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bby area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19초

호텔로비의 이용실태에 관한 조사연구-제주지역 관광호텔을 중심으로 (A Study on Using Realities for Hotel Lobby -Focused on Resort Hotel in Cheju)

  • 최재권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3호
    • /
    • pp.71-77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tilization of the interior environment in hotel lobby and to grasp the requests of visitor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o illustrate the present characters of hotel lobby and to offer the basic data for future hotel projects. The materials for this study has been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garnered from six deluxe hotels in Cheju, and statistically analyzed by the semantic differential scale of L. E. Osgoo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s follows . 1) Hotel lobby is used as waiting space for a short time and frequent use is four times a day. The lobby is used by the quest for meeting , waiting as a resting place while it serves as the visitor's meeting and resting place. 2) The user prefers the lobby's open space. It is desirable for the area of activity of a quests and visitors to have separate entrances. The space composition of the lobby is centrally located between the room and subsidiary equipment. The hotel lobby has needed of a method which promotes lobby image through a magnificent view of the outside.

  • PDF

멀티 테라피를 적용한 치유 환경적 종합병원 로비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 of the Main Entrance and the Concourse in General Hospitals for Healthcare Environments as Multi-therapy)

  • 노은정;오은진;김정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15-118
    • /
    • 2005
  • Korea has experienced many changes since modern hospitals started to be built. Among these changes, interest in 'Promotion of Curing environment', which is the most fundamental one of the hospital functions, has increased more and more. The lobby makes the first impression of a medical building and that is an important function. Recently, the lobby became highly valued not only as a waiting area or a pathway only but as a cultural area. The lobby is considered simply as a complex and busy area because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building' communications and access systems and has various uses and functions. Based on the concept of curing environment, the lobby can be planned as a facility combining culture and medical functions by applying multi therapy.

  • PDF

산부인과 전문병원 로비의 공간평가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ce Evaluation Structure of Lobby Area in Obstetric Hospitals)

  • 한혜신;박찬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84-191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designing goals and directions in the lobby area of obstetric hospitals by constructing a space evaluation structure model, which is made by image evaluation structure model used by SD method and Advanced Repertory Grid Technique. As a result of the image evaluation used by SD method, it turned out 4 factors which are related to recognizing and evaluating the space formativeness, openness, decorativeness, sensitiveness. I fou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evaluation structure and the element of interior space. I also suggested detailed designing method based on this relationship. Space evaluation structure model can be applied to designing lobby areas of obstetric hospitals to reconstruct more specific and objective designing goals and standards rather simply designer's sensitive and abstract designing approach.

급기가압 댐퍼의 설정 기준압에 따른 부속실 차압 특성 연구 (Pressure Differentials in the Elevator Lobby Depending on the Reference Pressures of the Pressurizing Dampers)

  • 박용환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2-17
    • /
    • 2007
  • 본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 고층아파트에서 많은 문제가 되고 있는 승강장 부속실의 급기가압 시스템에 있어서 댐퍼 적정차압의 기준 압력에 대한 문제를 FDS 화재모델링을 이용하여 현상학적으로 살펴보았다. 화재 초기 누설틈새만 있는 밀폐된 화재실의 온도와 압력은 연소에너지와 고온 연소가스의 발생으로 온도와 압력이 크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동차압조절 급기댐퍼의 기준압을 옥내 대기압으로 설정 시에는 화재 시 실제 차압의 감소와 방연풍속 부족으로 상황에 따라 피난안전 공간인 부속실로의 연기 유입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서울시 중형 OFFICE 건물의 실내재료의 사용경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ing Trends of Interior Materials in Current Medium Size Office Building in Seoul)

  • 김은중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호
    • /
    • pp.19-25
    • /
    • 2000
  • This study aims by analysing the interior design elements trends of current medium size office buildings in Seoul. The analysing objects are ceiling, floor, wall, and illumination plan of current office buildings. Analysing tools are finishing material and color of each part. Analysing areas are lobby area, deskwork area, conference area, welfare area, public area(rest room, corridor, stair). The interior design elements of lobby shows a lots of different features then the other areas in ceiling, floor, and wall design. Such difference appears at finishing material especially, and the coloring is more splendorous then the other areas. Desk work area and conference area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in finishing materiors and colors, and they usually follow the needs of function. Walfare area shows more splendorous feature then deskwork and conference area, and designed by various materials and colors. Public area also shows very active design concept then past times.

  • PDF

실내 벽면녹화의 공간 계획 경향에 관한 연구 - 로비공간의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Vertical Garden Design for Indoor Space - Focused on Green Wall in Lobby Space -)

  • 양새이;조성익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33-4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esign trend of the vertical garden design in the indoor space through the examples of green wall in the lobby space. For the analysis, this study looks into the 'Guide for the Building Greening System' to understand the technical consideration for the green wall. After that, the key design elements was drawn from existing green wall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urvey and field-survey. The study picked six green walls which was completed after 2000 in the lobby space in Seoul.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design factors mainly depend on the plant selection, which leads to the outlook and texture of the vertical walls. The texture is expressed by the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planting methods which is related to the selection of plant species. Second, the vertical walls in the lobby area should be planned for the function of space which could be transition, human traffic, mood and attraction. Third, the vertical wall should be integrated with the surroundings in order to reinforces the dynamic or static space experience.

건물화재에서의 가압방연 설계에 관한 연구 (On the Pressurization for Smoke Control in Building Fires)

  • 김명배
    • 연구논문집
    • /
    • 통권29호
    • /
    • pp.39-48
    • /
    • 1999
  • 건물화재시의 피난자의 인명안전 확보를 위한 가압방연 설계프로그램에 필요한 건물요소의 모델링 방법, 계산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건물의 각 층에 급기용 송풍기를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층에 따른 압력차 분포는 필연적이다. 전층가압방연 방식에서 급기덕트나 각종 유로면적이 동일하다면 송풍기에서 가까운 구획은 압력이 커지며 먼 구획은 압력이 감소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건물 전체가 규정범위내의 압력차로 유지되어야하기 때문에 송풍기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구획의 압력차를 기준으로 설계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 과도한 송풍기의 용량으로 인한 문제에 더하여 송풍기로부터 가까운 구획에는 과압이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얻어진 프로그램과 같은 설계구도를 활용하면 각 층의 공기 공급 덕트의 단면적을 달리한 경우를 계산할 수 있다. 예제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각 층 공기공급 덕트의 단면적을 달리하므로 써 송풍기의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된다.

  • PDF

백화점 로비공간의 환경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Department Store Lobbies)

  • 임명주;장찬범;곽희준
    • 디자인학연구
    • /
    • 제13권1호
    • /
    • pp.199-207
    • /
    • 2000
  • 백화점의 디자인은 다른 공간의 디자인과는 달리 그 속에 상품을 담고 있는 공간으로 어떻게 상품을 효과적으로 보여주어 고객들에게 강한 욕구를 불러일으킴으로써, 상품을 기억시키는 충동이 아니라 상품을 구입하게 만드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고객을 위한 디자인, 상품을 위한 디자인이 우선 갖추어져야 하며, 점포의 아이덴터티와 이미지가 가장 중요한 개념으로 떠오르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점포의 아이덴터티와 이미지를 가장 먼저 고객에게 전달하는 공간인 로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개선안을 계획, 제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변화하는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고 자연스럽게 고객을 유도할 수 있는 쾌적하고 편리한 로비공간을 계획하여 지층부분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고객흐름에 영향을 끼치는 내,외부 환경 요인들에 관한 가설을 세우고, 실제조사를 통해 그러한 가설을 검증하여 그 결과가 계획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였다. 분석결과 지층부분의 내, 외적 환경요인이 어떻게 고객의 흐름에 영향을 끼치는 가를 알 수 있으며, 실질적인 조사를 통하여 분석된 자료결과를 적용하여 중간영역으로서의 기능을 갖춘 로비공간 개선안을 제시할 수 있다.

  • PDF

전문병원 로비공간의 구성요소 및 디자인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여성전문병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mposition and Design Characteristic in the Lobby of the Special Hospital - Focused on the Woman Special Hospital -)

  • 이은정;이상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193-201
    • /
    • 2006
  • In according as the social action of women is active, the average life span is longer than male, not only woman's social position is higher, but also the construction of the more professional woman special hospital Is increased. In occasion to the recent woman special hospital, give medical treatment about pediatrics and the breast surgery as well, and the sphere is increasing as compose the variety network, from the health medical center to check the woman's physical to the postpartum care center. The trend of the lobby is arranged the more service area as the concept of the woman hospital is changed, the sphere is increasing. Accordingly, this study research and analyze the service zone and design elements on the focus the lobby of the internal woman special hospital, have an intention of guideline about the interior design of the after woman hospital. As the subject of study, selected the hospital that lobby serves to show the identity of total space, and the woman special hospital that is introduced to the relation journal with architecture or interior design, is opened after 2000 years, below the 100 bed. As the study method, understand the composition of lobby space through floor analysis, examination by the visit, analyzed the arrangement constituent, the design trend. The direction of lobby space mentioned in the study result is that secure the publicness, guarantee the privacy zone, and is important that the adequate arrangement of commercial space contribute to client's mental stability, desire that inflected as the more positive communication place.

종합병원 로비공간의 치유환경에 관한 연구 -로비 평면형태의 비교를 중심으로- (Healing Environment at the General Hospital Lobby Space -By comparison of the lobby plan type-)

  • 이유정;오준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89-97
    • /
    • 2018
  • 과거 병원은 치료만 목적으로 하여 최소한의 공용공간을 확보하여 계획되었지만, 현대 병원은 치유환경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공용공간이 늘어나고, 환자와 보호자와 의료진을 고려하여 계획된다. 또한 로비형태가 홀형에서 발전하여 스트리트형이나 컨코스형으로 계획되면서 공용면적이 증가했다. 과거병원과 다르게 접수, 대기, 수속공간에서 발전하여 현대병원은 상업,취미,문화공간으로 사용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의 치유환경 요소를 선행연구에서 도출하여 치유환경 평가방법을 분석의 틀로 세워, 병원 로비공간의 치유환경을 로비 평면형태를 중심으로 분석, 평가한다. 병원 로비는 여러 행위가 이루어지는 중요한 공간으로, 병원 로비 평면타입별 각 3개의 사례를 비교분석한다. 연구의 결과로 스트리트형이 홀형보다 로비치유환경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접근성, 옥상정원, 휴게공간의 분석결과는 비슷하다. 이는 사례대상이 대형종합병원이기에 충분한 공간이 계획되어 로비형태와 크게 관련 없는 요소로 사료된다. 스트리트형 중에서도 아트리움이 선형인 사례가 4면형 아트리움보다 오픈체적비가 크기에 로비의 공간감과 자연채광 유입효과가 크다. 또 로비평면이 홀형일 때, 단면이 중정형이면 오픈체적비가 큰 것을 보아 로비의 평면 형태도 중요하지만, 단면형태도 중요한 것으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