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Residents' Participation

검색결과 290건 처리시간 0.027초

로컬 거버넌스 실현을 위한 지방의회 기록관리 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del for Records Management of Local Assembly to Embody Local Governance)

  • 최연주
    • 기록학연구
    • /
    • 제14호
    • /
    • pp.241-288
    • /
    • 2006
  • 오늘날 지방자치단체는 중앙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지방분권에 대응하는 수단으로 로컬 거버넌스를 지향하고 있다. 로컬 거버넌스는 공사간의 구분없이 협력과 파트너십을 통해 문제의 해결을 도모한다는 점에서 무엇보다도 정보의 공유를 통한 각 행위주체 및 네트워크 형성 운영 자체의 투명성과 책임성이 중요한 과제임을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정보의 공유를 위해서는 공유될 정보, 즉 기록이 수집, 관리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전제되어야만 한다. 이런 배경 속에서 지방의회는 주민대표기관이자 전통적인 주민참여 집행기관(단체장) 견제기구로서 로컬 거버넌스를 구성하는 중요한 행위주체가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방의회에 대한 정보는 부존재하거나 비공개되고 있으며, 공개되는 정보 역시 그 양이나 질에 있어서 시민사회로부터 받는 불신과 저평가를 해소하기에 부족한 현실에 있다. 지방의회는 기록관리에 대한 전반적인 의식변화와 함께 기록관리의 근본적인 개선이 시급한 시점에 이른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근거하여 오늘날 지방의회의 기록관리 실태를 검토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기록은 생산되는 시점부터 관리까지의 모든 프로세스가 합리적인 구조 속에서 일관적으로 수행될 때 진정한 가치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엇보다도 지방의회에서 반드시 생산 관리되어야 하는 기록을 기록물분류기준표의 단위업무를 통해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처리과-기록관-전문관리기관이라는 세 단계로 구분된 우리의 기록관리체계에 부응하여 적용할 수 있는 기록관리정책 및 기록관의 설치를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지방의회가 기록관리에 의해 실현하는 투명성과 책임성의 확보와 더불어, 기록관리 자체로 로컬 거버넌스 실현의 유력한 수단이 되는 여러 효과에 대해 정리하였다.

한국 산촌개발사업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의식과 향후 발전방안 (The Stakeholder's Response and Future of Mountain Community Development Program in Rep. of Korea)

  • 유병일;김소희;서정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4호통권161호
    • /
    • pp.214-225
    • /
    • 2005
  • 한국의 산촌개발사업은 의제21(Agenda 21) 13장의 지속가능한 산지개발(SMD, Sustainable Mountain Development)과 국토 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전국토의 45.9%를 점유하고 있는 산촌마을을 대상으로 1995년부터 시범적으로 시작되었다. 이후 도별 확대사업과 함께 관련 법률 및 제도 정비를 통하여 산촌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행복 제고를 목적으로 현재 진행 중이다. 본 연구는 2003년 현재 사업 완료된 59개 산촌개발마을과 조성중인 15개 산촌개발사업마을의 사업내용에 대하여 산촌개발의 핵심 이해관계자인 산촌주민과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의견을 비교분석하여 사업만족도를 분석하고 향후 지역사회 개발사업으로서 산촌개발 사업의 추진방향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산촌개발사업은 지역사회 개발사업이 일반적으로 추구하는 주민의 자발적 참여와 민주시민으로의 자립정신확립, 소득증진 기반조성, 쾌적한 생활환경의 창조, 타 지역과의 균형발전 등 여러 측면에서 긍정적인 성과가 나타났다. 특히 마을주민과 지방자치단체의 기대가 큰 소득증대 기반조성과 해적한 마을환경 기반구축을 통한 정주기능 증진효과에 대하여는 이해관계자 모두가 만족하는 성과가 도출되었다. 그러나 산촌개발사업을 통한 산촌마을의 지역사회유지 및 전통적인 가치체계 강화는 만족한 수준에 달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지속적인 소득증진효과를 도모하기 위한 지역 특성에 알맞은 소득 작목 개발과 기술 보급, 지역특산물 개발 유통개선도 필요한 실정인데, 지방 자치단체의 적극적이며 다각적인 활동이 요구된다. 또한 산촌개발계획 초기부터 지방자치단체와 산촌주민이 공동 참여하는 산촌개발사업방식의 도입과 관련 지방행정조직과 1차 산업 단체의 혁신은 산촌개발사업의 지속성 유지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산촌개발이 장기적으로 타 지역개발과의 균형 유지를 위한 종합개발 계획 수립, 산촌마을 네트워크 구성과 정보교환, 산촌개발사업 사후 시설관리, 산촌마을개발협의회 구성 등 산촌개발사업의 핵심요소인 지도인력의 양성과 교육은 중앙정부의 주도적인 지원을 요구한다. 향후 산촌관련 이해관계자를 고려한 발전 방안 수립은 지역사회개발계획의 일환으로 산촌개발사업 성공 가능성을 증가시킬 것이다.

전통문화축제 스토리텔링의 선택속성이 브랜드자산, 브랜드태도, 브랜드애호도와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election Attributes of Traditional Culture Festival Storytelling, Brand Equity, Brand Attitude, and Brand Loyalty)

  • 이제용;유광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647-659
    • /
    • 2018
  • '천년의 기다림 세계인의 어울림! 인류무형문화유산인 2017 강릉단오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역사가 깊은 축제이다. 하지만 역사적인 가치에도 불구하고 축제 브랜드자산 가치에 대한 학술적인 연구는 미흡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축제 스토리텔링의 선택속성을 통한 축제의 브랜드자산, 브랜드태도, 브랜드애호도간의 영향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실증분석 하였다. 논문소재의 공간적 범위는 강릉단오제행사에 방문한 657명의 관광객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수행되었다. 구조방정식 모형에 따른 가설검증결과 축제 스토리텔링의 선택속성이 브랜드자산에, 브랜드자산이 브랜드 태도와 애호도에, 브랜드태도가 브랜드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시사점을 제시하면 첫째, 그 지역의 맞는 풍습을 찾아 지역전문가와 주민과 함께 지역 콘텐츠문화를 개발해야 한다. 둘째, 스토리텔링의 선택속성을 살려 고유성의 전략이 우선시 될 수 있는 브랜드자산을 높여야 한다. 셋째, 축제인력으로서 전문가와 비전문가의 역할을 구분하여 지역주민들에게 공개적인 참여를 통해 단계적인 발전을 이루어 내야 한다.

문화유산 자원을 활용한 장소브랜딩: 중국 운남의 <인상리장>을 사례로 (Branding a Place through Cultural Heritage: The Case Study of in Yunnan, China)

  • 송정은;이병민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89-208
    • /
    • 2016
  • 본 연구는 리장의 대표적 문화자원인 <인상리장>이 장소브랜드와 글로컬 헤리티지로서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력을 논의할 것이다. 본 연구는 글로벌라이제이션에 따른 로컬 헤리티지의 변화와 영향력을 장소브랜딩의 주요 요소로 인식하고, <인상리장>콘텐츠가 장소브랜딩 전략을 위해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대해 살펴보려한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현지 관찰 조사를 바탕으로 리장시 웹사이트 및 <인상리장> 관련 언론보도를 포함한 기타 인터넷 자료와 유투브 동영상을 활용하였다. <인상리장>의 흥행은 경제적 효과 외에도 리장의 장소 아이덴티티의 매력을 높였다. 리장고성과 <인상리장>이 보존 및 활용되는 과정에서, 지역주민의 참여와 지역민과 글로벌 관광객 간의 끊임없는 문화적 교류는 리장의 장소브랜딩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문화유산을 장소브랜딩에 활용하면서, 리장의 지역적 가치는 나시족 문화를 계승하는 공간뿐만 아니라 세계인이 함께 보존하며 교류하는 장소로 그 가치를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쾌적한 정주환경 조성을 위한 농촌마을 리모델링 추진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Remodeling Plans of Rural Villages for a Pleasant Settlement Environment)

  • 김상범;손호기;신민지
    • 휴양 및 경관연구
    • /
    • 제6권2호
    • /
    • pp.27-3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2013년부터 시행되는 '농촌마을 리모델링 시범사업'의 체계적 수행을 위한 추진체계와 세부내용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농촌마을 리모델링 관련 연구는 현재까지 리모델링의 목적이나 기능에 따른 다양한 개념 연구와 농촌주택, 마을쉼터, 공공시설 등과 같은 개별시설에 대한 규모와 배치기준 등에 대한 분야에 한정되어 있어 종합적으로 농촌공간을 리모델링하는 계획 수립과 이를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기준을 제시하는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농촌마을 리모델링 추진체계로 첫째, 지역주민의 참여를 유도하는 사업의 준비단계, 즉 주민이 주체가 되어 자발적으로 마을정비 방향 설정, 시설물형태, 위치배치 등 사업내용에 대한 토론이나 포럼을 거쳐 마을계획서 작성을 하는 것, 둘째, 지자체에서 선정된 사업내용, 규모, 시기, 예산내역 및 예상성과 등을 검토하여 사업시행계획을 수립하는 것, 셋째, 관련전문가들에 의해 공간 및 시설계획과 법제도 검토를 통해 농촌마을 리모델링 계획을 수립하는 것 등을 제안하였다. 현재 농촌마을 리모델링은 개별적 사업을 추진하는 방식에서 마을공간에 대한 종합적 계획 방식으로 변하고 있어 이를 위한 주민, 지자체, 전문가의 역할을 정의하여 리모델링 사업이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추진 체계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리모델링사업에 관련한 내용에 국한되어 수행되었으나 향후에는 농촌마을 리모델링의 대상별 세부기준과 리모델링 결과에 대한 모니터링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지역갈등해소를 위한 사회자본 형성방안 -천안시를 중심으로- (Plan of the Social Capital Formation for the Resolving the Regional Conflict -focus on the case of Cheonan-)

  • 박종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167-175
    • /
    • 2013
  • 본 논문은 지역사회자본 형성을 통한 지역갈등해소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자본에 대한 이론적 배경, 사회자본의 기능과 구성요소, 지역갈등요인을 정리하였으며, 이러한 요소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분석변수를 제시하였다. 연구모형은 크게 사회자본과 지역갈등을 대칭으로 하고 인적요소를 독립변수로 놓은 형태로 구성하였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분석을 하였다. 실증분석은 빈도분석, 회귀분석 등으로 이루어졌다. 우선, 빈도분석 결과 지역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사회자본형성이 중요하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회귀분석 결과, 사회자본 구성요인과 지역갈등요소인 지역이기주의, 지역참여, 지역문제 정도가 각각 결정계수 5.1%, 5.5%, 1.6%로 나타났으며, F 값은 4.030, 4.351, 1.194로 나타났다. 이것은 사회자본형성이 높을수록 지역갈등 정도는 낮아지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즉, 사회자본형성이 지역갈등 해소에 상관성이 많음이 증명되었다. 사회자본형성을 위해서는 지역사회와 자지단체. 지역주민들이 함께 협력하고 노력해야 할 것이다. 특히 사회자본이 취약한 20대. 30대에 대한 사회자본 형성 전략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산촌생태관광 도입에 관한 산촌주민의 인식 및 요구에 대한 연구 (A Research on Recognition and Needs of Mountain Village Residents about the Introduction of Mountain Eco-Tourism)

  • 김종호;김예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3호
    • /
    • pp.353-36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산촌주민의 산촌생태관광에 관한 인식 및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내용은 산촌생태관광 도입의견, 주민 참여의향, 정책추진 유형, 산림청에 대한 요구사항, 기대효과 등에 관한 사항으로 구성하였다. 조사 대상 및 방법은 산림청에서 조성한 33개 산촌생태마을과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조성한 산촌진흥지역 내 농촌체험휴양마을 24개 마을의 마을주민 346명을 대상으로 2015년 6월 17일부터 9월 17일까지 개별면접 설문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로 산촌생태관광 도입 의견에 대한 설문에 86.7%가 찬성한다고 응답하였고, 산촌생태관광 도입 시 78.3%가 참여의향을 나타냈다. 또한 산촌생태관광 정책 수립 시 응답자의 42.2%가 산림청 연관부처 지자체가 협력하여 추진해야 한다고 응답했으며, 산촌생태관광 도입 시 지원해야할 요구사항은 환경 및 시설과 관련하여 휴양시설 설치가 60.4%, 프로그램 및 서비스 관련하여 산촌생태관광 프로그램 개발에 67.6%로 각각 높게 나타났다. 산촌생태관광 도입을 통한 기대효과에 86.1%가 산촌방문객 증가로 산촌활성화에 도움을 줄 것이라 응답하였다. 본 연구는 산촌생태관광 정책수립 시 주민들의 인식 및 요구를 수렴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 공동체 활성화와 가족친화를 위한 지원센터에 관한 연구: 서울과 인천소재 건강가정 · 다문화가족 지원센터의 물리적 공간환경 조사를 중심으로 (Creating a Family-Friendly Community Support Center for Local Community: Focus on the Healthy Family ·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n Seoul & Incheon)

  • 조정현;최재순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2권5호
    • /
    • pp.457-471
    • /
    • 2014
  • Family instability has a negative effect on not only an individual household but also the society. The government continues to operate family support centers as a countermeasure to family instability issues. A healthy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s considered an effective support system that extends from a family unit to the local community. In this study, the satisfaction and demand levels of each center, located in Seoul and Incheon, were examined with respect to items such as operation contents, physical space,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The results showed that various efforts for creating a family-friendly community were implemented in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t was found that the center organizers and operators focused more on software and programs than on the physical environment. There was mostly a shortage of physical and environmental space. This space shortage limited the planned and ongoing activities in terms of the residents' self-directed participation and space formation for a family-friendly educational culture.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set up the space-related criteria for each center in order to solve this environmental issue. We identified the baseline data of the criteria for a center's physical and spatial design and size. In particular, it was suggested that a more strategic physical and spatial design is needed to achieve an integral and effective operation for the connection of the family with the local society.

피터 줌터의 건축에 나타나는 물성의 감성적 표현 특성 분석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Materiality Expressed on Peter Zumthor's Projects)

  • 류호창;김석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57-165
    • /
    • 2017
  • 감성디자인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 및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었음에도 건축 재료의 물성을 통한 감성적 교감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상대적으로 많지 않았기에 피터 줌터의 작품을 중심으로 물성을 이용한 감성적 표현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선행 연구를 통해 물성의 감성적 해석과 함께 물성을 통한 감성적 표현 특성으로 구축성, 지역성과 장소성, 시간성, 공감각성, 지속가능성을 추출하였다. 그 내용을 기준으로 줌터의 작품 중에서 물성의 감성적 특성이 두드러진 작품을 중심으로 실행 사례를 분석한 결과, 줌터는 창의적인 구축방식을 통한 구축적 표현, 지역의 재료와 구축방식을 적극적으로 사용한 지역성과 장소성의 표현, 오래된 재료와의 대비나 재료의 풍화작용을 이용한 시간성 표현, 오감적 체험을 동원하는 공감각적 표현, 재활용이 가능한 재료 및 구조를 활용한 지속가능성 표현 등을 활용하여 물성의 감성적 호소력을 고양시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사용자 감성에 호소하여 공간의 감동을 고양시키는 디자인 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재난피해지역 내 지역사회기반 공동체 회복 프로그램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Local-Based Community Recovery Program in Disaster Affected Areas)

  • 이영욱;남동엽;정혜민;박상현;이지향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106-114
    • /
    • 2020
  • The two major trends that have emerged in recent years in relation to disaster recovery and recovery are 'regional infrastructure', 'regional leadership' and 'community recovery'. In the former case, it is to avoid disaster recovery and recovery by using external personnel and resources, and to maximize the resources in the area under the initiative of the residents of the affected area. And through this process, it is to prepare a new growth engine for disaster-affected areas. In addition, the latter expands disaster recovery targets to the general population living in affected areas and is not limited to victims. Through this, we can expect to recover the 'community' beyond the individual's recovery. In the Ansan of Gyeonggi-do, where many families of 'Sewolho' live, and in the Heunghae-eup of Pohang, Gyeongbuk-do, where the damage was severe, projects are underway to restore communities. And In these areas local activists and civic groups are actively utilized to efforts are being made to increase efficiency. Nevertheless, in the case of the community recovery program being promoted in Korea, there are limitations that it can be promoted only on the basis of special laws and that participation of various actors is necessary.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the limitations of current projects and ways to solve them by analyzing domestic and foreign cases related to the community recovery program for disaster-affected communities using local resources. we suggest two way. One is the relaxation of the national dependence of the community recovery program, and the other is to expand the area of disaster relief throug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