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scour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3초

하강류 제어를 통한 교각세굴 감소 효과 분석 (Analysis on the Scour Reduction Effect by Controlling Downflow)

  • 이호진;오현식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61-67
    • /
    • 2018
  • 세굴보호방법은 두 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국부세굴의 주요 원인인 말굽형와류와 후류와를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소형 원통형구조물 또는 분리된 연직반사판은 교각 앞에 설치하거나 스포일러처럼 교각에 부착하여 와류의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은 하상재료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을 설치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블록매트 또는 테트라포드를 사용함으로써 즉시 효과를 발휘하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첫 번째 방법을 사용하여 세굴감소 효과를 평가하였다. 반사판 간격과 세굴의 감소효과의 관계는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것은 반사판의 폭이 세굴 감소와 어느 정도 관계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KC 수가 증가함에 따라, 세굴감소 효과는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세굴감소율은 $U_R=25$ 또는 KC = 8 일 때 급격한 변화를 보였다.

기계학습을 이용한 비점성토 및 점성토 지반에서 시간의존 교각주위 국부세굴의 예측 (Prediction of time dependent local scour around bridge piers in non-cohesive and cohesive beds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

  • 최성욱;최성욱;최병웅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12호
    • /
    • pp.1275-1284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기계학습을 이용하여 비점성토 및 점성토 지반에서 시간에 따른 교각주위 국부세굴을 예측하였다. 기계학습 기법으로는 과적합 오차를 유발하지 않는다고 알려진 Support Vector Machines (SVM) 기법이 사용되었다. 비점성토 지반 및 점성토 지반에서 시간에 따라 발달하는 세굴심을 7개 및 9개의 변수를 각각 이용하여 표현하였다. 여러 실험을 통해 얻어진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개발된 모형을 학습시키고 검증하였다. 계산된 평균절대비오차(MAPE)에 의하면 모형의 학습과 검증이 적절하게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결과뿐 아니라 Choi and Cho 공식과 Briaud et al.이 제시한 SRICOS 방법에 의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양질의 자료가 충분히 제공되는 경우 SVM 모형이 비점성토 및 점성토 지반 시간의존 국부세굴을 예측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서해안 세립토의 국지적 침식특성 평가 (Evaluation of Local Erosion Characteristics of Fine-Grained Soils in the West Coast Area)

  • 곽기석;이주형;박재현;우효섭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5C호
    • /
    • pp.323-331
    • /
    • 2006
  • 지반의 저항인자인 침식특성을 정량화하여 이를 세립토 지반의 세굴심 산정에 반영하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이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국내에서 많은 장대 해상교량이 계획 또는 시공되고 있는 서해안 지역 세립토 지반의 침식특성을 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대상지역으로는 인천대교 현장, 강화 초지대교 현장, 환경교 현장, 군산 장항지구 등 4곳을 선정하였으며, 총 34개의 불교란시료를 채취하여 세굴률 실험을 수행하였다. 지반의 침식능을 나타내는 한계전단응력은 지반의 비배수전단 강도와 비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점성을 가진 세립토가 세굴에 대한 저항이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을 통해 지역별 침식특성을 분석 및 체계화하여 서해안 지역 장대교량 건설시 보다 정확한 세굴심도 산정 및 기초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TTG블록의 교각국부세굴에 대한 수리모형 성능평가 (Hydraulic Model Test on Local Scour Protecting around Bridge Piers with TTG Blocks)

  • 박현주;지정환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6호
    • /
    • pp.165-174
    • /
    • 2010
  • 블록 TTG를 이용한 교각국부세굴보호공의 적합성과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모형 블록의 조도계수를 확인하고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현장조건을 대표하는 수리학적 조건하에서 개별 블록과 블록을 연결하여 매트화한 경우의 한계 안전중량을 결정하였다. 사석, 돌망태, TTG의 세굴보수공 성능을 비교한 결과 TTG의 안전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하상재료의 유출을 막기 위해 블록의 중간 부분을 적정한 자갈로 채우고, 토목섬유의 설치 여부를 검토하여야 한다.

HEC-RAS 모형에 의한 감조하천구간 부정류 해석 및 세굴보호공 설계 (Unsteady Flow Analysis for the Design of Local Scour Protection by HEC-RAS(UNET) Model in the River Reach Affected by Tide)

  • 남궁돈;조두찬;윤광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138-1142
    • /
    • 2005
  • The tidal river is a river affected by tide, which causes the water level to rise and fall two times everyday periodically. The local velocity across the river could be very fast because of the cross-se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river even though it's not a rainy season. Therefore extreme local scour could take place around hydraulic structures such as piers and caissons due to backward flow velocity. For the construction of pier foundation of Ilsan-bridge In the Han River, the field observations were performed to get the velocity and water level. The numer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HEC-RAS(UNET). The relationship between measured maximum velocity and calculated mean velocity is achieved, which is used to estimate the velocity and water level as the construction is proceeding. Countermeasures for scour were designed with the results of the hydraulic analysis to avoid potential damage during construction work.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onitoring, the velocity increase after temporary road embankment was negligible, from which it is considered that the degradation of main channel compensated for the constriction of cross-section by embankment.

  • PDF

방조제 물막이구간의 세굴심도 추정 (Estimation of Scour Depth at the Seadike Closure Gap)

  • 나정우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1998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287-292
    • /
    • 1998
  • The phenomena of local scour due to a current from a seadike closure gap which is protected by rock, then on to an erodible bed, have been studied. Based on the data of hydraulic model test, the scour characteristics have been investigated for the variation of maximum scour depth with time until reaching equilibrium stage and the shape of ultimate scour hole. A brief evaluation of DHL formula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maximum scouring depth and time and a dimensionless form leading to time-scale introduced. On the basis of DHL formula, modified DHL formula denoted DHL-RDC formula is extend to the range of estimation of scour depth compared to DHL formula verified by model test.

  • PDF

하상보호공 직하류부 세굴공의 난류양상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Analysis on the Turbulence Patterns in The Scour Hole at The Downstream of Bed Protection)

  • 이재룡;박성원;염성일;안정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20-26
    • /
    • 2019
  • 강이나 하천 폭 전체에 걸쳐 수리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대개 하상보호공을 설치한다. 하지만 하상보호공직하류부에 있는 하천하상이 상류부의 흐름영향으로 인해서 유실되는 국부세굴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국부세굴은 흐름방향 경계지점의 흐름 및 난류특성과 하상토의 재질 등에 지배적이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점차적으로 위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동상 모형실험을 통해 분석된 시간변화에 따른 하상보호공 하류부 국부세굴공 내부의 난류성분을 3차원 수치해석모형인 OpenFOAM의 적용결과와 비교하고 국부세굴공발달의 주요인자라고 알려져 있는 수심 적분된 상대난류강도 값의 흐름방향별 분포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 결과와 함께 하상전단응력 및 Shields parameter와 비교하여 세굴공의 안정화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추가적으로 초기 난류유입조건을 변화시켜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세굴공의 최대발생깊이는 유속의 크기보다는 오히려 수심 적분된 상대난류강도의 크기에 따라 지배적으로 발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서 향후 하상보호공 하류부에서 발생 가능한 국부세굴공을 저감하거나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심 적분된 상대난류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설계나 시공 혹은 수문조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V형 여울에서 발생하는 세굴에 관한 실험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Scour at V-shaped Riffle)

  • 유대영;박정환;우효섭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6권3호
    • /
    • pp.507-520
    • /
    • 2003
  • V형 여울은 하천 양안에 설치하여 여울의 가운데로 물의 흐름을 집중시켜 하도 중앙 직하류에 세굴로 인한 소(pool)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인공 여울이다. V형 여울의 설치 목적은 평탄화된 하도에 소를 형성시켜 갈수시 어류의 서식처 노는 피난처를 제공하고, 홍수시에는 유속이 약한 구간을 발생시켜 어류의 피난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V형 여울의 수리 모형 실험을 실시하여 각 조건에 따른 세굴심을 측정하여 세굴 특성을 분석하였고, 나아가 수리량 조건 및 V형 여울 형태와 세굴 간의 정량적인 관계를 실험 결과로부터 도출하였다. 또한 V형 여울과 형태가 유사한 수제에서의 세굴심에 대한 기존의 연구 결과와 V형 여울의 경우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Breusers와 Raudkivi(1991)가 제안한 수제에서의 세굴심 예측식은 V형 여울에서의 세굴심을 과소평가하지만 V형 여울께서의 세굴 특성을 일부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V형 여울의 세굴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의 무차원화를 통해 V형 여울에서의 세굴심 예측식을 제안하였고 제안된 예측식은 V형 여울의 적용에 있어서 세굴심을 추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판단된다. V형 여울의 세굴에 지배적인 영향을 주는 인자는 여울 중앙에서의 프루드 수이고, 그밖에 여울과 흐름의 각도와 여울 개구부의 폭도 부분적으로 영향을 준다.

CFD-DEM 연계기법을 활용한 고정식 해양구조물의 모노파일 주위 유동 및 세굴해석 (Flow and Scour Analysis Around Monopole of Fixed Offshore Platform Using Method that Couples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and Discrete Element Method)

  • 송성진;전우영;박선호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45-251
    • /
    • 2019
  • When an offshore foundation is exposed to waves and currents, local scour could develop around a pile and even lead to structural failure. Therefore, understanding and predicting the scour due to sediment transport around foundations are important in the engineering design. In this study, the flow and scour around a monopole foundation exposed to a current were investigated using a method that coupled the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and discrete element method (DEM). The open source computation fluid dynamics library OpenFOAM and a sediment transport library were coupled in the OpenFOAM platform. The incipient motion of the particle was validated. The flow fields and sediment transport around the monopole were simulated. The scour depth development was simulated and compared with existing experimental data. For the upstream scour hole, the equilibrium scour depth could be reproduced qualitatively, and it was underestimated by about 23%.

파랑에 의한 이중 파일 주변부 국부세굴 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of Local Scour Around the Double Pile in Waves)

  • 오현식;이호진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4권5호
    • /
    • pp.169-175
    • /
    • 2022
  • 강 하구나 천해역 등 파랑에 의해 영향을 받는 흐름장에서의 세굴은 한 방향 흐름에서의 세굴에 비해 예측이 어렵다. 해저 교량과 같은 원형 파일 주변부에서의 세굴 예측에 있어서 주요 관심사는 최대 세굴의 깊이와 발생 지점이다. 인접한 원형 파일이 2개 이상인 경우 파일 간의 간격과 정렬 방식에 따라 최대 세굴이 발생하는 위치 및 깊이는 단일 파일일 경우와 많은 차이를 나타낸다. 본 논문은 흐름의 크기를 나타내는 무차원 변수로서 KC 수를 산정하고 파일 간격과 흐름의 크기에 따른 상관성을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