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gament Injury

검색결과 290건 처리시간 0.019초

축구경기시의 무릎손상 (Knee Injury In Soccer Play)

  • 이동철;배상근;손욱진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41-146
    • /
    • 2006
  • 목적: 축구 경기 시의 무릎 손상의 형태와 기전을 분석하고 치료 후 기능 회복 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0월부터 2005년 1월까지 축구로 인해 무릎 손상을 받은 4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환자의 평균 연령은 28.8$(14\sim45)$세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14.9$(8\sim36)$개월이었으며, 손상 평가는 이학적 소견, 방사선적 검사, 진단적 관절경술을 통해서 이루어졌으며, 술 후 기능 평가는 기능도와 활동도를 이용하였다. 결과: 인대손상에 따른 분류는 전방 십자인대 단독 손상 27례로 가장 많았고 손상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경기 중 후반부 계절 중 겨울, 경기 빈도가 1달에 5례 이하인 경우 등이었다. 손상의 기전은 turn & twisting이 20례로 가장 많았고, being tackle 순 이었다. 손상시 기능도와 활동도는 각각 45, 2이었으며, 최종 추시 시 86.7, 6이었으며, 다발성 인대 손상 군에서 가장 나쁜 결과를 보였다. 결론: 치료 후 기능도와 활동도의 회복은 양호했지만 스포츠 활동도에서 수상전과 뚜렷한 차이를 보여 적절한 정신적, 육체적 재활과 스포츠 복귀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슬관절 전방 십자 인대 파열의 진단에 있어서 KT-2000 기기의 유용성 (The Benefit of KT-2000 Knee Ligament Arthrometer in Diagnosis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 박재형;김형수;정광규;유정현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2-88
    • /
    • 2004
  • 목적: KT-2000 Knee Ligament Arthrometer를 이용하여 정상 슬관절의 전방 전위를 측정하고,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알아보며, 전방 십자 인대 손상 환자 슬관절의 전방 전위를 측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정상인의 전방전위 정도를 전방 십자 인대 손상 환자와 비교하여 이 기기의 유용성을 알아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슬관절 손상의 과거력이 없는 성인 남자 30명을 대상으로 2명의 검사자가 30lb의 힘으로 슬관절30$^{\circ}$굴곡에서 근육 이완 및 수축, 25$^{\circ}$내회전, 25$^{\circ}$외회전 자세로 전방 전위를 측정하여 두 검사자간의 전방 전위 및 좌우 차이를 비교하였고. 신체 조건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어 각각의 차이에 따르는 전방 전위를 비교하였다 전방십자 인대 손상 환자 30명에서 슬관절을 이완시킨 상태로 3차례 이상 전방 전위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검사자 1의 슬관절 전방 전위는 30$^{\circ}$굴곡 상태로 근육 완전 이완, 근육 수축 상태. 25$^{\circ}$내회전 25$^{\circ}$외회전위치에서 우측 슬관절은 6.5${\pm}$1.5 mm. 2.5${\pm}$0.9 mm, 4.8${\pm}$1.2 mm, 6.4${\pm}$1.3 mm였고 좌측 슬관절은 5.6${\pm}$1.3 mm, 2.1${\pm}$0.8 mm, 4.5${\pm}$1.2 mm, 5.2${\pm}$1.3 mm였으며. 검사자 2는 각각 6.9${\pm}$1.2 mm, 2.9${\pm}$1.1 mm,5.6${\pm}$1.6 mm, 6.9${\pm}$1.5 mm였고, 5.5${\pm}$1.7 mm, 1.9${\pm}$0.9 mm, 5.1${\pm}$1 9 mm, 5.7${\pm}$1.6 mm였으며, 검사자1의 전방 전위 좌우 차는 근육 이완 상태에서 0.9${\pm}$1.0 mm였다. 전방 십자 인대 손상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의 전방 전위는 평균 11${\pm}$2.93 mm쳐고, 건측과의 차이는 평균 6.5${\pm}$2.31 mm였다 좌우 슬관절의 비교에서 검사자 1과 2는 30${\pm}$굴곡, 근육 이완시 통계학적으로 좌우차는 있었으나 각각 25례(83%), 21례(70%)에서 좌우 차이가 2mm미만이었고 3 mm이상은 모두 1예에 불과하였으며 근육 이완시 정상인과 전방 십자 인대 파열 환자의 전방 전위 좌우차는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0.05) 결론: KT-2000 Knee Ligament Arthrometed의 결과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슬관절 주변 근육의 이완, 슬관절의 굴곡 각도, 경골의 회전. 전위력의 강도, 적용시점, 그리고 키, 체중등의 신체적 요인 등이 있으나 능숙한 기계사용과 정확한 슬관절 위치에서 검사할 때 전방 십자 인대 파열에 대한 진단에 유용한 기구이다.

  • PDF

역도(力道)선수에서 견관절 질환 (The Weight Lifters' Shoulder)

  • 전인호;경희수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5권2호
    • /
    • pp.73-80
    • /
    • 2002
  • Purpose: Weight lifting is a good training to control body weight, to correct body shape and to relieve stress. How-ever if the training is continued by inadequate training method and technique, the risks of the shoulder injuries are relatively high. Main Subject: The rotator cuff injury is the most common disorder to wright lifters and often results from the train- ing program of upright row, military press and pectoral deck. The chances of subacromial impingement in these postures are high because the shoulder rotates under the acromion at 90 abduction state. Shoulder instability in weight lifters can develop due to various causes. aepeated microtrauma and excessive abduction and external rotation may result in laxity of the anterior capsular structure, ligament and muscles. Behind the neck and bench press are high risk training postures. Other than those injuries, idiopathic osteolysis of distal clavicle, acromioclavicular separation, pectoralis major muscle rupture, and triceps muscle rupture nay develop. Conclusion: The best treatment option of the shoulder injury to weight lifters is to eliminate the possible risk elements for the weight lifters in training program and to provide proper and prompt treatment as soon as possible.

Surgical Treatment of a Life-Threatening Large Retropharyngeal Hematoma after Minor Trauma : Two Case Reports and a Literature Review

  • Park, Jin Hoon;Jeong, Eui-Kyun;Kang, Dong-Ho;Jeon, Sang Ryo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8권3호
    • /
    • pp.304-307
    • /
    • 2015
  • Only a few cases of anterior longitudinal ligament (ALL) injury related with retropharyngeal hematoma without fracture have previously been reported. The treatment of choice for retropharyngeal hematoma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conservative care, but we believe that early surgery of this pathology would be better in certain situations. Here, we describe two cases with life-threatening large retropharyngeal hematomas related with ALL injuries and operated on at an early stage. Two previously healthy patients visited the emergency room with neck pain and dyspnea after falling. Serious neck swelling was observed and lateral neck X-ray showed severe widening of the prevertebral space. Due to dyspnea progression, emergency endotracheal intubation was performed. Although there was no primary cause of the retropharyngeal hematoma on preoperative examination, ALL tearing was intraoperatively confirmed during early surgery. The in-hospital evolutions of the patients were favorable after surgery. We should bear in mind the possibility of ALL injury and perform early surgery where possible given the earlier convalescence and good prognosis.

Osborne-Cotterill Lesion a Forgotten Injury: Review Article and Case Report

  • Vargas, Daniel Gaitan;Woodcock, Santiago;Porto, Guido Fierro;Gonzalez, Juan Carlos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3권1호
    • /
    • pp.27-30
    • /
    • 2020
  • Osborne-Cotterill lesion is an osteochondral fracture located in the posterolateral margin of the humeral capitellum, which may be associated with a defect of the radial head after an elbow dislocation. This lesion causes instability by affecting the lateral ulnar collateral ligament over its capitellar insertion, which is associated with a residual capsular laxity, thereby leading to poor coverage of the radial head, and hence resulting in frequent dislocations. We present a 54-year-old patient, a physician who underwent trauma of the left elbow after falling from a bike and suffered a posterior dislocation fracture of the elbow. The patient subsequently presented episodes of instability, and additional work-up studies diagnosed the occurrence of Osborne-Cotterill lesion. An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the bony lesion was performed, with reinsertion of the lateral ligamentous complex. Three months after surgery, the patient was asymptomatic, having a flexion of 130° and extension of 0°, and resumed his daily activities without any limitation. Currently, the patient remains asymptomatic 2 years after the procedure. Elbow instability includes a large spectrum of pathological conditions that affect the biomechanics of the joint. The Osborne-Cotterill lesion is one among these conditions. It is a pathology that is often forgotten and easily overlooked. Undoubtedly, this lesion requires surgical intervention.

족관절 염좌의 치료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observations on treatment of ankle-sprain)

  • 유태섭;박동석;강성길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1권1호
    • /
    • pp.168-175
    • /
    • 2004
  • Objective: This report was designed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 of ankle sprain due to cause, degree of injury, treatment process, sex, age etc Methods: We selected 36 patients who visited our clinic at last over two times complaining of ankle-sprain since 8th, March, 2002. Result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ajor cause of ankle-sprain was injury of lateral collateral ligament. 2. Ankle-sprain was distinguished three degree, and generally presented pain, regional tenderness, swelling, limited movement, muscle spasm, redness, deformity. 3. In early stage of ankle-sprain, ice massage, compression, elevation, rest were very important. 4. In oriental medicine, the principle of treatment were promoting blood circulation to remove blood stasis, relaxing muscles and tendons and activating the flow of Gi and blood in the channels and collaterals, reducing edema or swelling, and alleviating pain. 5. There were more effective result to using three-edged needle with acupuncture. Conclusions: Ankle-sprain were treated successfully using acupuncture and three-edged needle.

  • PDF

외측 발목 불안정성을 치료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는가 (What Happens without Treating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 우승훈;정형진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9
    • /
    • 2021
  • The term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CLAI) embraces a spectrum of conditions that involve functional and mechanical instability, both in athletes and lower-demand patients. The hallmarks of CLAI are recurrent sprains, persistent pain, and repeated episodes of the ankle giving way. CLAI is the main complication of acute ankle sprains, which can cause discomfort in daily and sports activity. Approximately 10% to 30% of patients with acute ligament ruptures will develop chronic instability over the course of a year from the index injury. An accurate diagnostic approach and successful treatment plan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functional and mechanical instability. Unfortunately, the optimal modality for the management of CLAI is unclear. Even after conservative treatment or surgical intervention, it could result in degenerative changes to the ankle joint in the long term. Thus far, the incidence of ligamentous posttraumatic ankle osteoarthritis was reported to be 13% to 78%. The mean latency time between injury and osteoarthritis was at least 10 to 34.3 years. CLAI is an important pathological condition that can cause discomfort or dysfunction in daily activity in the short term, resulting in joint destruction in the long term.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various complications that can occur when CLAI is not treated properly.

내측 사두거근 및 햄스트링근 강화 훈련이 동적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trength Training Targeting Medial Quadriceps and Hamstrings on Dynamic Balance )

  • Jiyoung Jeong;Choongsoo S. Shin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45-51
    • /
    • 2023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trength training targeting medial quadriceps/hamstrings and non-targeting strength training on dynamic balance. Method: A total of 51 healthy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control, targeting strength training, or non-targeting training groups. To measure the dynamic balance, the star excursion balance test (SEBT) was performed before and after training. The SEBT parameters were compared using repeated measures ANOVA, and post-hoc paired t test at a significance level of 0.05. Results: Greater anterior (p= .011), anteromedial (p= .001), medial (p< .001), lateral (p< .001), and anterolateral (p= .001) reach distances were found between pre- and post-training in the strength training targeting medial thigh muscles group. Only greater lateral reach distance was found after non-targeting strength training (p= .029). In addition, no differences were found for any SEBT scores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Strength training targeting medial quadriceps and hamstrings can improve the dynamic balance, thereby it positively affected in lower extremity injury risk, whereas non-targeting strength training rarely changes the dynamic balance.

급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과 동반된 반월상 연골 손상의 양상 (Patterns of Meniscus Injury with Acute Anterior Cruciate Ligament Tears)

  • 조성도;고상훈;황수연;김문찬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8-62
    • /
    • 2003
  • 서론 : 급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이 있는 환자에서 동반된 반월상 연골 손상의 발생 빈도, 위치, 형태 및 치료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3월부터 2002년 2월까지 수상 6개월 이내의 급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이 있는 환자 73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66례, 여자가 7례였으며, 평균 연령은 33($16\~62$세)였다. 수상 원인으로서는 스포츠 손상(45례), 교통사고(19례)순으로 많았으며, 스포츠 손상에서는 축구 손상이 34례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관절경을 이용하여 반월상 연골 손상의 위치, 형태에 대해 확인하였으며 치료에 대해서도 분석해 보았고 특히 축구 손상으로 인한 군과 교통 사고로 인한 군에 대해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급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이 있는 환자에서 반월상 연골 손상이 동반된 경우는 48례$(65.8\%)$로 그 중에서 외측 반월상 연골 손상이 26례$(54.2\%)$로 가장 많았으며, 위치는 후각부에서 52례$(91.2\%)$로 가장 흔하였다 형태는 방사상 파열이 15례$(26.3\%)$로 가장 흔하였으며 치료는 부분 절제술이 38례$(66.7\%)$ 가장 많았다. 이들 중 축구 손상으로 인한 군에서는 반월상 연골 손상이 동반된 경우는 28례$(82.4\%)$였으며, 그 중에서 외측 반월상 연골 손상이 17례$(60.7\%)$로 가장 많았으며, 위치는 후각부에서 30례$(90.9\%)$로 가장 흔하였다. 형태는 방사상 파열이 9례$(27.3\%)$로 가장 흔하였으며 치료는 부분 절제술이 22례$(66.7\%)$로 가장 많았다. 결론 : 급성 전방 십자 인대의 파열시 외측 반월상 연골 손상의 빈도가 내측 반월상 연골 빈도보다 많았으며 후각부 손상이 가장 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급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이 있는 환자에서 동반된 반월상 연골 손상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 PDF

파열된 반월상 연골판의 관절경적 봉합술 - 파열 위치와 동반 손상 여부에 따른 비교 - (Arthroscopic Repair of Meniscus Tears - Comparison of torn location and combined injury -)

  • 정영복;태석기;진휘재;정재원;박철경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85-91
    • /
    • 2001
  • 목 적 : 반월상 연골판의 관절경적 봉합술후 파열 위치나 동반 손상 여부에 따라 어떠한 결과의 차이가 있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부터 관절경적 봉합술을 시행 후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73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위치에 따라서는 red-red zone이 29례, red-white zone이 36례 그리고 white-white zone이 8례이었다. 26례에서 동반 손상이 있었고 동측 전방 십자 인대 파열이 17례가 있어 동시에 치료하였다. 결과는 OAK system에 의한 기준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 양호 이상의 결과를 나타낸 것은 연골판 단독 손상인 경우 $94\%$, 동반 손상이 있었던 경우 $88\%$이었는데, 특히 전방십자인대 파열후 재건술을 동시에 한 경우는 $94\%$로 좋았다. 연골판 파열의 위치에 따른 결과에서는 red-red zone은 $90\%$, red-white zone은 $91\%$, white-white zone은 모든례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결론 : 전방 십자 인대 파열이 동반된 경우는 동시에 치료하는 것이 좋고, white-white zone의 봉합도 가능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