The Objective Measurement of the Lung Parenchyma Motion for Planning Target Volume Delineation)

  • 정원규;조정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5권4호
    • /
    • pp.387-392
    • /
    • 1997
  • 목적 : ICRU 50의 권고에 따라 치료 범위를 Planning Target Volume(PTV)으로 설정하고 있다. 진단 영상장치의 발달과 특히 CT Simulator 등의 도움으로 Gross Tumor Volume(GTV) 설정은 쉬워지고 있으나, 내부장기의 움직임에 의한 경계의 선정에 대하여는 특별한 지침이 없고, 단지 경험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폐의 움직임 유형을 분석하여 폐 부위의 PTV설정시 폐의 움지임을 고려쓿기 위한 정량적인 지침을 마련하려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 폐암, 식도암 등 폐 및 흥부 주변의 방사선으로 치료받는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Simulator 투시 촬영기로 폐의 움직임을 관찰하였다. 우측 폐는 12부위와, 좌측 폐는 10부위로 각각 나누었다 우측 폐 부위는 상엽은 2부분, 중엽은 2부분, 하엽은 2부분으로.나누었고, 그 각각을 측면에서 전, 후 2부분으로 나누었다. 좌측 폐 부위는 상엽, 하엽 모두 2부분으로 나누고, 측면에서 다시 전, 후로 다시 2부분으로 나누었다. 부위마다 4-5점을 택해 X선 투시 장치에서 생성된 열상을 컴퓨터에 입력시켜 폐포의 움직임을 x, y, z 3좌표 방향으로 수치화 하였다. 결과 :우측과 좌측 폐 부위 중 안측 상엽 부위의 움직임이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좌우 이동이 전후 이동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좌우 이동은 심장 박동 효과로 심장 또는 대동맥 근처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서 양측 패문 부위가 가장 큰 이동을 보였으며(평균 6.6mm), 상하 이동은 호흡 효과로 양측 폐 하엽 부위, 횡격막 근처에서 가장 컸다(평균 14.1mm). 결론 : X선 투시로 폐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으며 컴퓨터의 궤적 추적으로 정량화 할 수 있었다. 폐 부위의 방사선 치료시 설정되는 PTV에는 장기의 움직임을 고려해야 하는데 본 연구의 결과를 이용하여 치료 부위에 따라 여유를 차등을 둔다면 치료 조사면을 최적화 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Comparison of Predicted Postoperative Lung Function in Pneumonectomy Using Computed Tomography and Lung Perfusion Scans

  • Kang, Hee Joon;Lee, Seok Soo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4권6호
    • /
    • pp.487-493
    • /
    • 2021
  • Background: Predicting postoperative lung function after pneumonectomy is essential. We retrospectively compared postoperative lung function to predicted postoperative lung function based on computed tomography (CT) volumetry and perfusion scintigraphy in patients who underwent pneumonectomy. Methods: Predicted postoperative lung function was calculated based on perfusion scintigraphy and CT volumetry. The predicted function was compared to the postoperative lung function in terms of forced vital capacity (FVC) and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 using 4 parameters: FVC, FVC%, FEV1, and FEV1%. Results: The correlations between postoperative function and predicted function based on CT volumetry were r=0.632 (p=0.003) for FVC% and r=0.728 (p<0.001) for FEV1%. The correlations between postoperative function and predicted postoperative function based on perfusion scintigraphy were r=0.654 (p=0.002) for FVC% and r=0.758 (p<0.001) for FEV1%. The preoperative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ECOG)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in which the gap between postoperative FEV1 and predicted postoperative FEV1 analyzed by CT was smaller than the gap analyzed by perfusion scintigraphy (1.2±0.62 vs. 0.4±0.52, p=0.006). Conclusion: This study affirms that CT volumetry can replace perfusion scintigraphy for preoperative evaluation of patients needing pneumonectomy. In particular, it was found to be a better predictor of postoperative lung function for poor-performance patients (i.e., those with high ECOG scores).

치료 후 기류제한이 호전된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폐용적의 변화 (Change of Lung Volumes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Patients with Improvement of Airflow Limitation after Treatment)

  • 박훈표;박순효;이상원;서용우;이정은;서창균;곽진호;전영준;이미영;정인성;김경찬;최원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7권2호
    • /
    • pp.143-147
    • /
    • 2004
  • 배 경 :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운동능력 및 호흡곤란은 폐용적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만성폐쇄성폐질환에서 기류의 변화와 이와 관련된 폐용적 변화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기류제한이 호전된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기류제한의 호전과 폐용적 변화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폐용적의 변화를 평가하기위해 중등도 이상의 만성 폐쇄성폐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추적 검사에서 $FEV_1$이 기저치에 비해 12.3% 이상 증가한 1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기저치와 추적 폐활량 및 폐용적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평균 연령은 66세 였고, 76%가 남자였다. 기저치 $FEV_1$은 평균 0.98 L (예측치의 44.2%), $FEV_1$/FVC은 47.5%, 기저치 평균 RV은 4.65 L (예측치의 241.5%) 였다. 추적 폐기능검사는 평균 80일이 지나서 시행하였다. 추적 폐기능 검사의 평균값의 변화는 $FEV_1$ 270 ml, FVC 390 ml 정도 증가한데 비하여 전폐용적은 690 ml 그리고 잔기량은 1,040 ml 감소하였고, 이들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추적시 폐용적을 포함한 폐기능검사가 치료반응 판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ostinfectious bronchiolitis obliterans in children: lessons from bronchiolitis obliterans after lung transplantation and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 Yu, Jinho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8권12호
    • /
    • pp.459-465
    • /
    • 2015
  • Postinfectious bronchiolitis obliterans (PIBO) is an irreversible obstructive lung disease characterized by subepithelial inflammation and fibrotic narrowing of the bronchioles after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during childhood, especially early childhood. Although diagnosis of PIBO should be confirmed by histopathology, it is generally based on history and clinical findings. Irreversible airway obstruction is demonstrated by decreased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with an absent bronchodilator response, and by mosaic perfusion, air trapping, and/or bronchiectasis on computed tomography images. However, lung function tests using spirometry are not feasible in young children, and most cases of PIBO develop during early childhood. Further studies focused on obtaining serial measurements of lung function in infants and toddlers with a risk of bronchiolitis obliterans (BO) after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are therefore needed. Although an optimal treatment for PIBO has not been established, corticosteroids have been used to target the inflammatory component. Other treatment modalities for BO after lung transplantation or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ave been studied in clinical trials, and the results can be extrapolated for the treatment of PIBO. Lung transplantation remains the final option for children with PIBO who have progressed to end-stage lung disease.

한국인 폐활량 예측산식을 위한 예비타당성 연구: 통계검정모델 중심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for Korean Lung Capacity Prediction Formula: Focused on Statistical Test Model)

  • 이명모;오윤중;박삼호;강위창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1-50
    • /
    • 2024
  • Background: The lung capacity prediction formula in Korea is an important judgment standard. Since there is no appropriate lung capacity prediction formula, various prediction formulas are used for foreigners such as Northeast Asia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lung capacity prediction equation by selecting data and setting the selection criteria for normal subjects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through strict quality control, and to propose a new prediction model. Design: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Methods: A total of 857 people who met the criteria for normal people were finally collected. The tester used for the lung capacity test was the V-Max Encore 22 (Carefusion, California, USA), which is a lung capacity tester proposed by the Korean Society of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Medicine and satisfies accuracy and precision. Among the indicators measured using spirometry, forced vital capacity (FVC),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 forced expiratory volume ratio in 1 second (FEV1/FVC), forced mid-expiratory flow (Forced expiratory flow 25-75%, FEF25-75%) and peak expiratory flow (PEF) values were collected. Results: This study confirm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ge, height, weight, and pulmonary function indicators. Additionally, it found a correlation between body mass index, which considers the diversity of physical conditions, and pulmonary function indicators. Graphs depicting age-specific pulmonary function indicators by gender, presented as generalized additive model results from collected data, showed a pattern where both FVC and FEV1 increased until the mid-20s and then gradually decreased with aging. FEV1% and PEF exhibited a continuous decrease with aging.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weight and pulmonary function in the prediction formula for lung capacity. Additionally, it verifies the correlation between body mass index, which considers the diversity of physical conditions, and pulmonary function. The study suggests that the predicted values are relatively low due to factors such as aging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like COVID-19. This preliminary study holds clinical significance for improving the diagnostic accuracy of respiratory symptoms in the eld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