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w Climatic Temperature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5초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기후지수의 평가 (Evaluation of Agro-Climatic Indices under Climate Change)

  • 심교문;김건엽;노기안;정현철;이덕배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13-120
    • /
    • 2008
  • 지난 46년간(1961-2007년) 연도별 겨울철의 평균기온을 분석한 결과, 1980년 후반부터 겨울철 고온화 현상이 뚜렷이 관측되었다. 그리고 연도별 이상기상의 발생 현황도 1988년을 기점으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그 이전에는 이상저온의 발생이 상대적으로 많았으나, 그 이후에는 이상고온이 훨씬 많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되었다(농촌진흥청, 2007). 따라서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상환경의 변화가 우리나라의 농업기후자원량에 미친 영향을 벼 작물을 기준으로 조사하였다. 벼 이앙기의 한발지수는 강수량의 증가로, 태백고냉 및 준고냉지, 그리고 영남내륙 산간 및 분지지역을 중심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근래에 증가한 강수량에 비해서 개선 폭은 다소 적은 편이었다. 최근 우리나라의 벼 이앙기의 저온 출현위험도는 전국적으로 낮아진 것으로 조사되었지만, 벼 등숙기간의 일조시간 감소와 기온상승으로 기후생산력지수는 오히려 낮아져, 우리나라 주변의 최근 기상환경이 벼 생산성에는 불리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최근 벼 출수기의 출현날짜가 늦춰지는 것으로 조사됨에 따라, 벼 이앙 시기의 재조정 등 작부체계 개선이 요구된다.

수확년도에 따른 조생온주 밀감의 품질변화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atsuma Mandarin according to Harvest Year)

  • 고정삼;양영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6
    • /
    • 1998
  •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arly cultivar of Satsuma mandarin(Citrus unshiu Marc. var. miyagawa) according to harvesting year during 1990 to 1995 were investigated. Climatic conditions of every year affected the quality of citrus fruits. Compared to other harvesting years, flesh ratio and soluble solids were higher, but acid content was lower on citrus fruits produced in 1994, as for good climatic conditions during growth of fruits. Especially, acid content of fruits produced in 1993 was higher, compared to those of years, as for low mean temperature and high rainfalls. Fruit weight, peel thickness and soluble solids had a good linear correlation to fruits size, but acid content and flesh ratio had not correlation derived from difference of individual fruits. From the climatic data, the prediction of fruit quality would be possible in some degree before harvest. It seemed recommend to ably the flexibe method by harvesting year for the quality stanardization of citrus fruit.

  • PDF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 수종의 기후 적합성 평가모델 - 서울시를 대상으로 - (Modeling the Present Probability of Urban Woody Plants in the face of Climate Change)

  • 김윤정;이동근;박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59-170
    • /
    • 2013
  •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on urban woody plants remains difficult to predict in urban areas. Depending on its tolerances, a plant species may stay and survive or stay with slowly declining remnant populations under a changing climate. To predict those vulnerabilities on urban woody plants, this study suggests a basic bioclimatic envelop model of heat requirements, cold tolerance, chilling requirements and moisture requirements that are well documented as the 'climatic niche'. Each component of the 'climatic niche' is measured by the warmth index, the absolute minimum temperature, the number of chilling weeks and the water balance. Regarding the utility of the developed model, the selected urban plant's present probabilities are suggested in the future climate of Seoul. Both Korea and Japan's thermal thresholds are considered for a plant's optimal climatic niche. By considering the thermal thresholds of these two regions for the same species, the different responses observed will reflect the plant's 'hardening' process in a rising climate. The model illustrated that the subpolar plants Taxus cuspidata and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are predicted to have low suitability in Seoul. The temperate plants Zelkova serrata and Pinus densiflora, which have a broad climatic niche, exhibited the highest present probability in the future. The subtropical plants Camellia japonica and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may exhibit a modest growth pattern in the late 21C's future climatic period when an appropriate frost management scheme is offered. The model can be used to hypothesize how urban ecosystems could change over time. Moreover, the developed model can be used to establish selection guidelines for urban plants with high levels of climatic adaptability.

브로콜리(Brassica oleracea var. italica)의 온도 스트레스 평가를 위한 다중 센서 모니터링 (Multi-sensor monitoring for temperature stress evaluation of broccoli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 차승주;박현준;이주경;권선주;지효경;백현;김한나;박진희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3권4호
    • /
    • pp.347-355
    • /
    • 2020
  • 기상이변으로 인한 식물 스트레스를 평가하기 위해 토양과 식물에 적용할 수 있는 여러 센서가 개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식물의 온도 스트레스를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센서를 사용하여 기후 및 토양 상태와 식물 반응을 모니터링하는 것이다. 식물 반응을 평가하기 위한 식물 센서로 식물 줄기의 전기전도도, sap flow rate를 모니터링하였다. 식물 줄기의 전기전도도는 물과 이온 수송을 포함한 식물의 생리적 활성을 반영한다. 완전히 자란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를 온도 20/15 ℃ (낮/밤), 16시간 광주기로 하여 대조구로 설정하였으며 저온 15/10 ℃ 및 고온 35/30 ℃에 노출시키면서 토양 및 식물 상태를 모니터링하였다. 식물 줄기의 전기전도도, sap flow rate는 낮에는 증가하고 밤에는 감소하였다. 저온 스트레스 하에서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줄기의 전기전도도는 대조구보다 낮았고, 고온 스트레스 하에서는 대조구보다 높아 물과 이온 수송이 온도에 의해 영향을 받았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엽록소 a와 b 함량은 저온 스트레스를 받은 잎에서 증가했고 고온 스트레스를 받은 잎에서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잎의 프롤린 함량은 저온 스트레스에서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는 반면, 고온 스트레스에서는 증가했다. 프롤린 합성은 환경 스트레스 하에서 식물의 방어 메커니즘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는 저온보다 고온 스트레스에 더 민감한 것으로 판단된다.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전국 일 최고/최저기온 공간변이의 추정 (Estimation of Daily Maximum/Minimum Temperature Distribution over the Korean Peninsula by Using Spatial Statistical Technique)

  • 신만용;윤일진;서애숙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20
    • /
    • 1999
  • 농업을 비롯한 산업활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문 기상정보의 활용이 필수적이다. 영농활동에 있어서 의사지원시스템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는 작물 생장모형은 부단히 변화하는 대기환경에 대한 공간정보를 요구하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화를 위해서는 기상 관측밀도가 낮은 광범위한 작물 생육지역을 대상으로 일별 기상요소에 대한 공간분포를 추정해야 한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 연구는 미관측 지점을 포함하는 우리 나라 전국을 대상으로 작물모형의 구동에 필요한 최소 기상요소들 중에서 일 최고 및 일 최저기온의 공간적인 분포를 추정하고 그 추정 정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이해 먼저 58개 지점의 23년간 실측 기온자료로부터 지형기후학적 방법에 의하여 격자단위의 월별 기온평년값을 추정하고, 조화해석법에 의하여 일별값으로 변환하였다. 66개 기상청 관측소에서 수집된 임의 날짜의 최고/최저기온값과 관측소 해당 격자점의 평년값간 편차를 구한 다음, 미관측 격자점을 포함하는 한반도 전역의 기온편차를 거리역산가중법에 의하여 내삽.추정하였다. 각 격자점의 최종적인 기온 추정값은 기온 평년값에 이 편차를 더함으로써 얻었다. 얻어진 온도 분포는 위성자료로부터 추정한 지표온도분포 양상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300여개의 자동기상관측 장비들로부터 수집된 자료와 비교한 결과, 추정오차는 $1.5^{\circ}C$~2.5$^{\circ}C$였다.

2002년 농작물 병해 발생개황 (Review of Disease Incidence of Major Crops in 2002)

  • 김충회
    • 식물병연구
    • /
    • 제9권1호
    • /
    • pp.10-17
    • /
    • 2003
  • 2002년은 여러 가지로 기상이 특이한 해였다. 겨울철의 이상난동, 3-4월의 고온 및 한발, 그리고 6월, 7월초중순의 가뭄, 7월하순부터 8월한달 내내 지속된 강우, 저온, 일조부족 등 여러모로 작물환경에 불리한 환경이 조성된 해였다. 이러한 기상특성과 상관하여 금년은 일반적으로 저온, 일조부족, 다우조건을 좋아하는 병해의 발생이 많았으며 벼의 경우 세균성알마름병, 이삭누룩병의 발생이 증가한 반면 도열병 등 주요병해는 질소비료의 시용량이 감소함에 따라 발생이 감소하였다. 채소, 과수류, 서류 병해의 발생은 생육기의 기상조건에 따라 많은 편차가 있으나 다우조건과 관련이 깊은 역병 등 저온성 병해의 발생이 증가한 반면에 탄저병, 무름병 등의 발생은 뚜렷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Slip-resistant bolted connections under freeze-thaw cycles and low temperature

  • A. Fuente-Garcia;M.A. Serrano-Lopez;C. Lopez-Colina;F., Lopez-Gayarre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48권3호
    • /
    • pp.251-262
    • /
    • 2023
  • There are many examples of steel structures subjected to severe environmental conditions with bolted connections directly exposed to extreme climatic agents such as freeze-thaw cycles or low temperatures. Some examples are: steel bridges, mining transfer towers, wind towers... These service conditions neither are included in Eurocode 3 or EN1090-2, nor there are references in other international standards. In this experimental research, 46 specimens of non-slip joints with HV M20 bolts and four different types of contact surfaces have been studied. Half of the specimens were subjected to fourteen twelve-hours freeze-thaw cycles, with periodic immersion in water and temperature oscillation. Subsequently, half of the connections were subjected to a slip test under monotonic load at temperature of -20 ± 0.5 ℃ and the other half at room temperature.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others equal joints not subjected to freeze-thaw cycles and kept at room temperature for the same time. This finally resulted in 4 sets of joints by combining the freeze-thaw degradation or not with the low-temperature conditions or not in the slip testing. Therefore, a total of 16 different conditions were studied by also considering 4 different contact surfaces between the joined plates in each set. The results obtained show influence of environmental conditions on the slip resistant capacity of these joints.

경험적 분위사상법을 이용한 미국 지표 기온 기반 농업기후지수의 지역 규모 계절 예측성 개선 (Improvement in Regional-Scale Seasonal Prediction of Agro-Climatic Indices Based on Surface Air Temperature over the United States Using Empirical Quantile Mapping)

  • 송찬영;안중배;이경도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01-217
    • /
    • 2022
  • 미국은 전 세계 주요 곡물(밀, 옥수수, 콩 등)의 생산 및 수출 국가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신뢰할 만한 기상 예측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지역에 대한 작황을 추정하는 것은 우리나라의 곡물 수급을 안정적으로 계획하기 위해서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 규모의 일 기온 및 이를 기반으로 산출되는 농업기후지수의 계절 예측성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역학적 규모축소법을 위한 지역기후모형으로 WRF가 사용되었으며, 해당 모형의 초기 및 측면 경계조건으로 PNU CGCM에서 생산된 시간 별 전지구 예측자료가 활용되었다. WRF의 적분은 22년(2000~2021년) 동안 매년 하반기를 포함하는 기간(6~12월)에 대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WRF에 의해 모의된 일 평균⋅최저⋅최고기온에 대해 EQM을 적용하여 모형이 갖는 편의를 보정하였다. EQM을 이용하여 보정된(보정되지 않은) 자료들은 WRF_C (WRF_UC)로 명명하였다. WRF_UC는 미국 내 대부분의 지역에서 일 최저기온(최고기온)을 과대(과소) 모의했는데, 이는 저온(고온) 범위를 과소 모의한 특징에서 비롯되었다. WRF_C는 WRF_UC에 나타난 일 평균⋅최저⋅최고기온의 편의가 감소하고 공간분포에 대한 예측성이 향상되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일 기온을 기반으로 산출되는 농업기후지수의 예측성 향상을 유도했다.

정수장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변화 요인 분석 (Effect of Climate Change Characteristics on Operation of Water Purification Plant)

  • 장유정;최현우;이서준;최재영;최현수;오희경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89-100
    • /
    • 2024
  • Climate change has a broad impact on the entire water environment, and this impact is growing. Climate adaptation in water supply systems often involves quantity and quality control, but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examining the impacts of climatic factors on water supply productivity and operation condition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first, building a database of climatic factors and water purification operating conditions, and then identifying the correlations between factors to reveal their impacts. News big data was analyzed with keywords of climatic factors and water supply systems in either nationwide or region-wide analyses. Metropolitan area exhibited more issues with cold waves whereas there were more issues with drought in the Southern Chungcheong area. A survey was conducted to seek experts' opinions on the climatic impacts leading to these effects. Pre-chlorination due to drought, high-turbidity of intake water due to rainfall, an increase of toxins in intake water due to heat waves, and low water temperature due to cold waves were expecte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meteorological data and the operating data of a water purification plant. Heavy rain resulted in 13 days of high turbidity, and the subsequent low turbidity conditions required 3 days of high coagulant dosage. This insight is expected to help inform the design of operation manuals for waterworks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대기 증기압차가 참외 발효과 발생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tmospheric Vapor Pressure Deficit on Fruit Fermentation of Oriental Melon(Cucumis melo L. var makuwa Makino))

  • 신용습;서영진;최충돈;박소득;최경배;윤재탁;김병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74-179
    • /
    • 2007
  • 참외 발효과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증산과 관련된 몇 가지 요인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외의 증산율은 지온이 높고 토양수분 함량이 많을수록 높았으며, 광도가 약하여 온도가 낮을 경우 증산율과 기공 전도도가 낮아졌고, 저온 다습한 기상조건에 의한 증산의 억제는 식물체와 대기사이의 증기압기울기가 낮아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발효과 발생은 과실의 비대가 느린 착색기 이후에 토양수분이 -10 kPa로 많고, 저온 다습하여 참외와 대기 사이에 증기압기울기가 낮게 형성되어 증산이 억제될 때 발생하였다. 따라서 참외의 발효과 발생은 착색기 이후 참외의 과실 비대가 지연되는 반면 지온이 높아 뿌리로부터 지상부로 수분의 공급이 원활하고, 저온 다습한 기상조건하에 수분의 증산이 억제되어 수분이 태좌부로 유입되면 발효과가 발생되는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