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Culture Tourism Interpreter's Role on Visitors' Festival Theme Awareness and Satisfaction

문화해설사의 역할이 방문객의 축제주제인식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양승훈 (신라대학교 국제관광학부)
  • Received : 2017.08.21
  • Accepted : 2017.09.05
  • Published : 2017.12.28

Abstract

This research were aimed to verify possible transferring regional development's value into festival contents. It was widely known that Korean festival's theme has been relatively pale in comparing its abundancy, which were required variety of festival contents. Luckily, local residents in Cittaslow frequently host slow-themed festivals, not only to revitalize their communities but also to serve the visitors. Those phenomenon shed the light to study the culture tourism interpreters' role as the presenter of regional development value to visitors at festival setting. Total 180 of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Gimsatgat festival visitors, verifying the relationship of variables, interpreters' role, perception of festival theme, revisit intention and practice intention.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ignificantly influential relations between variables. Successful interpreters will support visitors' understanding of Cittaslow value, satisfaction and practice in daily life. Theoretical /practical significances and research limitation were included.

본 연구는 지역 개발의 가치를 축제 콘텐츠 화 할 수 있는지의 가능성을 발견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의 축제는 양적인 풍성함에 비하여 질적인 빈곤이라는 비판으로 자유롭지 못하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축제콘텐츠의 다양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 대안적 개발운동으로서 슬로시티에서는 지역주민의 공동체 유지와 방문객의 볼거리 제공차원에서 슬로시티 특화된 축제가 개최되고 있다. 따라서 어떻게 하면 슬로시티 지역 축제에서 문화관광해설사가 개발가치를 전달하고 방문객은 축제주제로서 개발가치를 인식 가능하게 될 것인가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영월 슬로시티 김삿갓면에서 개최된 김삿갓축제 방문객 18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화관광해설사의 역할로서 해설형식과 해설내용은 방문객의 축제주제인식에, 축제주제인식은 재방문의도와 실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문화관광해설사의 성공적인 역할 수행은 방문객의 축제주제인 슬로시티 개발가치를 이해하고 만족뿐만 아니라 느림의 생활운동을 실생활에서 실천해 나가는 선순환 과정을 확보해나갈 수 있다.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은 논의에 포함시켰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원도민일보, 지역을 살찌우는 축제를 기다리며, http://www.kado.net/?mod=news&act=articleVi ew&idxno=867972, 2017년 8월 10일 검색.
  2. W. Frost and J. Laing, "Communicating persuasive messages through slow food festival," J. of Travel Research, Vol.19, No.1, pp.67-74, 2013.
  3. 히라노, 아키오미(정무영 역), 이벤트의 마력, 서울출판미디어, 2003.
  4. 조제프 골드블래트 (우진영 역), 스페셜이벤트, 김영사, 1995.
  5. 백두주, "대안적 지역발전 모델에 관한 연구: 전남 장흥군의 슬로시티 지정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0권, 제4호, pp.111-139, 2008.
  6. H. Mayer and P. Knox, Small town sustainability, Brikhauser: Basel, Boston and Berlin, 2006.
  7.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7060 2_0000001921&cID=10809&pID=10800, 2017.6.2., 2017.08.10검색.
  8. 김옥희, 민웅기, "슬로관광목적지로서 슬로시티의 정체성과 장소마케팅의 가능성," 관광연구논총, 제25권, 제3호, pp. 25-47, 2013.
  9. 왕각, 양승훈, 장희정, "슬로시티 관광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논총, 제27권, 제4호, pp.199-214, 2015.
  10. 김주연, 이민재, 안경모, "해설매체에 따른 방문객의 해설속성평가, 만족도 및 문화유산에 대한 태도의 차이 및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1호, pp.434-443,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1.434
  11. 김남조, "문화유산해설사 교육프로그램 평가: 중요도-성취도 분석방법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제20권, 제2호, pp.307-324, 2005.
  12. 최문용, 양승훈, "마을장터, 지역개발 공유가치 구현의 장," 한국프렌차이즈경영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103-112, 2014.
  13. S. Pink and T. Lewis, "Making resilience: Everyday affect and global affiliation in Australian Slow Cities," Cultural Geography, Vol.21, No.4, pp.695-710, 2014. https://doi.org/10.1177/1474474014520761
  14. 예상권, 박희정, 장희정, "슬로시티 지역주민의 애착도와 공동체의식이 태도에 미치는 영향," 농어촌관광연구, 제18권, 제1호, pp.1-26, 2011
  15. http://www.ksmnews.co.kr/default/index_view _page.php?idx=174621&part_idx=197., 2017.5.16., 2017.08.10검색.
  16. http://www.cittaslow.kr, 2017.08.14검색.
  17. 이순자, "문화관광 해설사의 역할이 관광객 만족과 재방문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Tourism Research, 제20권, pp.117-137, 2006.
  18. 최정자, "문화관광해설사의 역할인식에 관한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학술연구발표논문집, pp.101-110, 2008.
  19. 홍수연, 전주한옥마을 문화관광해설사의 역할속성에 대한 IPA 분석,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3.
  20. 박수진, 정봉현, "IPA를 활용한 문화관광축제 서비스 품질평가: 광주 추억의 충장축제를 대상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8권, 제2호, pp.131-152, 2016.
  21. 천민호, "문화관광 해설이 관광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2호, pp.909-918,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2.909
  22. 전주영, 임연우, "생태관광 해설품질과 만족의 관계," 산학기술학회논문집, 제17권, 제2호, pp.520-527, 2016.
  23. 이견실, "생태관광 해설품질과 만족의 관계," 산학기술학회논문집, 제17권, 제2호, pp.520-527, 2016.
  24. 신창열, 송학준, 이충기, "축제품질, 축제주제인식, 지각된 가치, 만족도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관광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346-362, 2011.
  25. H. Oh, A. Assaf, and S. Baloglu, "Motivation and goal of slow tourism," J. of Travel Research, Vol.55, No.2, pp.205-219, 2016. https://doi.org/10.1177/0047287514546228
  26. T. Jung, E. Ineson, J. Kim, and M. Yap, "Influence of festival attribute qualities on slow food tourists' experience, satisfaction level and revisit intention," J. of Vacation Marketing, Vol.21, No.3, pp.277-288, 2015. https://doi.org/10.1177/1356766715571389
  27. K. Lee, N. Scott, and J. Packer, "Habitus and food life style," 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48, pp.207-220, 2014. https://doi.org/10.1016/j.annals.2014.06.009
  28. Y. Cosar and M. Kozak "Slow tourism(Cittaslow) influence over visitors' behavior," Advances in Culture,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Vol.9, pp.21-29, 2014.
  29. http://slowcityksg.kr
  30. 임상호, 한무영, "물 재사용에 대한 인식이 물 재사용 실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산업진흥연구, 제1권, 제1호, pp.137-142, 2016. https://doi.org/10.21186/IPR.2016.1.1.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