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ving Room

검색결과 864건 처리시간 0.024초

대학기숙사의 공간특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Research on the Effects of Academic Achievements on the Spatial Features of a University Dormitory)

  • 백민석;금상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4901-4907
    • /
    • 2014
  • 본 연구는 대학기숙사의 전반적인 시설수준이 거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기숙사 특성화를 통한 지방대학의 기숙사운영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나아가 인구구조 변화와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지방대학의 발전방향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충청북도에 소재한 S대학의 기숙사 사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먼저 대학기숙사의 전반적인 시설수준이 양호할수록 거주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대학기숙사의 개별실 공간특성에 따라 거주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공동으로 생활하는 학생의 수가 많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낮아지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향후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기숙사 재원인원이 감소하게 되는 경우에는 다인실을 1인실 또는 2인실로 개조할 수 있는 가변형평면의 개발과 적용이 중요하다는 점으로 인식되어 진다.

실물화재실험을 통한 공동주택의 화재안전성 연구 (The Real Scale Fire Test for Fire Safety in Apartment Housing)

  • 유용호;권오상;김흥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57-6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화재 시 많은 인명피해가 예상되는 공동 주택을 대상으로 단위공간별 화재 성상을 예측하기 위한 실물화재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모델 주택을 구성하고 있는 내부 가연물을 선정한 후 각 단위 품목에 대한 화재특성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주방, 거실, 침실, 공부방 등 4종류의 단위 공간으로 구분하여 각각 실물화재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침실의 경우 점화 후 약 5분이 경과되었을 때 플래쉬오버 상태에 이르게 되어 매우 급격한 성장을 보였으며, 최대 열방출율 약 7,433.3kW, 최대 CO 578.6ppm, 최대 $CO_2$ 1.25%, 내부 최대온도 $1,350^{\circ}C$로 측정되었다. 특히, 화재 발생 초기에 가연 공간에서 화재의 진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약 3분 내에 인체에 급격한 피해를 줄 수 있는 한계온도 이상으로 화재가 성장하기 때문에 신속한 초기 대응이 필요함을 확인하였으며, 장롱, 침구류 등 비교적 화재가 급속히 전이 될 수 있는 가연물량이 다수 배치되어 있는 침실에서 용도별 가연 공간 중 가장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단위 가연물에서 발생되는 유독가스가 임계수준 이상으로 발생되어 이로 인해 인체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실물화재실험에서 얻어낸 결과는 향후 화재확대 예측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각 용도별 공간에서의 화재 확산 예측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뇌졸중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증진을 위한 침상운동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s of Ward Exercise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Activity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ho have Stroke)

  • 석소현;강현숙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87-101
    • /
    • 1995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subject of showing the importance of early rehabilitation and exercise therapy in patients who have stroke, of confirming the adavntage of ward exercise conducted by nurse, which had been conducted mainly by physical therapist only in physical thrapy room and of developing the exercise program as the independent rehabilitation nursing intervention. A total of 62 patients were selected as object from April, 5th, to May, 17th, 1995, who had been hospitalized in K medical center, and the half of them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in ramdom assignment using a coin. It was ADL check list tool developed by Kang and Ward Exercise Program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hat were used as a treatment. Ward Exercise Program was conducted by the reseacher and the physical therapist measured ADL score before and after Ward Exercise Program.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NOVA, pearson correlation, Chi-Square test and the effect of Ward Exercise Program was analyzed by t-tas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eminent improvement of ADL compared with the counter group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eating(t=6.10, df=60, p=.000), personal hygiene performing(t=4.86, df=60, p=.000), wearing(t=5.86, df=60, p=.000), elimination(t=7.89, df=60, p=.000), mobility on the bed(t=13.36, df=60, p=.000), moving(t=9.11, df=60, p=.000), walking(t=7.45, df=60, p=.000) 2. There was no qualitative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ith the significance of $p{\le}.05$. 3. There was no relation between the general condition and the difference of ADL, while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the starting point of exercise and the difference of pre-exercise and post exercise ADL. As a result,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the early rehabilitation and exercise therapy are important in patients who have stroke, and that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exercise therapy to the ward. Therefore, this Ward Exercise Program could be recommended as a independent clinical exercise nursing intervention in rehabilitation nursing of patients who have stroke.

  • PDF

건물(建物) 환경(環境)의 진균(眞菌) 분포(分布) 조사(調査) (A Mycological Survey in Indoor Environments)

  • 권숙표;정용;시천영일
    • 한국균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83-188
    • /
    • 1984
  • 서울에서 1983년 12월 26일부터 1984년 2월 11일 까지 각종 건물실내환경에서 채취한 진균을 배양분리한 결과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총 26종류의 진균이 검출되었다. 병원에서는 14종류의 진균이 검출되었는데, 이중에서 Cladosporium sp.와 Penicillium sp.가 주종을 이루며 Alternaria sp., Chaetomium sp. 그리고 효모등이 비교적 많이 검출되었다. 일반주택에서는 22종류의 진균이 검출되었으며, 여기서는 Penicillium sp.가 상당분을 차지하고, Alternaria sp., Aspergillus sp., Cladosporium sp., Rhizopus sp., Trichoderma sp.가 주종을 이룬다. 아파트에서의 진균종류도 대체로 주택과 같았다. 이 조사에서는 특별히 진균의 정량적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확실한 위해도의 여부는 가리기 힘들다. 따라서 이들 진균을 종까지 분류하고 각각에 대한 정량분석을 하여 공중위생적인 위해도와의 관계를 추정하는 조사가 앞으로 요망된다. 이상에서 진균성 식중독을 유발하는 균의 분포가 보편적으로 인정되므로, 분포가 넓은 여러 종의 진균에 대해서는 실내 환경내에서 오염 또는 증식되지 않도록 하는 대책이 필요하다. 또한 많은 사람이 모이는 공중 장소에 대해서는 검출되는 진균의 종류에 대하여서는 적절한 위생적인 규제가 있어야 하겠다.

  • PDF

공동주택 평면특성의 가격영향에 관한 연구 - 강남3구의 2005년 이후 분양주택을 중심으로 - (Effect of Floor Plan Characteristics on Housing Price - Focused on the Apartment in 3 Gangnam Districts since 2005 -)

  • 배상영;이재원;이상엽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102-110
    • /
    • 2018
  • 본 연구는 아파트의 평면특성이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서울의 주요 아파트 시장인 강남3구의 최근 십년 간 입주한 국민주택규모 이하의 아파트 평면특성과 주택가격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부엌창고와 드레스 룸과 같은 수납공간은 가격에 정(+)의 효과가 있으며, 개방성이 높은 3면 개방형 평면과 부엌과 거실이 부분 차단되어 있으나, LDK통합형으로 설계된 평면이 높은 가격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엌공간의 경우 1자형 부엌이 더 높은 가격을 보이며, 거실은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가격에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그 동안 경향분석이나 기초분석 및 만족도 분석 위주의 평면연구가 진행 되어온 것과 달리 평면특성이 직접적으로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는데 학술적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향후 평면 설계 및 분양가 책정에 시사점을 제공하고 주택구매자들의 의사결정에 활용되고자 하는 연구목적을 가진다.

아파트 실내 환경에서 실시간 측정시스템을 활용한 HONO 농도 측정 및 생성기작 연구 (Determination of HONO Concentration and Investigation on Its Formation Mechanism Using a Continuous Measurement System in Indoor Environment of an Apartment)

  • 박승식;홍진의;이재훈;김영준;조성용;김승재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6-29
    • /
    • 2008
  • Nitrous acid (HONO) can be produced by heterogenous reactions of nitrogen dioxide on surface materials and direct emission from combustion sources. However, a little is known of indoor HONO levels or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ial HONO, NO, and $NO_2$ concentrations in occupied houses. Therefore, we measured simultaneously NO, $NO_2$, and HONO concentrations in living room of an apartment using continuous analyzers to study the production of HONO (June $22{\sim}30$, 2006). The 4-min average concentrations of indoor NO, $NO_2$, and HONO were 4.3 (range: $0.4{\sim}214.3$), 10.3 ($2.0{\sim}87.3$), and 1.8 ppb ($0.3{\sim}7.7$), respectively. Peak levels of HONO up to 7.7 ppb and 24-hr averages as high as 1.7 ppb were measured. In agreement with previous studies, indoor HONO concentrations increased during operation of an unvented gas range. Examination of the observed kinetics suggests that the secondary production of indoor HONO, possibly as a result of heterogeneous reactions involving $NO_2$ and $H_2O$ is associated with $[NO_2]^2[H_2O]\;(r^2=0.88)$ rather than with $[NO][NO_2][H_2O]\;(r^2=0.75)$. Three combustion experiments at nighttime were also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ented combustion on the HONO, NO, and $NO_2$ concentrations. It was found to release HONO for $10{\sim}15$ minutes after NO and $NO_2$ source was turned off, and peak values were finally attained. Compared to unvented combustion, peak $NO_2$ and HONO concentrations were 3.2 and 2.0 times lower at weak vented combustion (air flow: $340\;m^3/hr$) and 4.9 and 2.4 times lower at strong vented combustion (air flow: $540\;m^3/hr$), respectively, emphasizing importance of operating ventilation hood fan during combustion to improve indoor air quality.

아트리움 공간의 효과적인 방화설비 기준연구 (A study on the standard of effective fire facilities for the Atrium)

  • 최돈묵;김재운;민세홍
    • 한국화재조사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9-66
    • /
    • 2005
  • 이 연구는 아트리움의 방화안전성 고찰 및 적정한 방화 장치의 기준제시를 초점으로 하고 있다. 주요 내용으로는 아트리움 공간의 일반적 고찰, 아트리움 건물의 실례와 방재상의 문제점을 알아보았고, 현재 우리나라 아트리움 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방화설비 등을 조사하여 외국의 여러 기준과 비교함으로써 드러난 문제점 및 취약요인을 바탕으로 아트리움 설계 시 특히 유의하여야 할 사항에 대하여 탐구하였다. 여기서 주장한 아트리움 공간의 효과적인 소화설비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제연 설비는 비상동력이 부설된 기계제연에 의한 강제배연이 알맞다. 2 아트리움 공간과 연결된 다른 부분에서 공기의 유입이 되지 않도록 연결된 부분(1층 제외)을 화재 시 지동으로 구획되는 가동벽 셔터 방화문을 설치한다. 3. 분리형 적외선 감지기를 아트리움 바닥으로부터 7~8m 높이에 설치하여 조기에 화재를 감지하도록 한다. 4. 천장이 20m이하인 아트리움의 경우 아트리움 천장에 개방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고 일제개방밸브를 작동시켜 해당구역에 소화수를 집중 방출하게 하며, 천장이 20m이상인 아트리움의 경우 측벽형 헤드를 저층부의 벽체에 설치하여 수평분출로 소화한다. 5. 피난 계단으로의 이동은 아트리움 공간을 지나지 않고 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한다. 6. 일부부재의 내력저하가 생겨도 전체의 붕괴에는 이르지 않게, 아트리움의 철골의 트러스재는 내화재로 보호한다.

  • PDF

종교개혁과 근대철학의 형성 (The Protestant Reformation and the Formation of Modern Philosophy)

  • 이태하
    • 철학연구
    • /
    • 제126권
    • /
    • pp.321-343
    • /
    • 2013
  • 종교개혁은 근대철학과는 무관한 듯 보이지만 실상은 근대철학과 밀접한 연관을 갖고 있다. 철학적으로 볼 때, 종교개혁은 두 가지 면에서 근대철학의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종교개혁의 기본원리인 신적 이성에 대한 신적 의지의 우위를 강조하는 주의주의는 교회의 전승을 무시한 채 '오직 믿음으로'를 강조함으로써 성서와 교리에 대한 자의적 해석을 허용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극심한 종교적 분쟁이 야기되었고 근대지성인들은 이를 종식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이른바 보편종교라 할 수 있는 이신론과 자연종교를 추구하게 되었다. 또한 주의주의는 자연에 대한 탐구에 있어 종래의 사변적 탐구를 탈피해 관찰과 실험에 근거한 실험적 탐구에 나서게 함으로써 인간 본성에 대한 실험적 탐구인 실험철학(경험론)의 단초를 제공하였다. 요컨대 종교개혁은 한편에서는 보편종교의 추구를 그리고 다른 한편에서는 실험철학의 출현을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보편종교란 행동과 실천의 근거가 되는 신비적 종교가 아니라 단순히 과학적 탐구를 위한 근거가 되는 세계관에 불과한 것이기에 보편종교를 추구한 철학은 '과학을 위한 철학'이었다. 또한 실험철학은 실험과 관찰을 통해 인간본능을 탐구한 이른바 인간학이란 점에서 '과학에 의한 철학'이었다. 결국 종교개혁은 과거 철학의 안방을 차지하고 있던 종교를 쫓아내고 그 자리에 과학을 앉힌 것이다.

농촌표준주택의 패턴언어 적용 관계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Pattern Language in 'Standard Rural-Houses Design')

  • 황용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208-216
    • /
    • 2019
  • 연구의 배경은 농촌주택이 도시주택의 공간구성을 모방하면서 원래의 모습을 잃어버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농촌주택표준설계도에 크리스토퍼 안렉산더의 패턴언어를 적용하여 농촌주택에 필요한 디자인 구성 요소를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범위와 방법은 한국 농어촌공사에서 2009년에서 2014년까지 제작 배포하고 있는 표준설계도에 패턴언어에서 제시하고 있는 디자인 패턴을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1) 표준설계도에서 주택배치는 다양한 농촌의 부지 조건을 무시하고 있었고. 2) 대부분 주택마당은 농촌생활의 다양한 행위를 담을 있는 공간임을 고려하여 적극적으로 계획하지 않았다. 3) 표준설계도는 어린이를 위한 공간이 없었고 부엌은 L.D.K 형식으로 내부공간을 통합하여 융통성 있는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4) 귀촌 귀농민을 위한 임대 가능한 별채와 사무공간으로 겸용할 수 있는 공간계획은 없었다. 5) 2014년에는 부부만을 위한 표준설계도 계획으로 면적이 좁은 평면계획이 많이 이루어졌다. 이와 같이 표준주택설계도에서 농촌의 환경과 생활 패턴이 무시된 부분도 있었지만, 패턴언어에서 제시하고 있는 다양한 패턴언어를 농촌주택의 표준 디자인 구성요소로 개발하여 귀촌 귀농민을 유입하고 농민들의 생활패턴에 가장 적합한 주택으로 개발할 수 있는 방안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화 <버닝>과 윤리적 주체 (Burning and The Ethical Subject)

  • 곽한주
    • 대중서사연구
    • /
    • 제26권4호
    • /
    • pp.117-144
    • /
    • 2020
  • 영화 <버닝>(이창동, 2018)은 정교한 서사를 섬세한 영상으로 담아낸 작품으로서 근래 가장 주목받은 한국영화 중 한 편이다. 이 영화는 서로 다른 유형의 인물들이 등장하고 단편적으로 제시되는 객관적 사실과 주관적 욕망이 뒤얽히는 다성성의 텍스트여서 다양한 해석의 여지가 있는 텍스트이다. 이 글은 이 영화가 현대 한국 청년의 현실이라는 특정한 사회역사적 조건을 넘어서는 보편적이면서도 중대한 윤리의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점에 주목해 <버닝>을 주인공 종수를 중심으로 하는 윤리적 담론으로 읽으려 한다. 종수가 처하는 상황과 이에 대한 그의 반응을 무엇보다도 종수의 윤리적 각성과 도약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종수는 현재를 사는 대한민국 비정규직 젊은 남성이라고 요약될 수 있는 자신의 사회적 위치에서 해미와 벤을 만나고 관계 맺으며 세상의 미스터리를 접하고 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영화가 촘촘히 보여주는 그의 궤적은 문예창작학과 출신 흙수저 청년의 혼란과 좌절이라는 사회역사적인 차원과 가족해체의 현실과 연인의 갑작스런 실종이라는 개인 심리적 차원이 필연적으로 교차한다. <버닝>은 종수가 비우호적인 조건, 즉 프레카리아트 청년의 처지, 현실 인식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세상을 직면하고 미스터리를 탐구하면서 '함께 삶'을 지향하는 윤리적 주체로 우뚝 서는 과정을 그린 감동적인 스토리로 읽힌다. 이 과정은 종수의 고통스런 성장담으로서 무기력했던 비정규직 배달노동자였던 종수가 '작가'가 되는 과정이기도 하다. <버닝>은 자신에게 비우호적인 현실 속에서 혼란스러워 하고 무기력했던 청년이 타자들과의 만남을 겪은 뒤 나름대로 타자들과 세상을 파악하며 자신을 돌아보고 자신이 해야 할 일을 실천하는 윤리적 주체로 일어서는 과정을 그리며, 윤리적 사유를 자극하는 텍스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