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sson plan

검색결과 251건 처리시간 0.024초

과제중심 영어 학습지도안 모형 개발 (Developing a task-based English lesson plan to enhance teaching ability)

  • 현태덕
    • 영어어문교육
    • /
    • 제16권4호
    • /
    • pp.321-346
    • /
    • 201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 task-based English lesson plan. The study reviewed the background theories needed to accomplish the study purpose; types of learning, current trends in English teaching, and the task-based teaching. A frame for the task-based English lesson was developed as the result of this study. An actual task-based lesson plan was made after the frame for the task-based English lesson. The author presented task-based English lesson plans at English education conferences, and applied them to pre-teacher training and in-service trainings for English teachers. It is concluded that the task-based English lesson plan was very effective in enhancing English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that the pre-teachers and teachers were satisfied with the lesson plans. It is hoped that more teaching material will be developed based on this task-based English lesson plan.

  • PDF

교사가 수업 설계에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 초등 수학 수업지도안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What Teachers Consider Important in Lesson Design: Focusing on the Analysis of a Lesson Plan of Elementary Mathematics)

  • 선우진;방정숙;박예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5권1호
    • /
    • pp.15-36
    • /
    • 2021
  • 수학 수업을 잘 설계하는 능력은 좋은 수학 수업을 구현할 수 있는 토대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직교사들이 초등학교 수학 수업의 설계에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현직교사 27명을 대상으로 수학 수업을 설계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가 무엇인지 자유기술식으로 응답하게 했고, 현직교사들에게 예비교사가 작성한 수학 수업지도안을 제공한 후 그 수업지도안의 장점과 개선사항을 분석하게 하였다. 교사들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현직교사들은 자신이 평소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를 중심으로 예비교사가 작성한 수학 수업지도안을 분석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수업지도안의 장점을 분석하거나 개선사항에 대한 피드백 의견을 제안할 때 수학 수업의 설계에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들이 더욱 구체적으로 드러났으며, 특히 수업 전략 및 자료의 측면을 자세하게 고려하는 경향을 보였다. 현직교사의 수학 수업 설계에 대한 주요 결과를 토대로 교사교육에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한국 중등 과학과 학습 지도안의 구성 요소와 유형 (Constituent Elements and Types of Lesson Plan in Science Education of Korean Secondary School)

  • 성민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31-48
    • /
    • 1991
  • Lesson plan sheets were collected from letter communication of each local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as well as from literature. These lesson plan sheets were arranged and investigated for items of constituent element and type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organization of plans were constituted of three frames as early plan, unit plan, and hour plan. 2. The lecture and inquiry types among the collected lesson plan sheets showed 91.9% and 8.3% in junior high school as well as 87.9% and 3% in senior high school, respectively. The mixed types did not find out in junior high school, however the mixed types showed 9.1%in senior high school. 3. The items of constituent elements in lesson plan sheets were varied by the contents and the kinds of teaching unit in science education of secondary school.

  • PDF

케이스기반플랜기법에 의한 적응력있는 레슨플렌생성기 (An Adaptive Lesson Plan Generator Based on Case-Based Planning)

  • 이재인
    • 인지과학
    • /
    • 제4권2호
    • /
    • pp.85-114
    • /
    • 1994
  • 지능형 교수 시스템(ITS:lntelligent Tutoring System)의 개발에 관한 연구에서 중요한 분야 중 하나의 교수법의 제어에 관한 연구이다. 즉 전체 학습목적 또는 학습주제의 선정(curriculmplan),선정된 학습목적에 적합한 레슨플랜(lesson plan),자연스런 대화진행(discourse plan) 방법에 관한 연구이다.본 논문에서는 위의 세가지 플랜 중 레슨플랜에 케이스 기반 플랜기법(casebased planing)을 적용하여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기존의 레슨플랜생성기는 학습목적이 결정될 때마다 그에 적합한 레슨플랜을 생성하였다.이와달리 본 연구에서는 이미 기억된 플랜이 있으면 그 플랜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수정하여 사용하고 기억된 플랜이 없으면 새로 생성할 수 있는 학습목적에 적응력 있는 레슨 플랜생성기를 개발하였다.연구의 대상으로는 미적분학의 부정적분으로 하였고 제시된 문제의 일반형을 유추하기 위하여 기술언어와 커리큘럼트리(curriculum tree)를 고안하였다.본 연구결과는 다른 분야 ITS의 레슨플랜생서기 개발에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적분을 교육하는 실제 학습현장에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XML 기반 교수-학생 학습지도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esson Plan System for teacher-student based on XML)

  • 최문경;김행곤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9D권6호
    • /
    • pp.1055-1062
    • /
    • 2002
  • 현재 교육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학습지도안 문서는 교육 정보의 체계적인 제공이 미흡하고 교수 개인이 모든 교수 활동에 필요한 지도안을 작성하는데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많은 추가적인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네트워크가 확산되어 사용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는 웹을 기반으로 한 학습지도안 작성이 더욱 요구되어 진다. 따라서, 웹에서 표준화된 XML을 이용하여 문서의 생성과 검색, 그리고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제공함으로써, 교수자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융통성 있게 수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지도안을 분석하여 공통 DTD(Document Type Definition)를 생성하고 공통 DTD를 통해 표준화된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문서를 제공한다. 시스템에서는 학습지도안을 쉽게 작성할 수 있는 에디터를 제공하고. 이미 작성된 학습지도안의 재사용성을 높이기 위해 검색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검색으로는 구조기반, 패싯, 키워드 검색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작성된 학습지도안은 데이타베이스와 연동되어 구현되어진다. 따라서, XML을 이용하여 학습지도안을 작성함으로써 웹 상에서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고, 웹에서 학습지도안을 바로 작성함으로써 시간과 비용이 절약될 수 있으며. 또한 보다 향상된 학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구성주의에 기반한 이용자교육 교수학습지도안 개발에 관한 연구: 공공도서관 어린이 이용자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esson Plan for User Education Based on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s: Focused on Children Using Public Libraries)

  • 박현정;박성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97-114
    • /
    • 2017
  • 본 연구는 이용자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공공도서관 어린이 이용자교육 교수학습지도안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수학습지도안 개발을 위해 문헌조사를 통하여 초등학교 3, 4학년을 이용자교육 대상으로 선정하고 이용자교육 내용으로 오리엔테이션 교육을 도출하였다. 교수학습지도안에 적용할 학습모형으로 학습자의 자발적이고 주체적인 교육 참여와 교수자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Jonassen의 구성주의 학습환경 모형을 선정하였다. 교수학습지도안 개발을 위해 먼저 구성주의 학습환경 모형을 분석하고 이용자교육에 적용하여 이용자교육 학습환경과 교수활동을 설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수학습지도안을 작성하여 유용성과 적합성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평가에서 제안된 사항을 반영하여 공공도서관 어린이 이용자교육 교수학습지도안을 개발하였다.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실과 수업 과정안 개발 (Development of Practical arts Subject's Lesson Plan for Creativity and Personality)

  • 박종선;최지연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65-182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창의 인성 함양을 위해 실과 수업 과정안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선행연구 및 관련 문헌을 기초로 하여 창의 인성교육 요소를 도출하였고 이를 반영하여 준비, 개발, 개선의 3단계를 거쳐 수업 과정안을 개발, 전문가 집단의 타당도 평가 후에 수정 보완하여 최종 수업 과정안을 완성하였다. 준비 단계에서는 현장 교사를 대상으로 요구분석을 하고 실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창의 인성과 관련된 활동 주제를 선정하였으며 개발 단계에서는 선정된 활동 주제를 중심으로 실과 교육내용과 연계한 소주제 및 학습 내용을 선정하여 수업목표를 진술하고, 수업 과정안을 설계하였다. 개선 단계에서는 개발된 수업 과정안에 대하여 전문가에 의한 타당도 검증 후 수정 보완하여 개발을 완료하였다. 개발된 수업 과정안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된 수업 과정안은 실과 교육내용을 기반으로 하며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창의 인성이 함양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개발된 수업 과정안은 프로젝트법을 적용하여 수업 설계를 하였으며 활동중심 수업이 되도록 하였다. 셋째, 수업 활동 내용은 '요리하는 사람 알아보기', '건강도시락 만들기', '퓨전음식 만들기', '채소 심고 가꾸기', '직접 키운 채소로 음식 만들기', '요리활동 전시회 열기'의 6가지 활동이며 12차시로 구성되어 있다. 넷째, 개발된 수업 과정안은 초등학교 정규 실과 교과 시간 및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과 연계하여 운영할 수 있다.

수업지도안 분석을 통한 수학교사의 수업설계역량(Pedagogical Design Capacity) 탐색 (Exploring Teachers' Pedagogical Design Capacity: How Mathematics Teachers Plan and Design Their Mathematics Lessons)

  • 김구연;전미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6권4호
    • /
    • pp.365-385
    • /
    • 2017
  • This study aims to explore mathematics teachers' pedagogical design capacity. For this purpose, we googled and collected 327 lesson plans for middle-school mathematics and investigated how mathematics teachers plan and design their mathematics lessons through the format and structures, objectives and mathematical tasks, anticipation for students' thinking, and assessment and technology use. The findings from the data analysis suggest as follows: a) all the lesson plans are structured in a very similar way; b) the lesson plans seem to be based on the textbooks exclusively, that is, the mathematical tasks and flow is strictly followed and kept in the lesson plans in the way the textbooks suggested; c) the lesson plans do not include any evidence of what teachers anticipate for students' thinking and would do to resolve the students' issues; and d) the lesson plans do not contain any specific plans to assess students' thinking processes and reasoning qualitatively, and not intend to use technology in order to promote effective teaching and meaningful understanding.

협동학습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및 협동학습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가정과 중2 식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Cooperative Learning Lesson Plan and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on Students` Self-esteem - Focused on the Food and Nutrition Section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

  • 이재복;김영남;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31-146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cooperative learning lesson plan for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class and to identify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on students\` self-esteem. The content of lesson was chosen from the food and nutrition section of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middle school. The main structure of the lesson plan stems from $\boxDr$Lesson Plan Guide of Structuring Cooperative Learning Lesson Plan for Teachers$\boxUl$ by D. Johnson. R Johnson and E. Holubec. Various kinds of references including media reading materials cooperative group activity reports and cooperative group activity checking lists were newly develope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lesson. Eight hour lesson plans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2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pre-test and post-test were taken to test the effect of Johnson\`s cooperative learning method on students\` self-esteem. Students at a Middle School located in Seoul were divided into two grouts, the three classes as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three classes as control group. The data were analyzed by ANCOVA using SPSS/WIN program. As a result, the hypothesis that the degree of self-esteem of the experimental group i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was adopted (P.(001). Among the sub-factors of self -esteem. the global self-esteem and the social-peer self-esteem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p.(001 each). but the school-academic self-esteem score was not different (p> .05) According to the post-experiment free-style report. student as a dynamic subject could get initiatives and interests in home economics class more effectively by cooperative learning. Therefore, it could be said that cooperative learning has positive effect on the promotion of students\` self-esteem and is considered to be a good teaching method of home economics subject.

  • PDF

예비교사와 경력교사의 수학 수업지도안에 대한 시선 차이 분석 (An Analysis of Gaze Differences between Pre-service Teachers and Experienced Teachers on Mathematics Lesson Plan)

  • 손태권;이광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3권1호
    • /
    • pp.1-2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와 경력교사가 수학 수업지도안을 읽고 이해하는 과정을 시선 추적(Eye-tracking)을 통해 분석하였다. 두 그룹의 시선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예비 교사들은 수학 수업지도안을 경력교사에 비해 어렵게 느끼고 있었으며 선조적인 방식으로 수학 수업지도안을 읽고 이해하였다. 반면, 경력교사들은 수학 수업지도안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핵심 주제어들을 찾아 연결성을 만들어가는 하이퍼텍스트 읽기 전략을 활용하였으며 수학 수업모형의 핵심 영역을 방문하는 시간이 유의미하게 길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들이 수학 수업지도안을 읽고 이해하는 역량을 지도할 때 숙고해야할 여러 시사점들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