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ligo edulis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5초

제주도 연안에 분포하는 창꼴뚜기(Loligo edulis)의 자원생물학적 연구 (Fisheries Biology of Swordtip Squid, Loligo edulis in Jeju Island, Korea)

  • 강현정;김영혜;이은희;이동우;장대수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3-28
    • /
    • 2009
  • 2006년 6월부터 11월까지 매월 1회씩 제주도 귀덕, 신산, 김녕, 강정 연안에서 정치망에 의해 채집된 창꼴뚜기를 대상으로 창꼴뚜기의 생식생물학적 특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759 개체의 창꼴뚜기 중에서 암컷은 429 개체, 수컷은 330 개체로 나타났다. 암컷의 경우, 조사 기간 중 미숙, 중숙, 성숙, 완숙기의 개체들이 혼재하여 출현하였으며 산란이 가능한 완숙 개체는 조사기간 중 초기인 6월을 제외하고 모든기간에 걸쳐 관찰되었고, 11월에 출현비율이 가장 높았다. 수컷도 조사기간 중 미숙, 중숙, 성숙, 완숙기의 개체들이 혼재하여 출현하됐으며 생식소의 숙도가 방정이 가능한 성숙단계이상의 개체는 전 기간에 걸쳐 관찰되었고 완숙기의 개체는 암컷과 같이 11월에 출현비율이 가장 높았다. 창꼴뚜기가 산란에 참여하는 군성숙외투장을 알아본 결과 성숙외투장은 17.1cm 로 추정되었다.

  • PDF

동지나해 저층트롤 어업에서의 창꼴뚜기(Loligo edulis)의 어획량 변동에 관한 연구

  • 박영철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364-366
    • /
    • 2001
  • 두족류는 세계적으로 어획량이 증가하고 있는 소수의 어족 자원들 중 하나 이다. 두족류 어획량의 이러한 증가는 저서 어류의 남획현상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즉, 저서 어류의 남획이 두족류를 포함한, 수명이 짧은 다른 종들의 자원량 증가를 야기 시킬 수 있다 (Caddy, 1983). 이러한 가설은 아직까지 정량적으로 증명되지는 못하였으나 북동대서양을 제외한 전세계 해역에서 관찰된바 있다(Caddy and Rodhouse, 1998). (중략)

  • PDF

오징어 채낚기 낚시의 야광이 어획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luminous jig to catching of squid jigging in the Korean waters)

  • 류경진;김형석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5권4호
    • /
    • pp.303-309
    • /
    • 2019
  •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squid jig in korea waters by investigating the effect of color and luminous performance of squid jig on the catch of squid and experimenting the result of jig according to green jig or white jig, and whether using luminous or not were tested in the sea to improve the jig of squid jigging.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3 sea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T/S No. 2 Galmaegi. As a result, 341 squids were caught. Among them, 221 squids were caught by green jig (64.8%), 64 squids were caught by white jig (18.8%), 41 squids were caught by green luminous jig (13.8%), and nine squids were caught by white luminous jig (2.6%). The green jig commonly used in jigging vessel was most effective, and luminous jig was less effective than that non-luminous jig. The squids caught were Japanese flying squid (Todarodes pacificus), swordtip squid (Loligo edulis) and spear squid (Loligo bleekeri), and no significant characteristic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color of jig and the presence of luminous.

한국 남해에 출현하는 만새기(Coryphaena hippur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Dolphinfish Coryphaena hippurus in the South Sea of Korea)

  • 정재묵;최정화;임양재;김정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541-546
    • /
    • 2017
  • Feeding habits of dolphinfish Coryphaena hippurus, were analyzed. Fish samples were collected by using a purse seine, fishing and set net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from January to December 2015. The size of C. hippurus ranged from 23.8 to 127.4 cm in fork length. The species with the highest percent index of relative importance (%IRI; the most important prey taxa) in the diets of C. hippurus were teleosts and cephalopod, including Engraulis japonicus, Thamnaconus modestus and Trachurus japonicus, Loligo edulis was the most frequently consumed cephalopods. Coryphaena hippurus also ate small amounts of amphipods and carid shrimp. The dietary compositions of C. hippuru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size classes or seasons (ANOSIM, P>0.05). As body size of C. hippurus increased the mean number of prey per stomach (mN/ST) tended to decrease, but the opposite trend was evident for mean weight of prey per stomach (mW/ST). The mN/ST and mW/ST also significantly varied with season (one-way ANOVA, P<0.05).

두족류의 진위 판별을 위한 Real-time Quantitative PCR 검사법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Quick and Accurate Cephalopods Grouping System in Fishery Products by Real-time Quantitative PCR Based on Mitochondrial DNA)

  • 정인영;서용배;양지영;권기성;김군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80-288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생산되거나 해외에서 수입되어 국내에서 유통되는 수산물 중에서 두족류를 문어류, 낙지류, 오징어류, 주꾸미류, 꼴뚜기류의 5개 그룹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두족류 5개 그룹을 판별을 하기 위해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는 유전자를 분석하였고, 그 중에서 COI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16s rRNA (16s ribosomal RNA), 12s rRNA (12s ribosomal RNA) 내에서 상당히 유사한 DNA 서열 부분과 일부 서열 변화 부분이 확인되었다. 명확하게 두족류 5개 그룹 판별을 하기 위해 COI, 16s rRNA, 12s rRNA 유전자의 일부 서열 변화 부분에서 그룹 특이적 프라이머 세트를 디자인하였다. 국내 외에서 확보한 두족류 시료(참문어, 낙지, 살오징어, 아메리카 대왕오징어, 갑오징어, 주꾸미, 모래주꾸미, 하이야주꾸미, 참꼴뚜기, 창꼴뚜기, 한치꼴뚜기)의 genomic DNA을 추출하여 각 그룹의 특이적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SYBR 기반의 real-time PCR 시스템에 의해 분석되었고, threshold cycle (Ct) value와 같은 real-time PCR 결과 분석에 의해 두족류 내 그룹 판별이 가능하였다(Table 3).

한국 남해안에 출현하는 태평양참다랑어 Pacific bluefin tuna, Thunnus orientali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the Pacific bluefin tuna, Thunnus orientalis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 윤상철;유준택;이성일;김장근;최광호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1권4호
    • /
    • pp.553-560
    • /
    • 2015
  • The feeding habits of the Pacific bluefin tuna, Thunnus orientalis were examined based on the stomach contents of 330 specimens caught by offshore large purse seine fishery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2011. The size of Pacific bluefin tuna used in this study ranged from 34.1 to 67.3 cm in fork length (FL). The percentage of empty stomachs was 41.8%. The main prey items were Pisces and Cephalopoda based on percentage IRI (index of relative importance). The main fish preys were Trachurus japonicus, Bregmaceros japonicus, Engraulis japonicus, and Cephalopoda were Todarodes pacificus, Loligo edulis, Watasenia scintillans. T. orientalis showed ontogenetic change in diet composition. Although Pisces dominated the diet of all length classes the portion of Cephalopoda was relatively higher in size between 40 and 50 cm other than length classes. In terms of seasonal variation in feeding habits, Pisces was the main prey group in all seasons, but Cephalopoda was also frequently consumed during spring and autumn based on %IRI.

연승어업에서 참돔의 섭식행동을 응용한 어획시스템의 성능 분석 (The Analysis of a Fishing System that Employs a Red Seabream Feeding Behavior in the Long Line Fishery)

  • 강경범;구명성;김종범;안장영;최찬문;이창헌;김병엽;김석종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9권2호
    • /
    • pp.570-580
    • /
    • 2017
  • In this study, we designed a fishing system to reproduce the underwater movement of the living Sword tip squid (Loligo edulis) used as bait in the red seabream long line fishery, and conducted the experiment of the fishing operation in 2 ways, i.e., a pole and line fishing method (fishermen) and a bait control fishing system used at fishing sites. Based on the catches in fishing operatio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ver a six times (2014 & 2015), and then 107 fishes were caught by the line fishing method while 57 fishes were caught by the bait control fishing system. The fishermen method actively controlled the speed of gear movement upward and downward while checking the reaction of red seabreams to the bite in the process which a jerk was transmitted to single line hook fishing gear manually. The bait control fishing system is a passive method which fishermen visually check only the movements at the end of fishing pole, enabled differentiation of bite reactions of red seabream during fishing operation. Thus, the difference between fishermen method and the bait control fishing system was found to about 53.3% in the catches. We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a site fishing operation based on the bait control fishing system designed newly as a result of this study. Improvement is in several areas for commercialization at the site. This fishing system is expected to be able to find wide-ranging applications as a new labor-saving method for the fishing red seabreams if it is applied to the fishing sites after aforesaid process.

동지나해 저서어류의 자원조사 연구 - 1 . 트로올에 의한 어획시험 - (Investigation of Demersal Fisheries Resources of the East China Sea - 1 . Fishing Experiment by Trawl -)

  • 박중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6권2호
    • /
    • pp.133-142
    • /
    • 1990
  • 동지나해의 저서 어업자원에 대한 어획시험 조사연구가 일본의 북해도대학과 부산수산대학교의 공동으로 1989년 11월 5일~11월 12일의 기간 중에 실시되었다. 이 공동 연구는 앞으로 1992년도까지 연 4년간의 조사기간은 설정하고 있으며, 어획시험은 매년 같은 시기 같은 해역의 동일 지점에서 실시할 예정으로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어업자원의 현황과 동태, 지리적인 분포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일본 북해도대학의 연습선 OSHORU-MARU를 이용하여, 한일 공동규제수역 밖의 동지나해 북부 해역에서 1일 3회 총 24회의 트로올 조업을 행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1. 조업해역의 수심은 51~132m, 예망수층의 수온은 8~21$^{\circ}C$의 범위에 있었고, 예망 중의 망고는 4.5m, 오터 보오드의 간격은 80m 정도였다. 2. 총 24회의 조업에서 어류 76종, 오징어 문어류 6종, 게, 새우류 7종을 어획하였으며, 이들중 홍어류, 달고기, 민어, 민강달이, 황돔, 전갱이류, 병치매가리, 갈치, 삼치, 병어, 덕대, 샛돔, 꼼치, 말쥐치, 살오징어, 칼오징어, 꽃게는 어획량이나 개체수가 비교적 많았다. 3. 주요 어종들에 대하여 어획 해역별로 체장 계급별로 미수분포를 보면, 갈치, 병어, 말쥐치는 해역에 따라 체장의 모드가 다른 어군이 별개로 어획이 되고 있으며, 살오징어, 칼오징어, 꽃게로는 같은 해역에서 성장단계가 상이한 2개 이상의 군이 혼획되는 것으로 보인다. 4. 특히, 갈치, 병어는 대.소형어가 분리 어획되고 있으나, 살오징어, 칼오징어, 꽃게 등은 같은 어장에서 대.소형어가 혼획되고 있으므로 소형어의 난획 방지를 위한 방책이 필요한 것으로 본다., 각각의 핑거를 식별, 추적할 수 있었다.는 경도방향의 해구수가 많았으며, 특히 8월은 1년중 경도방향의 분산이 가장 컸고, 어장중심은 5월에는 3888해구, 6월에는 3884해구, 7월에는 4078해구, 8월에는 4154해구, 9월에는 4146해구, 10월에는 4044해구였다. 3. 어획수온과 어획적수온은 5월에는 $14.0~18.5^{\circ}C,$ $15.0~16.0^{\circ}C,$ 6월에는 $13.5~18.5^{\circ}C,$ $14.5~16.0^{\circ}C,$ 7월에는 $14.0~20.0^{\circ}C,$ $14.5^{\circ}C,$ $19.0^{\circ}C,$ 8월에는 $16.0~21.5^{\circ}C,$ $18.0~20.0^{\circ}C,$ 9월에는 $14.5~22.0^{\circ}C,$ $17.0~18.5^{\circ}C,$ 10월 $14.0~18.0^{\circ}C,$ $16.0~17.0^{\circ}C였다.$ 4. 평균CPUE는 5월에는 3.2kg/sheet, 6월에는 4.5kg/sheet, 7월에는 4.3kg/sheet, 8월에는 5.1kg/sheet, 9월에는 6.4kg/sheet, 10월에는 5.8kg/sheet였다. 5. 한국정부의 1990년 북태평양 오징어 어업감시계획과 실제의 어장형성범위를 비교하면 5월에는 어장이 형성된 21개 해구 가운데 12개, 6월에는 24개 가운데 7개, 7월에는 25개 가운데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