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Materiality Expressed on Peter Zumthor's Projects

피터 줌터의 건축에 나타나는 물성의 감성적 표현 특성 분석

  • 류호창 (건국대학교 실내디자인학과) ;
  • 김석영 (건국대학교 실내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6.11.09
  • Accepted : 2016.12.13
  • Published : 2017.01.28

Abstract

Even though the importance of emotional aspects in design has been discussed and researched actively, researches mainly focusing on the emotional aspects expressed through architectural materials have been rare. Thus, Previous researches were investigated to draw typical categories to express emotional characteristics through architectural materiality. Case study shows Zumthor's practical methodologies in these state: tectonic expression with creative tectonic methods and local residents' voluntary-participation in construction; enhancement of intimate emotional ties with the local heritage through the usage of local materials and traditional construction techniques; coexistence of past and present materials, and showing the change of materiality via weathering; activation of synesthesia by touching multiple senses; sustainability by using environment friendly materials and construction methods. The results can be hopefully helpful to future researches related to emotional aspects on spatial design.

감성디자인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 및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었음에도 건축 재료의 물성을 통한 감성적 교감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상대적으로 많지 않았기에 피터 줌터의 작품을 중심으로 물성을 이용한 감성적 표현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선행 연구를 통해 물성의 감성적 해석과 함께 물성을 통한 감성적 표현 특성으로 구축성, 지역성과 장소성, 시간성, 공감각성, 지속가능성을 추출하였다. 그 내용을 기준으로 줌터의 작품 중에서 물성의 감성적 특성이 두드러진 작품을 중심으로 실행 사례를 분석한 결과, 줌터는 창의적인 구축방식을 통한 구축적 표현, 지역의 재료와 구축방식을 적극적으로 사용한 지역성과 장소성의 표현, 오래된 재료와의 대비나 재료의 풍화작용을 이용한 시간성 표현, 오감적 체험을 동원하는 공감각적 표현, 재활용이 가능한 재료 및 구조를 활용한 지속가능성 표현 등을 활용하여 물성의 감성적 호소력을 고양시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사용자 감성에 호소하여 공간의 감동을 고양시키는 디자인 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구만재, 이정욱, "장소성과 물성에 의한 공감각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2권, 제5호, pp.12-13, 2013.
  2. S. Abercrombie, 건축예술론, 세진사, p.157, 1996.
  3. Peter Zumthor, Thinking Architecture, Basel: Birkhauser, p.11, 1988.
  4. 우지연, "피터 줌터의 썸 발즈에 나타난 감성 디자인 접근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9권, 제3호, p.78, 2010.
  5. http://www.archdaily.com/364856/happy-70thbirthday-peter-zumthor
  6. 이상준, 김주연, 이종세, "피터 줌터의 공간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연구논문집, Vol.10, No.1, p.343, 2009.
  7. 김세영, "현대건축에서 나타난 지역성의 지속 가능한 가치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2권, 제5호, pp.126-127, 2013. https://doi.org/10.14774/JKIID.2013.22.5.126
  8. 김정호, 박희영, 조승구, "Peter Zumthor의 건축에 나타난 장소의 구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0, No.1, pp.15-16, 2010.
  9. 구만재, 이정욱, "장소성과 물성에 의한 공감각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2권, 제5호, pp.14-15, 2013.
  10. 페테 춤토르, 건축을 생각하다, 나무생각, p.30, 2013.
  11. 유종호, 이정욱, "현대건축공간에 나타나는 비물성 표현방식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3권, 제1호, p.9, 2014.
  12. Juhani Pallasmaa, 건축과 감각, spacetime, pp.61-62, 2013.
  13. Peter Zumthor, Thinking Architecture, Basel: Birkhauser, p.10, 1988.
  14. 김세영, "현대건축에서 나타난 지역성의 지속 가능한 가치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2권, 제5호, p.130, 2013.
  15. 임영환, "지역주의 건축의 현대적 해석과 지속가능성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9권, 제1호, p.130,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