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fe culture festival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6초

생활문화축제의 참여자 만족도, 충성도, 효과 간 영향관계 분석 : 부천시 '다락(多樂)' 축제를 중심으로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Life culture festival's Satisfaction, Loyalty, and Effects : Focusing on The 'DaRak' Festival in Bucheon City)

  • 전인석;채경진
    • 지역과문화
    • /
    • 제6권1호
    • /
    • pp.81-99
    • /
    • 2019
  • 본 연구는 생활문화축제의 참여자 만족도, 충성도, 효과 간 영향관계를 실증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부천시 생활문화축제인 '다락(多樂)' 축제에 참여한 동호회원 및 관람객 35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우선 기존 연구들을 바탕으로 독립변수를 축제 만족도(인프라, 프로그램, 접근성, 운영 및 정보)를 설정하고, 축제 충성도 및 축제 효과에 대한 구조모형을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종속변수인 축제 효과에 대하여 축제 충성도(0.92)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축제 만족도 요인 중 프로그램 요인(0.59)과 운영 및 정보 요인(0.29)은 축제 충성도를 매개해 축제 효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축제체험이 축제만족, 재참가의도,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활 참여정도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College Festival Participants' Experience on Festival Satisfaction, Re-participation and Peer Relation Enhancement: Focusing on College Life Participation)

  • 양승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246-257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축제의 성과를 일상으로의 확대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학축제는 지금까지 구성원의 공동체 결집을 통해 대학문화 창조의 중추적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최근에 연예인 공연과 기업의 스폰서십 등 상업화에 대한 비판과 함께 대학축제의 기능회복에 대한 목소리가 높다. 대학축제는 일상의 대학생활이 만들어낸 텍스트이기 때문에 일상과 무관할 수 없으며 대학축제 역시 일상의 회복에 그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Pine & Gilmore의 체험모델을 적용하여 양질의 대학축제 체험을 통해서 만족과 더 나가 일상과의 연결고리로서 교우관계를 개선한다는 것 그리고 학생들의 학교생활에 대한 참여정도 차이에 따라 축제체험 등이 차별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학축제 참가자 195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변수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회귀분석,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t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축제체험은 축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가설1), 축제만족은 재참가의도와 교우관계(가설2, 가설3)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또한 대학생활 참여정도가 높은 집단은 그러하지 못한 집단에 비하여 대학축제체험, 축제만족, 재참가의도, 교우관계에 있어 차이를 보여주었다(가설4).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은 연구 말미에 포함시켰다.

대형 음악 페스티벌 경험 향상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디자인 가이드라인 (A Guideline of Music Festival Experience Through Mobile Application)

  • 주은선;최종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26-36
    • /
    • 2015
  • 최근 여가 레저에 대한 관심과 공연 문화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일상을 벗어난 공간에서 여가 생활과 공연을 함께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 음악 페스티벌의 인기 또한 높아지고 있다. 한국에서 대형 음악 페스티벌 산업은 짧은 시간 동안 급성장해왔으며, 특히 젊은 세대에게 대중적인 문화로 자리 잡았다. 이 추세에 따라 음악 페스티벌의 규모는 커졌고, 이와 함께 등장한 대형 음악 페스티벌은 사용자에게 공연을 포함한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대형 음악 페스티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일회적인 편의에 그치고 있으며 사용들에게 축제 경험을 주기에는 부족한 모습을 보여 왔다. 페스티벌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하나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도 마찬가지이다. 음악 페스티벌의 이러한 다양한 서비스를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있으나 조사 결과 기존 앱들은 상황에 따라 사용자들이 원하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을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사용자 조사를 통해 음악 페스티벌을 즐기는 사람들의 요구사항을 조사하고, 이에 따른 기능을 도출하고자 했다. 이 연구에서는 사용자 조사 결과에 따른 앱의 개선방향과 기능을 제안하는 단계까지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서울.경기 지역 대학생들의 세시음식에 대한 인지도와 이용에 관한 연구 (A Survey on the Perception and Preparation of Traditional Korean Festival Foods in Seoul and the Kyonggi Area)

  • 강재희;윤숙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73-488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erception and observance of traditional Korean holidays and preparation of traditional Korean holiday food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the Gyeonggi area in order to further develop modernize and globalize the food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traditional Korean holidays with the highest perception and observance was Seollal, followed by Chuseok, Jeongwaldaeboreum, Dongji, Dano and Sambok. Traditional Korean festival foods such as Ddukgook, Mandoogook, Sikhye, Injeolmi, Yookgeijang, Kalgooksoo, Songpyon, Galbizzim, Soondubu and Samgyetang also scored high in perception and preparation. Schools were the most frequent route of introduction to Korean traditional festival foods at a rate of 41.6%. Special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schools were also high at introduction rates of 38.3% and 19.5%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raditional Korean festival foods need to be further developed, as the succession of traditional food culture was the highest among 61.4% and 41.3% of the respondents who answered that the 'standardization of flavor, nutrition and cookery' is the most necessary action to popularize seasonal specialty foods.

  • PDF

문화해설사의 역할이 방문객의 축제주제인식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ulture Tourism Interpreter's Role on Visitors' Festival Theme Awareness and Satisfaction)

  • 양승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437-446
    • /
    • 2017
  • 본 연구는 지역 개발의 가치를 축제 콘텐츠 화 할 수 있는지의 가능성을 발견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의 축제는 양적인 풍성함에 비하여 질적인 빈곤이라는 비판으로 자유롭지 못하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축제콘텐츠의 다양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 대안적 개발운동으로서 슬로시티에서는 지역주민의 공동체 유지와 방문객의 볼거리 제공차원에서 슬로시티 특화된 축제가 개최되고 있다. 따라서 어떻게 하면 슬로시티 지역 축제에서 문화관광해설사가 개발가치를 전달하고 방문객은 축제주제로서 개발가치를 인식 가능하게 될 것인가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영월 슬로시티 김삿갓면에서 개최된 김삿갓축제 방문객 18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화관광해설사의 역할로서 해설형식과 해설내용은 방문객의 축제주제인식에, 축제주제인식은 재방문의도와 실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문화관광해설사의 성공적인 역할 수행은 방문객의 축제주제인 슬로시티 개발가치를 이해하고 만족뿐만 아니라 느림의 생활운동을 실생활에서 실천해 나가는 선순환 과정을 확보해나갈 수 있다.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은 논의에 포함시켰다.

지역주민의 축제 참여동기와 만족도가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유달산 봄꽃 축제를 중심으로 (Local Participation, Festival Motivation, Satisfaction Level, and Support Level: Focusing on Yudalsan Mountain's Spring Festival)

  • 손종원;나승화
    • 유통과학연구
    • /
    • 제12권8호
    • /
    • pp.103-112
    • /
    • 2014
  • Purpose - There have been local government systems since June 1955. Many local governments have made use of festivals for regional public relations and the achievement of competitiveness. This study analyzes effective components of local festivals. There has been extensive research in relation to variables such as participation motivation, satisfaction level, recall intention, royalty, and recommend purpose. However, as a variable factor, attachment to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of a festival has been overlooked along with support level to a festival. This study has added new variables named "attachment to local society" and "support level," which are dependent variables. We will study the relationship of these two variabl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has devised a cause-and-effect relationship model, which deduces that local residents' participation motivation for the festival will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festival support level and satisfaction level. We circulated questionnaires to local residents to get the data required to prove the hypothesis. To analysis the data, we used SPSS 21.0, and accomplished basic analysis through the analysis of frequency as well a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urther, we verified our measurement tools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and examined the research hypothesis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With regard to the festival satisfaction level, the variables of local society attachment, festival attraction, escaping from the daily life, and family harmony have influence upon a positive effect (+) in this order. Among them, the variable of local society attachment has the greatest influence. However, in respect of support level for the festival, only the variables of local society attachment and escaping from the daily life have a valid influence on the positive effect (+), and local society attachment has relatively greater influence. In addition, not only does the festival satisfaction level affect the support level for the festival in terms of positive effect, the influence is also far-reaching, which verifies the mediating effect. Conclusions - The result shows that the local residents' satisfaction level with the Yudalsan Mountain Spring Flower Festival is comparatively high, which is due to the local society attachment. It also shows that it is difficult to create support without local residents' attachment with their area. Consequently, this study insists that the Yudalsan Mountain Spring Flower Festival should exceed its limitation as just a village-level party, in order to become a remarkable and outstanding festival, and suggests three operational implications: macro-environmental development, task environment development, and internal operational environmental development. From the macro-environmental perspective, the constant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and local business is proposed. In the task environment perspective, a new functional development for the festival is proposed. From the internal operational environmental perspective, improvements in festival operation methods are proposed. If these weak points are addressed and resolved through a more detailed approach, it will be very helpful for local government systems to operate the festival.

성격유형별 미디어 작품선호도 조사를 통한 도시의 빛 미디어 축제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Urban Festival Guideline of Light Media Considering Personality Type of Preference on Media Arts)

  • 김남효;김규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282-290
    • /
    • 2011
  • The public festival has a positive function to produce more pleasure and better life to urban residents on viewpoint of culture marketing. A research of relation between urban festival's media light environmental and personality type of audiences would give a design guide line on selection of festival media contents. The scope of study festival bounds three urban fesitvals from two thousand eight to two thousand ten. The personaliy indicator is used by self-mootioring scale called NEO-PI-R that Synyder, psychologist established in 1987. This indicator divides into five classes - N: Neutroticism, E: Extaversoon, O: Openness, A: Agreeableness, C: Conscientiousness. As a result, Anaysis of urban festival's media light environments considering five personality type of audiences are described, N type prefers the change a lot and low stability. E type prefers three dimensional video and dynamic production with passionate pressure. O type prefers radiates objects to promote the imaginative creatures with speculation. A type prefers contemplation arts with one way direction. C type prefers orderly art layout with accomplishing intention. The statistics datas anaynize ten factors to describe the urban complicated fesitival guide line clearly.

축제참가자의 지역축제 의의에 대한 인식과 평가에 관한 연구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을 대상으로 - (A Study of Assessment and Awareness by Local Festival Participants' to the Significance of Local Festival : Case Study of Andong International Mask Dance Festival)

  • 황화석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59-272
    • /
    • 2015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11"을 대상으로 축제참가자의 지역축제 의의에 대한 인식과 평가에 관해 연구 하였다. 연구결과는 먼저,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에 참가한 축제참가자들의 인구학적 특성은 대졸학력의 20~40대 연령층과 가족단위의 방문객이 주를 이루었으며, 외지인과 지역주민 간의 인구학적 특성의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지역축제 특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지역축제가 지역문화자원 활용정도와 지역축제의 주제 반영정도에 대하여 두 집단 모두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주제의 반영정도는 지역주민들의 사례축제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축제의 의의는 지역주민 화합, 지역 경제활성화 그리고 지역 홍보 및 지역 이미지 제고이다. 여기서 지역주민과 외지인들은 지역 홍보 및 이미지 제고를 가장 긍정적으로 인식한데 비해 지역주민 화합에는 다른 설문항목에 비하여 긍정적인 인식이 낮았다. 따라서, 사례축제가 보다 지역사회에 깊게 뿌리내림 하기 위해서는 축제를 통한 지역주민들의 문화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보다 유도할 필요성이 있다. 그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지역주민들을 위한 프로그램마련과 축제의 기획, 집행, 평가 과정에서 지역주민들의 참여가 가능한 다양한 창구를 마련하여 지역주민들의 참여를 확대할 것을 제시한다.

  • PDF

유럽의 지역축제에 나타난 토테미즘 복식 연구 -융의 상징이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otemism Costume of Europe Local Festival -Based on the Symbolic Theory of C. G. Jung-)

  • 어경진;하지수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11
    • /
    • 2016
  • Traditional costumes have evolved while reflecting the social, cultural and psychological values of the era. Costumes gain meaning by being worn that also allows their various symbolic meanings to be derived. Costumes worn in festivals by specific societies and organizations have especially apparent symbolism pertaining to their purpose. Most countries have traditional festivals that embody the country's distinct culture, history and traditions. These festivals are acts of consciousness expressing a special meaning of the community. Costumes represent a glimpse of life and culture during a festival period; in addition, the costume's style, color elements and decorations are expressions of community values and a distinct symbolic mechanism. Totemism (a significant element of these festivals) has been passed down for many generations. The current costumes for Totemism are distinct (compared to normal festival costumes) and embody a more symbolic meaning. This study deduces the exaggerated style, the concealment and disguise of the human body, and the pursuit of pleasure expressed in the Totemism costumes of regional European festivals. The symbolization theories of C. G. Jung and an analysis of Totemism costumes allow an understanding of their existential significance, their role as the medium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their meaning of symbolic transcendental unity, and their meaning of giving consciousness to the mind.

18세기(世紀) 조선시대(朝鮮時代) 회갑연(回甲宴)과 회혼예(回婚禮) 회화(繪畵)에 나타난 식생활(食生活) 문화(文化)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Food Culture of the Festival for Elderly Person's $60^{th}$ Birthday (Hoegap) and Marriage Anniversary (Hoehon) Appearing in the 18th Century Painting of the Chosun Period)

  • 고경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536-543
    • /
    • 2003
  • The Chosun Dynasty in the $18^{th}$ century was a period of revival for science, art, and culture, bringing about Silhak(practical science), a new trend in the history of Chosun thoughts. In the history of fine arts, realistic landscape paintings and genre paintings were popular as realism became prevalent. From the aspect of food culture, in particular, the luxurious and elegant Korean-styled food culture was completed during this period. Iwanwasuseoksihoedo was painted by Jeong Hwang (1735-1800) in 1789, depicting a banquet on an elder's $60^{th}$ birthday. It is classified as a genre painting in the late Chosun Period but it contains things that comes into our heart, which are white porcelain with blue celadon pictures, white porcelain bowls, busy atmosphere of a banqueting house where food is being carried in a hurry and elders' serene appearance. All these things show the abundance of life, the room and comfort of old ages, and the beauty and relish of life in the well-arranged living ground. Hoehonyedo was painted on an elder's $60^{th}$ marriage anniversary by an unknown artist presumably in the $18^{th}$ century is a painting as realistic as a documentary photograph. The work gives viewers pleasure and comfort because it describes not a mighty clan but the superb later years of an official who had lived right and upright life. In the aspect of food culture, it displays the food culture of the splendid sixtieth marriage anniversary of a Korean official through noble etiquette among family members, seat planning, unique table culture and high quality tableware including white porcelain with celadon pictures and pure white porcel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