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vel of Alert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36초

PDR 센서를 이용한 USN 기반의 감시경보 시스템 (Surveillance-Alert System based on USN using PDR sensors)

  • 이재일;이주형;현종우;이종현;배진호;팽동국;조정삼;강태인;이노복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8권12호
    • /
    • pp.54-61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탐지영역에 존재하는 이동 표적의 탐지 정보를 제공하는 PDR(Pulsed Doppler Radar) 기반 USN 센서망에 적용 가능한 감시경보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센서에서 실측된 신호를 분석하여 얻어진 탐지영역과 작전 지역의 지형적 특성이 고려된 최적의 센서 배치를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세 가지 배치형태는 격자형, 선형, 갈지자형 센서 배치이다. 또한, 제안된 배치를 기반으로 감시경보 시스템을 구현하여, 이동 표적과 지휘소와의 거리변화에 따른 경보등급을 인식-주의-경고-위험 순으로 조절하여 전탐사에게 시청각적 정보로 감시 수준을 알릴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실제 외부실험을 통해 제안된 센서 배치를 사용한 감시경보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경보데이터 패턴 분석을 위한 순차 패턴 마이너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equential Pattern Miner to Analyze Alert Data Pattern)

  • 신문선;백우진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13
    • /
    • 2009
  • 침입탐지란 컴퓨터와 네트워크 자원에 대한 유해한 침입 행동을 식별하고 대응하는 과정이다. 최근 인터넷의 급속한 발달과 함께 침입의 유형들이 복잡해지고 새로운 침입유형의 발생빈도가 높아져 이에 대한 빠르고 정확한 대응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침입탐지 시스템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 지능적이고 자동화된 탐지를 지원하기 위한 경보데이터 순차 패턴 마이닝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순차 패턴 마이닝 기법은 기존의 마이닝 기법 중 prefixSpan 알고리즘을 경보데이터의 특성에 맞게 확장 설계하였다. 이 확장 설계된 순차패턴 마이너는 보안정책 실행시스템의 경보데이터 분석기의 일부분으로 구성된다. 구현된 순차패턴 마이너는 탐사된 패턴 내에서 적용 가능한 침입패턴들을 찾아내어 효율적으로 침입을 탐지하여 보안정책 실행 시스템에서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보안규칙을 생성하고 침입에 대응할 수 있다. 제안된 경보데이터 순차 패턴 마이너를 이용하여 침입의 시퀀스의 행동을 예측하거나 기술하는 규칙들을 생성하므로 침입을 효율적으로 예측하고 대응할 수 있다.

  • PDF

보안정책 기반 침입탐지시스템에서 정보 전달을 위한 분산 통신 모델과 성능 평가 (A Distributed Communication Model and Performance Evaluation for Information Transfer in a Security Policy-based Intrusion Detection System)

  • 장정숙;전용희;장종수;손승원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12C호
    • /
    • pp.1707-1721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차원의 종합적인 보안관리가 가능한 침입탐지시스템의 분산 통신모델을 제안하고 보안노드와 분산 시스템 레벨에서 각각 모델링하고 시뮬레이터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노드 레벨에서는 하드웨어기반 침입탐지를 수행하는 기가비트 보안 노드의 구조분석을 기반으로 경보 메시지의 전달 성능을 평가한다. 분산 시스템 레벨에서는 보안정책을 기반으로 네트워크 수준에서 분산 침입방지시스템의 컴포넌트 사이에 전달되는 탐지 및 경보 정보의 전달 성능을 모의실험을 통하여 성능평가를 수행한다. 제안된 모델에서 통신 메커니즘의 결정요인들을 적용하여 성능 평가를 수행하고 시스템의 정량적인 이해를 하기 위하여 결과를 제시한다.

연관성을 이용한 침입탐지 정보 분석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lert Analysis System using Correlation)

  • 이수진;정병천;김희열;이윤호;윤현수;김도환;이은영;박응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1권5호
    • /
    • pp.438-449
    • /
    • 2004
  • 조직이 운영하는 네트워크의 규모가 방대해지고, 인터넷 사용이 활성화되면서 보안의 중요성도 함께 증가하였다. 그러나 최근 보안의 핵심으로 부각되고 있는 침입탐지 시스템들은 인터넷상의 공격들에 대한 적절한 분석이나 효율적인 대응책을 제공해 주기보다는, 대량의 침입탐지 정보를 생성시켜 관리자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침입탐지 시스템이 생성하는 대량의 침입탐지 정보들간에 존재하는 연관성을 분석하여 대응에 필요한 고 수준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해 냄으로써 관리 및 분석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고, 나아가서는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DDoS) 같은 대규모의 공격까지도 조기에 탐지해 낼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침입탐지 정보 분석 시스템을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된 시스템의 성능 분석을 위해 각 모듈의 처리 효율을 측정하고 알려진 공격 시나리오 기반의 시험 평가를 실시한다.

제주국제공항 저층급변풍 발생 특성 및 예측 성능 (Low Level Wind Shear Characteristics and Predictability at the Jeju International Airport)

  • 김근회;최희욱;석재혁;이상삼;이용희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0-58
    • /
    • 2023
  • Sudden wind changes at low altitudes pose a significant threat to aircraft operations. In particular, airports located in regions with complex terrain are susceptible to frequent abrupt wind variations, affecting aircraft takeoff and landing. To mitigate these risks, Low Level Wind shear Alert System (LLWAS) have been implemented at airports. This study focuses o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wind shear and developing a prediction model for Jeju International Airport, which experiences frequent wind shear due to the influence of Halla Mountain and its surrounding terrain. Using two years of LLWAS data, the study examines the occurrence patterns of wind shear at Jeju International Airport. Additionally, high-resolution numerical model is utilized to produce forecasted information on wind shear. Furthermore, a comparison is made between the predicted wind shear and LLWAS observation data to assess the prediction performance.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ediction model shows high accuracy in predicting wind shear caused by southerly winds.

ROC 분석을 이용한 수질자동측정소 실시간 남조류 측정의 정확성 평가 및 경보기준 설정 (Accuracy Evaluation and Alert Level Setting for Real-time Cyanobacteria Measurement Using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nalysis)

  • 송상환;박종환;강태우;김영석;김지현;강태구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30-139
    • /
    • 2017
  • With the need to evaluate accuracy of real-time measurement of cyanobacterial fluorescence to determine cyanobacterial blooms, this research examined 357 paired data (2013-2016) comprising both microscopic toxic cyanobacterial cell counts and concurrent real-time cyanobacterial concentrations at 2 sites (YS1 and YS2) in Yeongsan river. The increase in real-time cyanobacterial concentration wa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exceedance of 5,000 cyanobacterial cells/ml (odds ratio [OR] 1.07, 95% confidence interval [CI] 1.03-1.12) and 10,000 cells/ml (OR 1.08, 95% CI 1.04-1.12) at YS2 site. The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for the real-time cyanobacterial measurement at the YS2 site was 0.93, which indicates the measurement provides a high accurate detection of cyanobacterial blooms. On the ROC curve, the early alert levels of real-time cyanobacteria ranging $16-23{\mu}g$ chl-a/L would produce acceptable sensitivity of 79% and specificities greater than 90%. The real-time fluorescence measurement was found to be an accurate indicator of cyanobacteria and can serve as a tool for detecting toxic cyanobacterial bloom events in Youngsan river.

제주 국제 공항의 Protection Level 관점에서 GBAS 가용성 및 요구 조건 분석 (Analysis of GBAS Availability and Requirement with respected to Protection Level at Jeju International Airport)

  • 안종선;원대희;성상경;허문범;이은성;이영재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9권10호
    • /
    • pp.946-951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제주 국제 공항에서 실시된 항공우주연구원의 비행 실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항공기 착륙 상황을 시뮬레이션하고, Protection Level 관점에서 제주 국제 공항 GBAS 시스템의 가용성 및 성능 향상을 위한 요구조건을 분석하였다. 요구조건을 분석하기위해, CAT I, CAT II/III의 결심고도에서 항공기 착륙 상황 (기준국 정밀좌표, 항공기 착륙 속도, 기준국 및 항공기 안테나 성능지표 등)을 Protection Level 계산에 적용하였다. 이 때 귀무가설 / 대립가설 (H0 / H1) Protection Level을 한계치 (Alert Limit)와 비교 분석하여, 현재 CAT I, CAT II/III의 가용도 및 개선 방향을 도출하였다.

엘리베이터 샤프트를 통한 경보음 전달 예측과 개선 (Prediction and Reduction of Alarm Sound Propagated through Elevator Shaft)

  • 정정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4호
    • /
    • pp.89-9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우선경보방식으로 경보음이 발생되는 경우 발화층과 직상층 이외의 다른 층으로도 전달되는 경보음에 대하여 건축음향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서로 다른 엘리베이터 배치를 갖는 3가지 조건에 대하여 예측하였다.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흡음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현재 조건으로 예측한 경우, 경보 발생층에서 멀어질수록 전달되는 경보음 크기는 작아졌지만, 3개층이 떨어진 경우에도 약 54 dB(A)~56 dB(A) 크기로 전달되어 일반적인 공동주택의 배경소음 보다 크게 전달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전 연구에서 개선안으로 제시된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흡음재를 적용한 결과 인접층으로 전달되는 경보음 레벨은 약 12 dB~16 dB 정도 작아질 수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공동주택의 배경소음 레벨과 유사하거나 작은 정도로 국가화재안전기준에서 규정한 일제경보방식의 의도대로 경보음이 발생되는 발화층과 직상층 이외의 층으로 전달되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mpact of nonphysician, technology-guided alert level selection on rates of appropriate trauma triage in the United States: a before and after study

  • Megan E. Harrigan;Pamela A. Boremski;Bryan R. Collier;Allison N. Tegge;Jacob R. Gillen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6권3호
    • /
    • pp.231-241
    • /
    • 2023
  • Purpose: Overtriage and undertriage rates are critical metrics in trauma, influenced by both trauma team activation (TTA) criteria and compliance with these criteria. Analysis of undertriaged patients at a level I trauma center revealed suboptimal compliance with existing criteria. This study assessed triage patterns after implementing compliance-focused process interventions. Methods: A physician-driven, free-text alert system was modified to a nonphysician, hospital dispatcher-guided system. The latter employed dropdown menus to maximize compliance with criteria. The preintervention period included patients who presented between May 12, 2020, and December 31, 2020. The postintervention period incorporated patients who presented from May 12, 2021, through December 31, 2021. We evaluated appropriate triage, overtriage, and undertriage using the Standardized Trauma Assessment Tool.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an α level of 0.05. Results: The new system was associated with improved compliance with existing TTA criteria (from 70.3% to 79.3%, P=0.023) and decreased undertriage (from 6.0% to 3.2%, P=0.002) at the expense of increasing overtriage (from 46.6% to 57.4%, P<0.001), ultimately decreasing the appropriate triage rate (from 78.4% to 74.6%, P=0.007). Conclusions: This study assessed a workflow change designed to improve compliance with TTA criteria. Improved compliance decreased undertriage to below the target threshold of 5%, albeit at the expense of increased overtriage. The decrease in appropriate triage despite compliance improvements suggests that the current criteria at this institution are not adequately tailored to optimally balance the minimization of undertriage and overtriage. This finding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improved compliance in evaluating the efficacy of TTA criteria.

국내 급성기 의료기관 고위험 의약품 목록 도출 (Developing national level high alert medication lists for acute care setting in Korea)

  • 한지민;허규남;이아영;민상일;김현지;백진희;노주현;김수인;김지연;이해원;조은주;아영미;이주연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16-124
    • /
    • 2022
  • Background: High-alert medications (HAMs) are medications that bear a heightened risk of causing significant patient harm if used in error. To facilitate safe use of HAMs, identifying specific HAM lists for clinical setting is necessary. We aimed to develop the national level HAM list for acute care setting. Methods: We used three-step process. First, we compiled the pre-existing lists referring HAMs. Second, we analyzed medication related incidents reported from national patient safety incident report data and adverse events indicating medication errors from the Korea Adverse Event Reporting System (KAERS). We also surveyed the assistant staffs to support patient safety tasks and pharmacist in charge of medication safety in acute care hospital. From findings from analysis and survey results we created additional candidate list of HAMs. Third, we derived the final list for HAMs in acute care settings through expert panel surveys. Results: From pre-existing HAM list, preliminary list consisting of 42 medication class/ingredients was derived. Eight assistant staff to support patient safety tasks and 39 pharmacists in charge of medication safety responded to the survey. Additional 44 medication were listed from national patient safety incident report data, KAERS data and common medications involved in prescribing errors and dispensing errors from survey data. A list of mandatory and optional HAMs consisting of 10 and 6 medication classes, respectively, was developed by consensus of the expert group. Conclusion: We developed national level HAM list for Korean acute care setting from pre-existing lists, analyzing medication error data, survey and expert panel consens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