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communities

검색결과 232건 처리시간 0.025초

Comunidades de Aprendizaje: Saberes y Habilidades Colectivas en Pequeños Productores Vinícolas del Noreste Mexicano

  • Lopez, Irma Eugenia Garcia;Garcia, Brianda Daniela Flores
    • 이베로아메리카
    • /
    • 제23권2호
    • /
    • pp.209-241
    • /
    • 2021
  • Over the last few years, rural areas in northeastern Mexico have present significant changes in social, economic, and territorial aspects linked to the New Rurality. In this context, winemaking has become one of the most dynamic and growing activities in the regional economy. This emerging development has prompted different forms of appropriation and use of this space, but it also highlights the lack of access to knowledge for wine production due to the lack of formal educational centers. As a result, learning communities enable the development of skills and competencies through non-formal educational practice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role of learning communities in non-formal educational environments, taking as a case study: a collective of small-scale wine producers in Parras de la Fuente, Coahuila. This research focuses on two perspectives of learning: appropriation and technology transfer, and promotion of Mexican wine culture. The main finding was to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including educational processes that respond to the context and needs of the community.

지식 커뮤니티 유형별 분류방법론 (Taxonomy of Knowledge Community and Its Effectiveness)

  • 이정승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9권4호
    • /
    • pp.167-181
    • /
    • 2010
  • Although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internet communities based on knowledge creation and learning. To do so, we created and tested our research model, by using selected 20 different knowledge communities. Using the K-Means Clustering techniques, we found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evaluated these characteristics by the criterion. The results of discriminant analysis suggested 4 different models such as 'Search Engine,' 'Open Communities,' 'Specialty Communities,' and 'Activity Commun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it can cover some reasons for development process of knowledge communities and that it can also create a strategic framework for practical use of knowledge communities.

Pattern Recognition of Long-term Ecological Data in Community Changes by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Chironomids in a Polluted Stream

  • Chon, Tae-Soo;Kwak, Inn-Sil;Park, Young-Seu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2호
    • /
    • pp.89-100
    • /
    • 2000
  • On community data. sampled in regular intervals on a long-term basis. artificial neural networks were implemented to extract information on characterizing patterns of community changes. The Adaptive Resonance Theory and Kohonen Network were both utilized in learning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in the Soktae Stream of the Suyong River collected monthly for three years. Initially, by regarding each monthly collection as a separate sample unit, communities were grouped into similar patterns after training with the networks. Subsequently, changes in communities in a sequence of samplings (e.g., two-month, four-month, etc.) were given as input to the networks. After training, it was possible to recognize new data set in line with the sampling procedure.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with these learning processes, patterns of community changes in chironomids diverged while those of the total benthic macro-invertebrates tended to be more stable.

  • PDF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사 커뮤니티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eacher Community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 권나영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215-225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의 커뮤니티에 관한 이전 논문들을 살펴봄으로써 수학교육 연구 에 기여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교사 커뮤니티들, 예를 들어 스터디 그룹, 비디오 클럽, 일본의 수업 연구 등을 다룬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교사 커뮤니티는 교사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연구되기 시작했고, 실제로 교사들의 전문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들이 많이 존재한다. 선행 연구들을 통해 우리나라에서도 교사 커뮤니티를 통한 연구가 필요하며 교사 연수 등에 커뮤니티를 활용하는 방안 등을 찾아야 한다는 것을 제안한다.

  • PDF

Detection of Political Manipulation through Unsupervised Learning

  • Lee, Sihyu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3권4호
    • /
    • pp.1825-1844
    • /
    • 2019
  • Political campaigns circulate manipulative opinions in online communities to implant false beliefs and eventually win elections. Not only is this type of manipulation unfair, it also has long-lasting negative impacts on people's lives. Existing tools detect political manipulation based on a supervised classifier, which is accurate when trained with large labeled data. However, preparing this data becomes an excessive burden and must be repeated often to reflect changing manipulation tactics. We propose a practical detection system that requires moderate groundwork to achieve a sufficient level of accuracy. The proposed system groups opinions with similar properties into clusters, and then labels a few opinions from each cluster to build a classifier. It also models each opinion with features deduced from raw data with no additional processing. To validate the system, we collected over a million opinions during three nation-wide campaigns in South Korea. The system reduced groundwork from 200K to nearly 200 labeling tasks, and correctly identified over 90% of manipulative opinions. The system also effectively identified transitions in manipulative tactics over time. We suggest that online communities perform periodic audits using the proposed system to highlight manipulative opinions and emerging tactics.

중학교 1학년 수학교실에서의 배움공동체 교수·학습 방법 효과 분석 (The Effects of Teaching Based on a Learning-communities Approach to Mathematics in Middle School)

  • 김선혜;이봉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417-439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 수학교실에 도입한 배움공동체 교수 학습 방법의 효과를 수학성취도와 수학에 대한 태도의 두 측면에서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로 다른 중학교 1학년 각각 1개 학급을 선정한 후에 한 학기 동안 각각 배움공동체 교수 학습 방법과 교과서 기반 설명식 교수 학습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중학교 1학년 학생의 수학 성취도는 두 교수 학습 방법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수학에 대한 태도는 배움공동체 교수 학습 방법으로 학습한 학생이 교과서 기반 설명식 교수 학습 방법으로 학습한 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학에 대한 태도의 7가지 하위 영역 중에서 수학에 대한 호기심, 과제집착력과 의지, 창의적 사고, 수학 수업 참여 등의 4개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서비스 러닝: 환경문제를 다루기 위한 과학교육의 새로운 접근 (Service Learning: A New Approach in Science Education to Address Environmental Challenges)

  • 박병열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6권3호
    • /
    • pp.278-292
    • /
    • 2022
  • 서비스 러닝(service learning)은 최근 환경문제를 동반한 기후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새로운 교육적 접근으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국내 과학교육에서는 서비스 러닝에 대한 연구들이 부족하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관련 문헌들을 바탕으로 서비스 러닝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소개하고, 환경문제에 대한 과학교육의 새로운 접근 방법으로서 국내 과학교육 환경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 개념적 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비스 러닝과 관련하여 국내외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수집된 112편의 문헌들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Dewey의 경험학습에 뿌리를 둔 서비스 러닝의 이론적 배경을 소개하였고, 서비스 러닝을 학생들이 학습 내용과 관련된 구조화된 서비스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가 필요로 하는 도움을 제공하고, 그와 동시에 학문적 이해의 깊이를 더하며, 나아가 사회 구성원으로서 공동체 의식과 책임감을 함양하는 형태의 경험학습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환경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과학교육 환경에 적용하기 위한 서비스 러닝의 개념적 틀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틀은 서비스 러닝의 구성원을 학교, 학생, 지역사회로 구분하고, 지식, 경험, 그리고 비판적 성찰(critical reflection)을 통한 학습을 그 핵심요소로 제시하고 있다. 기후변화, 생물 다양성, 대기오염, 산림황폐화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환경문제를 다루기 위한 방안으로 우리나라 과학교육에서도 서비스 러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안된 서비스 러닝의 개념적 틀을 바탕으로 학교현장에서 지역사회 환경문제를 다루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적용하고 검증하는 연구들이 추가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수학교사의 정체성 형성 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실천공동체 이론을 중심으로 (Case study on identity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ers involved in learning community: Based on the theory of "Community of Practice")

  • 윤정은;권오남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8권1호
    • /
    • pp.1-26
    • /
    • 2024
  • 수학 수업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교사 연수 및 개별적인 노력의 한계가 보고되며, 대안적인 교사 전문성 체제로 학습공동체가 주목받고 있다. 학습공동체는 공동 목표를 바탕으로 상호 참여를 통해 수학 교과 내용, 교육학, 교육과정에 대한 레퍼토리를 형성하는 하나의 실천공동체(Community of Practice, CoP)이고, 따라서 교사들의 학습은 실천공동체 이론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고등학교 교사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수학교사들의 정체성 형성 과정을 실천공동체 이론을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성찰 저널, 협의록, 수업 영상 전사본의 귀납적 분석을 통해 수학교사들의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을 도출하였고, 참여 관찰 기록지를 토대로 개별 인터뷰를 진행한 후 이를 유형적으로 분석하여 각 수학교사의 정체성 형성 과정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수학교사는 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해 수학 교수·학습에 관한 실천 형성, 지속적인 반성과 성찰을 통한 교수 실행 개선, 공동체 몰입을 통한 함께의 가치 인식을 경험했고, 이 경험을 바탕으로 주변적 궤적, 내부지향 궤적, 내부자 궤적, 경계적 궤적, 외부지향 궤적 등을 보이며 다양하게 정체성을 형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공동체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시사점이 논의되었고 후속 연구가 제안되었다.

유아코딩교육에 관한 원장의 지지, 보육교사의 학습공동체 참여 및 코딩교육 실행 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The Effects of a Childcare Center Director's Support for Coding Education on the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s Participation in Learning Communities and the Intention to Implement Coding Education.)

  • 김보현;이홍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25-41
    • /
    • 2021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a director's support for coding education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on the participation of teachers in the learning community and the intention to implement coding educa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12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a structural model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Results: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infant teacher participation in the learning community between a director's support and infant teacher's intention to implement coding education positively mediates the director's support and infant teacher's intention to implement coding education. In particular, it was discovered that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coding-related learning communities had the greatest impact on infant teachers' intentions to implement coding education based on total effectiveness. Conclusion/Implications: The above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enhance the intention of infant teachers to implement coding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learning community related to coding education and encourage participation from infant teachers.

초등학교 정보화 지원시설의 규모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cale Calculation of Information Support Facility of the Elementary School)

  • 조병성;이호진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4권4호
    • /
    • pp.25-38
    • /
    • 2004
  • Schools have focused so far on a student-oriented education. As the roles of schools, however, have been increasingly emphasized in the information society, community-centered functions are now additionally required. Beyond simply allowing communities to utilize selected facilities, schools can conduct re-education programs for community residents and actively use their facilities for such purposes. As explained above, schools must continuously evolve to meet current needs and demands, such as by offering special classes and utilizing learning facilities in the elementary levels to promote learning in ever-changing societies. This study analyzed the functions of school facilities to communities, as well as the educational functions involved in teaching-learning processes, in light of the advent of a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Through analysis, the types of information facilities in elementary schools were derived. On the basis of such derived types, systematic and reasonable methods to estimate the scope were sugges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