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users

검색결과 1,458건 처리시간 0.034초

도서관 공간 활용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이용패턴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Library Space Use Patterns to Determine its Optimum Utilization)

  • 박성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25-24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행태를 분석하여 대학도서관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데 있다. 도서관 이용행태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이용자들이 직접 자신들의 행동을 기록하는 다이어리 기법을 이용했다. 총 108명이 참여를 했고 이들 중 84명이 다이어리를 작성했다. 제출된 다이어리 중 내용을 충실히 작성한 14명의 참여자와 도서관 이용행태, 이용시 문제점 및 요구사항 등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했다. 다이어리와 인터뷰 분석결과, 공간계획 측면에서 이용되지 않은 공간이나 기기들의 이용률 향상을 위한 방안마련과 서가 브라우징을 통한 정보접근 향상을 위한 방법을 제안했다. 또한 도서관 이용시간 분석을 통해 학생들의 이용행태 및 이용률 제고 방안을 논의했다.

A Comparative Study on the Librarian and Users' Perception of the Specialized Library Operation

  • Noh, Younghee;Kwak, Woojung;Shin, Youngji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69-93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specialized services and the overall satisfaction of the operation of the specialized services for the librarians and users of the specialized libraries, and based on the ISA method, compare the specialized theme data, specialized service place, specialized program, specialized theme area facilities and environment, and derive issues of the specialized library operation and improvement measures. Consequently, first, when developing the program, the specialized library needs to develop programs in possession of unique characteristics specific to the areas of the differentiated themes from the cultural and educational programs run by the existing librar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specialized theme area information services for the users, and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librarians 'professionalism. Third,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budget for the specialized services and secure space. Since the scope of the services which may be provided as per the budget intended for providing specialized services may be limited, it would be necessary to secure and operate the budget systematic to this end. Fourth, the specialized library needs to proceed with activities in connection with local residents for the purposes of facilitating specialized services.

대학도서관 외부이용자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External User Services in University Libraries)

  • 정대근;사공복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69-293
    • /
    • 2010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의 개방이 대학도서관의 당연한 의무로 인식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외부이용자에게 도서관을 개방하고 있는 대학도서관의 외부이용자 이용 현황과 실태를 분석하여, 개방으로 인해 대학도서관이 직면하게 된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그리하여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으로 외부이용자에 대한 회원제제도의 도입, 지역의 공공도서관과 자원공용을 위한 협정체결로 대학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역할 분담, 외부이용자에 대한 이용자교육 강화, 외부이용자에 대한 출입관리 등을 제안하였다.

  • PDF

Status of Medical Library Resources and Services in Teaching Hospitals in Enugu State, Nigeria: implications for quality health care services

  • Okeke, Oluchi C.;Eze, Samuel Godwin N;Eze, Jacintha U.;Asogwa, George E.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7권2호
    • /
    • pp.21-40
    • /
    • 2017
  • Considering the need for quality health information and resultant health care services in any societ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look into the status of library and information resources and services provided by medical libraries in Enugu State, Nigeria. The main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the information resources and services available for medical library users towards quality health care provision. Five (5) medical libraries of major teaching hospitals were used for the study with 980 registered users as the study population from where 245 users were sampled. Observation checklist was used to collect data on resources while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the respondents on the services provided. The Medical Library Association Standard guided the analysis of data from observation while frequency counts and mean scores were used to analyze data from the questionnaire. Major findings showed that even though some of the required resources and services are available and provided the medical libraries, most of the required resources and services are not adequately provided by these libraries.

공공도서관에서의 독서운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ading Movement of Public Library)

  • 이만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05-125
    • /
    • 2003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에서의 독서운동,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하여 연구하고, 누가, 어떻게 할 것인지를 조사하여 공공도서관에서의 독서운동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공공도서관의 독서운동은 도서관장을 중심으로 담당사서가 이용자를 위한 독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속적으로 전개해야 한다.

  • PDF

대학도서관의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atisfaction of the Academic Library User Service)

  • 유양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89-211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대학교육과 대학도서관의 상호 관련적 기능을 고찰하고 대학도서관의 운영상의 문제점과 발전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K 대학 학부생을 표본 집단으로 하여 설문지를 통하여 이용자 만족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만족도에 나타난 내용은 이용자의 요구사항의 달성도로 보고 대학도서관 개선책을 모색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대학도서관의 발전적 운영계획을 세우는데 중요한 평가척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ISA 기반 특화도서관 운영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the Users' Recognition of the ISA Based Specialized Library Operation)

  • 노영희;신영지;곽우정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7-2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특화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특화서비스 현황, 이용경험 및 전반적인 만족도 등을 조사하고, ISA 기법을 기반으로 특화 주제 자료, 특화서비스 장소, 특화프로그램, 특화 주제 분야 시설 및 환경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비교하여, 특화도서관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특화도서관의 주제 선정 시, 해당 도서관의 지역적 특징과 역사, 인구분포 등을 반영하여 주제를 선정해야 하며, 지역 주민 및 도서관 이용자의 수요조사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특화도서관은 특화프로그램의 기획 시,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해 전문성을 갖춘 프로그램 진행자를 기반으로 하여 차별성 있는 프로그램의 운영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며, 또한 충분한 주제 관련 장서와 공간을 확보하고, 더 나아가 장서와 연계하여 프로그램을 기획하여야 한다. 셋째, 특화도서관은 공간은 이용자에게 특화장서와 서비스, 정보서비스 등을 제공하기 위해 자관이 제공하는 특화주제를 서비스하기 적합한 구조여야 한다. 또한 공간을 구성함에 있어 이용자의 요구를 반영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대도시의 공공도서관 네트워크 구성에 관한 연구 -지역 도서관네트워크 구성에 관하여- (A Study on the network of public library in urban areas with plural library facilities -About the composition of the public library network-)

  • 이상호;공순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호
    • /
    • pp.221-228
    • /
    • 2000
  • These days, we face of the flood of books published, and data day by day. But there are some trouble to serve the knowlodge and date to the users efficently with a single library. Thats why we think about the way of the cooporation and the connection in modern library for the method of widening the service. As the result of the issue, the establishment for the relation of each library is needed to be done, and the composition of the public library network in same area and limit are also needed. Establishing the library network, the civil life will be much influenced by the service of a library. With the existing ways, library cant arrange data efficently by them selves, and the users are limited. But the library network collect the data with alloting the work to each portion, so it can be possible to gather the specipic data, and the cost caused by needless and overlapped data can be decreased remarkably. Furthermore, the location of the library can be closer than the existing one due to the less cost to maintain the library. As I explained, the convenience of using the library can make an effect on more people to use a library than before.

  • PDF

대학도서관 모바일 서비스 이용자의 요구와 이용 분석 연구 (User Needs and Uses of Mobile Services in Academic Libraries)

  • 김성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05-230
    • /
    • 2013
  • 대학도서관은 모바일 웹사이트를 구축하고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함으로써 모바일 기기를 통해서도 도서관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 속에서 모바일 서비스의 양적 증가만이 아닌 질적 성장을 위해 모바일 도서관 서비스 이용자들의 요구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모바일 도서관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이용경험과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모바일 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모바일 웹과 모바일 앱을 통해 적극적인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2개의 대학도서관을 선정하고 재학생 60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모바일 도서관 이용빈도 및 목적, 이용/비이용 요인, 접근 경로, 주요 이용 서비스, 서비스 만족도, 불만족요인, 개선사항 등을 조사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이용자 관점에서 모바일 도서관 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을 서비스 개선과 이용률 제고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이용자의 접근 패턴을 고려한 공공도서관 서비스 영역 생성 연구 (A Study on Generating Public Library Service Areas Considering User Access Patterns)

  • 강우진;이종욱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89-107
    • /
    • 2023
  • 공공도서관은 지역사회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파악하여 이를 충족시키는 서비스를 기획하고 제공하여야 한다. 도서관 이용자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도서관 서비스 영역에 대한 파악이 우선될 필요가 있다. 현행의 공공도서관 서비스 영역은 주로 도서관이 위치한 행정구역으로 설정되고 있어, 도서관에 대한 이용자의 실제 접근 패턴을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이 속한 지역의 교통적 및 지리적 특성과 이용자의 도서관 접근 패턴을 반영한 서비스 영역을 생성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7개 특별·광역시의 502개 도서관의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를 활용하여 경사도가 반영된 이동 거리와 시간을 파악하였으며, 최단 경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도보 또는 차량으로 30분 이내 범위의 서비스 영역을 생성하였다. 그 결과 지형적 요소에 따라 도서관별 서비스 영역 양상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직선거리 기반의 서비스 영역과 비교하여 도서관 접근에 대한 현실적 여건을 더욱 잘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서비스 영역 생성 방법은 도서관의 이용자의 수, 특성, 요구를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