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Motive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3초

성인의 학습특성과 평생학습 참여동기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지혜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Adult Learning Characteristics and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on Learning Outcomes: Mediating Effect of Wisdom)

  • 노유석;송선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389-40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의 학습특성과 평생학습 참여동기 그리고 지혜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학습특성과 평생학습 참여동기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혜의 매개효과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서울, 인천, 경기도 지역에서 평생학습에 참여하였거나 참여하고 있는 20세에서 69세 이하의 성인학습자 4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특성, 평생학습 참여동기, 지혜, 학습성과 간의 관계를 살펴 본 결과, 모든 변인 간 상호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특성, 평생학습 참여동기, 지혜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학습성과에 영향력을 가장 많이 미치는 변인은 학습가치였으며, 그 다음으로 인지적 역량, 활동지향 동기, 학습지향 동기, 긍정적 인생태도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특성과 평생학습 참여동기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혜의 매개효과를 살펴 본 결과, 학습특성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혜가 완전매개 효과가 있었고, 평생학습 참여동기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혜는 부분매개 효과가 있었다. 이와 같이 성인의 학습특성과 평생학습 참여동기가 지혜를 매개로 학습성과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평생교육 현장에서 학습특성과 평생학습 참여동기를 고려하여야 하며, 지혜는 학습성과를 높이는데 중요한 변인이므로, 지혜와 관련한 학습환경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코넬식 수학노트 활용 수업의 교육 효과 분석 (An Analysis on the Educational Effects of Cornell-note method in Teaching Elementary Mathematics)

  • 원효헌;손영종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1호
    • /
    • pp.233-245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motive in mathematics class by use of Cornell-note method at an elementary school. Thus, Cornell-mathematic note is designed for the experiment in order to recognize the effects how the Cornell-note influences students'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motive.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for 13 weeks and the target was 28 students. The group was consisted of 6rd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usan. To see the effects of Cornell-note method after experiment, post-test was carried out about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mot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est about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motive.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motive in mathematics were improved after Cornell-note applied. Improvement of learning motive caused progress of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class. The Cornell-note way is not appropriate, however, to reinforce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and to attract students' interest. Therefore, systematic symbol is necessary and consider about adoption of story-telling way.

학습동기향상프로그램이 학습부진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습관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Learning Motive Enhancing Program on Academic Self Efficacy, Learning Habits, and Self Esteem in Underachieve Nursing College Students)

  • 이성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12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learning motive enhancing program on academic self efficacy, learning habits, and self esteem in underachieve nursing college students. Method: This study was an one group pre and post test design. Underachievers in nursing college (n=38) were participated. Learning motive enhancing program was carried out for 110 minutes a week for 8 weeks. Academic self efficacy was measured by an academic self efficacy scale developed by Kim ae young & Park in young in 2001. To assess learning habits, the learning habits measurement scale developed by Kim young jin was used. Self esteem was measured by Rosenberg's self esteem scale. Result: After completing the learning motive enhancing program, significant improvement was found in learning habit and self esteem. As for sub-factors, efficacy for self confidence among academic self effica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fter treatment. Conclusion: Learning motive enhancing program appears to be effective in increasing learning habit and self-esteem of underachievers in nursing college students.

  • PDF

중년기 기혼 여성의 학업동기 유형과 심리적 복지 - 방송대 재학생을 중심으로 (The Learning Motivation Typ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 Married Women - Focused on the Students in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 박지선;성미애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3호
    • /
    • pp.53-64
    • /
    • 2008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arning motive types and degree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 married women attending the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the types of learning motives. For these purposes, a survey was conducted to 263 middle-aged married women from 36 to 60 at the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learning motive types of middle-aged women could be classified into 3 types; a non-oriented type, an activity and goal-oriented type and a multi-oriented type. A multi-oriented types were the most popular among those. Second, the overall level of self-respect was above the median, but the life satisfaction level was below the median. Third, there was difference in their self-respect level according to the learning motive types. That is, students who had a multi-oriented learning motive were higher self-respect level than those who had an activity and goal-oriented learning motive. Therefore, lifelong education is very significance in these days when average life span is prolonged.

이러닝 학습자들의 사회비교동기 유형에 따른 EngageGram이 학습참여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EngageGram on e-Learning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Learners' Social Comparison Motive)

  • 진성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652-661
    • /
    • 2015
  •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사회비교동기 유형에 따라 이러닝 참여도 동기부여자인 EngageGram이 학습자들의 이러닝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에 참여한 학습자들은 A대학교 '창의적 사고' 교과목을 수강한 144명(남: 106명, 여: 38명)이다. 학습자들의 사회비교동기는 사회비교동기 척도를 활용하는 방법과 학습자들이 이러닝 학습상황에서 EngageGram을 보고 든 느낌이나 생각을 적도록 한 의견을 분석함으로써 사회비교동기 유형을 구분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비교동기 척도를 활용한 경우, 학습자들의 사회비교동기 수준과 이러닝 참여도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러닝 학습맥락에서 수집한 학습자들의 의견을 분석함으로써 도출한 사회비교유형에 따른 이러닝 참여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은 학습상황에서 대체로 자기보다 참여도가 높은 학습자들을 비교대상으로 선정함으로써 참여동기가 촉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학습분석연구 분야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하리라 기대된다.

Factors of Korean Students' Achievement in Scientific Literacy

  • Shin, Dong-Hee;Ro, Koog-Hyang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893-905
    • /
    • 2001
  • Korean students ranked the 3rd out of 32 participating countries in the first cycle of PISA(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science field, which assessed 15-years-old students' scientific literacy. PISA developed several variables such as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parents' educational attainment, family wealth, and cultural possessio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ackground variables on scientific literacy. On the other hand, motivation and engagement in science study were not given much attention, partly because science was the minor area in the first cycle of PISA. Therefore, PISA Korea developed a series of variables to collect data on students' learning motives and out-of-school activities in science as a national op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Korea was found to be one of the PISA participating countries with the scientific literacy achievement least influenced by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family wealth, and parents' cultural possession. Second, the degree of achievement in scientific literacy according to parents' educational attainment was in a positive correlation, similar to the overall tendency of PISA. Third, the most crucial learning motive for Korean students was their desire to develop scientific thinking abilities or obtain science knowledge. On the other hand, choosing jobs in the field of science or parental expectation was the least important learning motive. In particular, the motive for scientific learning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degree of scientific literacy achievement. Therefore, the higher the students achievement, the stronger the motive for scientific learning in order to develop their ability to think scientifically or acquire science knowledge. Fourth, Korean students were shown to participate very little in out-of-school scientific activities other than watching TV programs related to science. Whatever the activities may be, the more actively involved students are in out-of-school scientific activities, the higher their scientific literacy achievement. Fifth, Korean girls were rather passive compared to boys in all areas, including science learning motive and out-of-school scientific activities. The gender difference was especially more pronounced in out-of-school scientific activities with wider gaps in such activities as reading scientific books or articles and visiting science-related web sites.

  • PDF

사회적 상호 작용을 강조한 초등 과학 수업이 메타인지, 과학 학습 동기,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lementary Science Lessons Emphasizing Social Interactions on the Metacognition, Learning Motive and Academic Achievement)

  • 배진호;옥수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8권4호
    • /
    • pp.519-528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al interaction on metacognition, learning motiv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elementary science learning. The science lessons emphasizing social interactions that is applied to this study was comprised of 5 stages, 'introduction', 'inquiry activity', 'small group emergent activity', 'large group emergent activity', 'conclusion and assess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pplying the learning model emphasizing social interaction to the experimental group led to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 of the pre- and post-test, regarding metacognition, especifically those of declarative knowledge. And meaningful difference was drawn from the results of all elements in the lower category of regulation of cogni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mparison group. Seco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pre- and post-test regarding learning motive, especially those of attention, relation, and self-confidence. Third, after applying the learning model emphasizing social interaction to the science classes of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mproved significantly in the post-test, compared to the results of pre-test.

  • PDF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동기가 교육만족도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ypes of Participation Motive to Life-long Education on Education Satisfaction and Perception Degree to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 전명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5호
    • /
    • pp.235-246
    • /
    • 2014
  • 본 연구는 평생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들의 교육참여동기유형과 교육만족도 그리고 성공적 노화 간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충청남도 천안시에 소재한 노인 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414부를 이용하여 t-test, ANOVA, 그리고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평생교육참여동기는 활동지향동기, 목표지향동기 그리고 학습지향동기로 분류되었다. 둘째, 교육만족도에는 학습지향동기가 정(+)의 영향을 미쳤고 셋째, 성공적 노화에는 활동지향동기와 학습지향동기가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교육만족도와 성공적 노화간의 관계에서는 교육만족도가 성공적 노화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 PDF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학습전략 검사결과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Learning Strategies between Mathematical Gifted Children and Averag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 김유미;류성림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17-239
    • /
    • 2010
  • 본 연구는 영재교육의 최근연구 경향과 요구를 반영하는 것으로 초등수학영재들과 일반학생들 사이의 학습전략을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수학영재들이 일반학생보다 학습동기와 자아효능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인지 초인지전략 및 자원관리전략의 활용도 매우 높게 나타났다. 둘째, 수학영재의 경우 성별에 따라 자원관리전략에 있어서 차이를 나타내며, 일반학생은 성별에 따라 학습동기에서 차이가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영재교육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학습동기 및 자아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수학영재는 학습 동기, 자아효능감, 인지 초인지전략, 자원관리전략 사이의 높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며, 일반학생의 경우도 인지 초인지전략과 자원관리전략 사이의 상관관계는 없으나, 학습동기, 자아효능감, 인지 초인지전략, 자원관리전략 사이에서 모두 높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학습참여동기가 서번트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과 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 교회 가정사역 프로그램 참여자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Learning Participation Motive Effect on Servant Leadership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nse of Community : Focused on Church Family Ministry Program Participants)

  • 이추강;김종표;홍미경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4권
    • /
    • pp.173-202
    • /
    • 2020
  • 본 연구는 교회 가정사역 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참여동기가 서번트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과 공동체 의식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먼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구조모형을 구성하였다. 구조모형 검증을 위해 전국의 교회 및 단체에서 실시하는 교회 가정사역에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부부를 대상으로 배포한 설문지 700부 중 607부를 대상 자료로 수집하였다. 자료수집은 교회 가정사역 이후 학습참여동기, 서번트 리더십, 공동체 의식을 설문지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학습참여동기에 대한 서번트 리더십의 영향과 공동체 의식의의 구조적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구조적 모형이 타당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에 학습참여 동기 가운데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의 영향을 공동체 의식이 매개하여 서번트 리더십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서번트 리더십의 영향을 공동체 의식이 매개하는 경로가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에 교회 가정사역을 운영할 때, 참여자들의 내재적 참여동기와 외재적 참여동기를 고려하여 공동체 의식을 조절한다면 학습참여동기의 수준을 조절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