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lan of the Social Capital Formation for the Resolving the Regional Conflict -focus on the case of Cheonan-

지역갈등해소를 위한 사회자본 형성방안 -천안시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3.09.09
  • Accepted : 2013.10.14
  • Published : 2013.11.28

Abstract

This paper studied the resolving the regional conflict method through the community capital formation. For this purpose, the theoretical background about the social capital, function of the social capital and component, and regional conflict factor were organized. In addition, it analyze empitically through the survey. First, in order to resolve the frequency analysis result regional conflict, the social capital formation was exposed to be important. Next,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 the factor of social capital and the local egoism, the local participation, and the problem of local areas, each, it was expressed as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5.1%, 5.5%, 1.6%, and F value showed up as 4.030, 4.3,51, 1.194. This demonstrates that it is decreased the regional conflict as the social capital formation is high. That is, the social capital formation was proved at the resolving the regional conflict that there was lots of the correlation. The community and penis organizationThe local residents should cooperate together and it should try. Particularly, the 20 generations and 30 generations in which the social capital is weak, the social capital formation strategy about the 20 generations and 30 generations should be studied.

본 논문은 지역사회자본 형성을 통한 지역갈등해소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자본에 대한 이론적 배경, 사회자본의 기능과 구성요소, 지역갈등요인을 정리하였으며, 이러한 요소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분석변수를 제시하였다. 연구모형은 크게 사회자본과 지역갈등을 대칭으로 하고 인적요소를 독립변수로 놓은 형태로 구성하였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분석을 하였다. 실증분석은 빈도분석, 회귀분석 등으로 이루어졌다. 우선, 빈도분석 결과 지역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사회자본형성이 중요하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회귀분석 결과, 사회자본 구성요인과 지역갈등요소인 지역이기주의, 지역참여, 지역문제 정도가 각각 결정계수 5.1%, 5.5%, 1.6%로 나타났으며, F 값은 4.030, 4.351, 1.194로 나타났다. 이것은 사회자본형성이 높을수록 지역갈등 정도는 낮아지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즉, 사회자본형성이 지역갈등 해소에 상관성이 많음이 증명되었다. 사회자본형성을 위해서는 지역사회와 자지단체. 지역주민들이 함께 협력하고 노력해야 할 것이다. 특히 사회자본이 취약한 20대. 30대에 대한 사회자본 형성 전략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종관, 이창기, "도시지역 사회자본의 실태와 증진에 관한 연구: 대전.천안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16권, 제2호, 2005.
  2. R. Putnam, "The Properos Community :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The American Prospect Vol.13, pp.35-42, 1993.
  3. 박희봉, 김명환, "우리나라 지역사회의 사회자본 증진에 관한 연구, 사회자본 측정과 분석을 위한 시도", 한국정치학회보, Vol.34, No.4, pp.219-237, 2000.
  4. R. S. Burt, Structural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2.
  5. J. S. Coleman, "SocialCapital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 lo fSociology, Vol.94, pp.95-120, 1988. https://doi.org/10.1086/228943
  6. D. Krackhardt, "The strength of strong ties," In N. Nohria & R. G. Eccles eds., Networks and Organizations:Structure, form and action, pp.216-239, Boston :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992.
  7. R. S. Burt, Structural Holes :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Cambridge : Harvard University Press, 1992.
  8. F. Fukuyama, Trust: The social values and the creation of prosperity.. New York: Free Press, 1995.
  9. P. Bourdieu, Forms of Capital. in J. Richardson eds. Handbook of Theory of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Westport, CT: Greenwood Press, 1986.
  10. N. Lin, Social Capital: A Theory of Social Structure and Action.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11. R. Putnam, "The Properos Community :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The American Prospect, Vol.13, pp.35-42, 1993.
  12. M. A. McFadyen and A. A. Cannella,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Creation: Diminishing Returns of the Number and Strength of Exchange Relationship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7, No.5, pp.735-746, 2004. https://doi.org/10.2307/20159615
  13. R. J. Boland and R. V. Tenkasi, "Perspective making and perspective taking in communities of knowing," Organization Science, Vol.6, pp.350-372, 1995. https://doi.org/10.1287/orsc.6.4.350
  14. 강용기, "정부간 관계(IGR)의 거버넌스 (Governance)-전라북도의 지방자치단체간 상호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16권, 제2호, 2004.
  15. 박호숙,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간 갈등관리 전략으로서 협상론적 접근",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12권, 제2호, pp.359-378, 2001.
  16. 경기도연구단, "지역이기주의 극복을 위한 광역 행정 협력방안 : 대상시설별 유형화를 중심으로", 내무부 지방행정연수원, 연구논문집, 1991.
  17. 심익섭, "주민자치센터의 운영활성화 방안",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14권, 제2호, 2002.
  18. 강영혜, 민주 시민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2011.
  19. 최용환, 주효진, 충청북도 자원봉사활성화 방안", 2010.12, 1-100 충청북도 자원봉사활성화, 2010.
  20. 서철현, 고호석, "지역축제 개최지 주민의 공동체의식과 지역애호도의 영향관계- 2009 성주 참외축제를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제23권, 제1 호, pp.447-466, 2009.
  21. 임정호, 사회자본과 지방자치의 관계에 관한 연구, 대전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0, 2001.
  22. 장수찬, "한국사회에서 시민사회 공동체의 전개 : 전민동 주민의 사회생활 및 정치생활의 구성과 특성을 중심으로", 세계지역논총, 제23집, 제2호, pp.303-333, 2005.
  23. 박희봉, 김명환, "우리나라 지역사회의 사회자본 증진에 관한 연구.사회자본 측정과 분석을 위한 시도", 한국정치학회보, 제34권, 제4호, pp.219-237,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