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earning Satisfaction Factors

Search Result 505,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기본간호학 교과목 수강 간호대학생의 학습태도, 수업참여도 및 학습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earning Attitude, Class Particip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Fundamental Nursing Curriculum)

  • 강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4호
    • /
    • pp.289-297
    • /
    • 2018
  • 본 연구는 기본간호학 교과목 수강 간호대학생의 학습태도, 수업참여도 및 학습만족도 간의 관계 및 학습만족도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일개 간호학과 기본간호학 과목을 수강하는 2학년 173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17년 9월 1일부터 9월 8일까지 이루어졌다. 자료분석방법은 Pearson 상관관계분석,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간호대학생의 학습태도, 수업참여도, 학습만족도에서 공통적으로 전공 만족도, 학교 만족도, 교우관계, 직전 학기 성적, 기본간호학 흥미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학습만족도는 학습태도, 수업참여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간호대학생의 학습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으로는 수업참여도, 기본간호학 흥미, 전공 만족도로 총 변화량의 36%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전공 만족, 기본간호학 흥미, 수업참여도를 높이는 전략을 통해 학습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e-Learning 시스템의 성공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Exploring the Success Factors of the e-Learning Systems)

  • 이문봉;김종원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5권4호
    • /
    • pp.171-188
    • /
    • 2006
  •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Internet have had a dramatic effect on education method and individual life. Universities and companies we making large investments in e-Learning applications but are hard to pressed to evaluate the success of their e-Learning systems. e-Learning can be seen as not only one of Internet based information systems which can provide education services but also one of teaching-teaming methods which can implement self-directed teaming. This paper tests the updated model of information system success proposed by Delone and McLean using a field study of a e-Learning. The five dimensions - information quality, system quality, service quality, user satisfaction, net benefit - of the updated model are parsimonious framework for organizing the e-learning success metrics identified in the literature. Questionaires are collected from 107 students who are enrolling a e-learning class using online survey. The model is tested using SPSS and LISREL. The results show that information quality and service quality are significant predictors of user satisfaction with the e-Learning system but system quality is not. Also user satisfaction is found to be a strong predictor of the learning performance. This strong association between user satisfaction and teaming performance suggests that user satisfaction may serve as a valid surrogate for teaming performance. Empirical testing of the updated DeLone & McLean model should therefore be extended to cover a wider variety of systems.

  • PDF

헤어 살롱의 이러닝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Factors Influencing Performance of e-Learning in Hair Salons)

  • 정용희;김영희
    • 서비스연구
    • /
    • 제11권2호
    • /
    • pp.37-6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헤어살롱 서비스업에서의 이러닝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특히 이러닝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학습자 특성별로 파악하고, 이러한 영향요인은 이러닝 학습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경영성과에까지 영향이 미치는지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이러닝 학습 환경과 이러닝 만족의 관계에서의 가설 검증 결과, 이러닝 컨텐츠 품질수준이 높을수록 이러닝 만족도가 높아지고, 이러닝 지원 인프라 품질수준이 높을수록 이러닝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 요인의 조절 효과에 대한 가설 검정의 결과를 보면, 학습자 목표의식 수준에 따라 지원 인프라 품질의 이러닝 만족에 대한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났다. 하지만 학습자 목표의식 수준에 따라 컨텐츠 품질의 이러닝 만족도에 대한 영향력, 학습태도의 적극성에 따라 컨텐츠 품질의 이러닝 만족도에 대한 영향력 그리고 학습태도의 적극성에 따라 지원 인프라 품질의 이러닝 만족도에 대한 영향력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 검정 결과를 살펴보면, 이러닝 만족도가 높을수록 고객지향성이 높아지고, 이러닝 만족도가 높을수록 경영성과 기여도가 높아지며, 고객지향성이 높을수록 경영성과 기여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제 경과 경로를 규명하였다. 헤어살롱 서비스업 운영과 관련된 조직의 의사결정자에게 성공적인 교육시스템 도입 및 확장을 위한 실무지침을 제공하였다. 둘째, 이론적 배경에서 도출된 학습환경과 학습자들이 요구하는 학습 환경은 다르다.

Mediating Effects of Workplace Learning and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Convalescent Hospital Nurses

  • Woo, Chung Hee;Park, Ju 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0권4호
    • /
    • pp.141-148
    • /
    • 2021
  • This study was tried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workplace learning and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convalescent hospital nurses. Data were collected from 149 nurses working at one of 10 convalescent hospitals located in Korea's D region and between July 20 and August 12, 2019 and analyzed using SPSS 24.0. The mediating effects of workplace learning and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stress and job satisfaction were investigated by conduct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testing for significance based on bootstrapping p values. We found that workplace learning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and self-efficacy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convalescent hospital nurses. Exploring diverse factors and environmental features affecting job satisfaction in convalescent hospital nurses is highly relevant to clinicians, especially given the gradually increasing number of convalescent hospitals, changes during the era of technology fusion, and the strategic demands arising from an aging society.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한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Learning Satisfaction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on Online Non-face-to-face Classes during COVID-19 Pandemic)

  • 최미향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7권2_2호
    • /
    • pp.425-435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online non-face-to-face classes during COVID-19 pandemic. 138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C nursing colleges of C city in Gyungnam. Data was collected using a self-reported online-questionnaire from 5 January to 18 January, 2022.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WIN 27.0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Factor influencing learning satisfaction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on online non-face-to-face classes during COVID-19 pandemic were teaching presence(presence of teacher)(𝛽=.43, p<.001), instructional quality(content qualities)(𝛽=.41, p<.001), Satisfaction of nursing major(satisfaction)(𝛽=.13, p<.001). instructional quality(interface)(𝛽=.12, p=.036), which explained about 85.3% of total variance(F=192.78, p<.001).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class satisfaction in online non-face-to-face classes, it is necessary to operate classes that prioritize the presence of teacher so that learners can recognize and trust the presence of teacher by passionately professional performing. And, among instructional quality, we should be strengthen the usefulness of learning materials, content factors related to tests and assignments, and strive to improve satisfaction of nursing major.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d operate classes that fully consider the interface factors related to the manual composition and system convenience for online classes among the quality factors of classes.

e-러닝 사이트에서 서비스품질 결정요인, 고객만족 및 고객 e-로열티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e-Loyalty in e-Learning Site)

  • 김영렬;한대문;김종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146-16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e-러닝 사이트가 웹 사이트라는 특성을 고려해서 웹 서비스품질의 주요 요인을 추가로 도출하여 e-러닝 사이트의 서비스품질 결정요인을 구성하고,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 및 고객 e-로열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형성, 신뢰성, 반응성, 사용편리성, 개인화 요인이 고객만족 및 고객 e-로열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른 결과를 토대로 e-러닝 사이트 운영자가 고객만족 및 고객 e-로열티 형성을 위해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인들과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원격대학원생의 성별차이에 따른 학습만족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for Learning Satisfaction Based on Gender in Online Graduate University Settings)

  • 김믿음;임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4호
    • /
    • pp.33-42
    • /
    • 2016
  • 본 연구는 원격대학원생들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학습 만족요인(콘텐츠, 시스템, 상호작용, 교수자이미지, 교수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원격대학원에서 강좌를 수강한 원격대학원생 8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그 중 유효한 64개의 응답에 대해 SPSS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5개의 학습만족요인 중 상호작용요인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연구 결과의 원인을 분석하고 향후 방향에 대한 논의 및 시사점 등을 기술하였다.

사이버대학생이 인식하는 모바일러닝 만족도의 영향요인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차이 분석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Influential Factors on Students' Mobile Learning Satisfaction)

  • 주영주;정보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484-496
    • /
    • 2013
  • 다양한 모바일 기기의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모바일러닝의 확산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대학생을 대상으로 모바일러닝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요인에 대하여 학습자들이 인식하는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살펴보고, 이들 간의 격차를 줄일 수 있는 실천전략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모바일러닝 학습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시스템, 콘텐츠, 서비스, 사용, 성과의 다섯 요인을 선정하고, 모바일러닝 학습자 213명을 대상으로 학습자들이 인식하는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t-test 결과 모든 요인과 항목에서 중요도에 비해 실행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IPA(중요도-실행도 분석) 결과 시스템 요인이 가장 시급하게 개선되어야 할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모바일러닝 학습자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 보다 용이하고 안정적인 시스템 확보가 시급함을 시사한다.

르완다 고등교육기관 학생들의 e-러닝 만족도 및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 연구 (Key Factors Affecting Students'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Use e-Learning in Rwanda's Higher Education)

  • ;황기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5호
    • /
    • pp.99-108
    • /
    • 2019
  • 본 연구는 e-러닝 시스템의 채택과 사용에 대한 사용자들의 의사결정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들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르완다의 고등 교육 기관에서 네 가지 독립 요인이 학생들의 e-러닝 시스템 만족도와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UTAUT와 IS 성공 모델을 통합한 새로운 연구모형을 제안했다. 연구모델에 입각하여 설문지를 작성하고 르완다 대학교와 개신교 사회과학원 학생들의 설문조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206개의 실증적 데이터가 수집되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사회적 영향을 제외한 성과기대, 노력기대, 촉진 조건 등 3개 요인은 e-러닝 시스템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 및 사용 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대학 관리자가 학생들의 e-러닝 채택 및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들을이해하고, 이들연구결과를르완다고등교육기관의 e-러닝 프로젝트 설계 및 추진 계획 수립에 반영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는 르완다 정부가 학생 니즈 중심으로 올바른 e-러닝 교육정책을 수립하고 적절한 자원 배분을 계획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코로나 19 (COVID-19)로 인해 온라인 전공 수업을 경험한 보건계열 대학생의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Learning Flow of Health Science Students Taking Online Classes due to COVID-19)

  • 구상미;강문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9호
    • /
    • pp.81-89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19(COVID-19)로 인한 온라인 전공 수업이 학업스트레스, 학습 만족도,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보건계열 전공자 129명으로 2020년 11월 15일부터 2020년 12월 22일까지 설문지를 통해 수집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학업스트레스는 학습만족도(r=.-78, p<.001), 학습몰입(r=.-70, p<.001) 간에 음의 상관관계를, 학습만족도는 학습몰입(r=.71, p<.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온라인 수업 시 과제 분량, 지난 학기에 이수한 온라인 실습 교과목의 수. 학업스트레스와 학습만족도는 학습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전체 설명력은 61.0%로 나타났다. 따라서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업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한 전략과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