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Goals

Search Result 664,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SSI 교사모임의 특성과 교사 전문성 발달과의 관련성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SSI Teachers' Community and Development of Teacher Expertise)

  • 정행남;유선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431-44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SSI 교수 경험이 많은 교사들의 SSI 교육에 대한 인식변화를 가져온 K교사모임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것이 참여 교사들의 SSI 교수 전문성 발달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에 대해 탐색하는데 있다. 20여년 간 SSI 교육 활동에 대한 경험이 많은 6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하여 그들이 활동하고 있는 K교사모임의 특성을 심층적으로 서술한 사례연구이다. K교사모임은 크게 세 가지 특징을 나타냈다. 첫째, K교사모임은 과학기술의 본성에 대한 논의와 과학교육의 목표에 대한 공통된 지향 형성을 통해 정체성을 형성해 나갔다. 둘째, K교사모임의 참여 교사들은 SSI의 다양한 실천을 통해 지속적으로 생산하고 이를 공유하고 확산하는 과정에서 SSI 교수에 대한 전문성과 자신감을 형성하였다. 셋째, K교사모임은 외부공동체에 대한 개방성과 연대의식을 통한 공진화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하고 있다. 이러한 SSI 교사모임의 특성에 따라 정책적으로 교사공동체의 지원이 필요하다.

균형성과표(BSC)개념을 적응한 학교급식 운영성과 측정지표 개발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icators Based on Balanced Score Card for School Food Service Facilities)

  • 곽동경;장혜자;송지영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905-919
    • /
    • 2005
  • This study raise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performance indicators for measuring the management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school food service, and as a means of helping its implementation, a balanced score card (BSC) approach developed by Norton and Kaplan was adopted. This study established BSC in seven phases through literature: Phase 1 Defining a school food service and the scope of working activities, Phase 2 Establishing the vision of a school food service, Phase 3 Setting strategic goals, Phase 4 Identifying critical success factors (CSFs), Phase 5 Developing Key Performance Indicators (KPIs), Phase 6 Extracting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and Phase 7 Completing a preliminary BSC. The preliminary BSC was fumed into a survey, which was administered to food service related people working at the Office of Education and School Food Service including 16 offices,209 dietitians, 48 school administrators both from self-operated and contract-managed, and 9 experts in areas related to school food service. They were asked questions about strategies from 4 different perspectives,12 CSFs, 39 KPls, and the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s among them. As a result, among the CSFs based on 4 different perspectives, all factors other than ' zero sum on profit/loss ' from the financial perspective turned out to be valid. In terms of KPIs, manufacturing cost percentages, casualty loss count/reduction rates, school foodervice participation rates, and sales goal achievement rates were found to be valid from the financial perspective, while student satisfaction index, faculty satisfaction index, leftover ratio, nutrition educational performance count, index of evaluating nutrition education, customer claim count/reduction rate, handling customer claim count/reduction rate, and parent satisfaction index were found to be valid from the customers' perspective. Besides, nutritional requirement sufficient ratio, nutritional management score, food poisoning outbreak count, employee safety accident count, sanitary inspection assessment index, meals per labor hour (productivity index), computerization ratio, operational management index, and purchase management assessment index were also found to be valid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l business processes. From the perspective of innovation and learning, employee turnover ratio/rate of absenteeism, annual education and training count, employee satisfaction index, human resource management assessment index, annual menu-related customer feedback, food service information index for employees and parents/schools were also found to be vali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indices for measuring overall performance of school lunch food service operations without putting any limitation on types of school food service management, and to help correctly assess the contribution of the current types of school food service management to schools and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0(6) : $905\∼919$, 2005)

읽기부진아를 위한 체험형 독서프로그램 설계 - 방법 및 효과 - (A Design of Experience-based Reading Program for the Struggling Readers: Methods and Effects)

  • 김수연;강정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57-180
    • /
    • 2012
  • 이 연구는 생각과 경험이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읽기 체험 활동을 통해 읽기부진아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체험형 독서프로그램을 설계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 연구를 통해 설계한 체험형 독서프로그램을 적용했을 때 연구 대상자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실제로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읽기부진아를 위한 체험형 독서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교수설계의 ADDIE모형에 따라 그림책을 활용하여 체험형 독서프로그램을 설계하였으며, Kolb의 나선형 체험학습 단계를 체험형 독서프로그램의 장면에 적용하였다. 체험의 과정을 통하여 정서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학습경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심의 증대 ${\rightarrow}$ 구체화 ${\rightarrow}$ 명료화의 흐름을 제공하였다. 둘째, 읽기부진아를 위한 체험형 독서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연구대상자의 사전사후 검증 결과, 전체 자아존중감 점수가 향상되었고, 하위요인별로 학업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는 읽기부진아를 위한 사회적 환경과 독서 환경 즉, 적절한 독서프로그램이 도서관에서 제공되고 이를 제도화시켜 지속적으로 지원한다면, 읽기부진아의 독서태도를 신장시켜 독서습관을 형성하고, 독서를 통한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국판 통계에 대한 태도 검사(K-SATS) 타당화 (Validation Study of Korean Version of Survey of Attitudes Toward Statistics(K-SATS))

  • 이현숙;전수현
    • 응용통계연구
    • /
    • 제22권5호
    • /
    • pp.1115-1129
    • /
    • 2009
  • 전통적으로 대학에서 개설되는 통계학 강좌의 지향점은 통계적 지식과 기술의 습득 여부에 주된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 통계에 대한 태도와 같은 비인지적 요인이 통계학 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통계 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의 함양이 통계 지식 및 기술의 습득 못지않게 중요한 통계학 강좌의 과제로 부각되었다. 이에 해외에서는 통계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는 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나 국내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계에 대한 태도를 가장 타당하게 측정하고 있다고 평가되고 있는 SATS-36(Survey of Attitudes Toward Statistics-36; Schau 등, 1995)을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특성에 맞게 수정한 한국판 통계에 대한 태도 검사(K-SATS)를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예비분석 결과 원척도의 6요인이 아닌 흥미, 가치, 인지적 역량, 용이성, 노력의 5요인 구조가 한국 학부생 및 대학원생들에게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검사 분석 결과 K-SATS의 신뢰도와 구인타당도가 확인되었다. 또한 K-SATS의 전체 혹은 하위 척도별 점수에서 성별, 강좌 수준, 학위 과정, 전공 계열에 따라 학생들의 통계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국판 통계 태도 검사가 추후 연구와 교수방법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초등학생 부모의 분노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 Parent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Anger Control Ability of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 이재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668-685
    • /
    • 2016
  • 부모가 분노를 잘 조절하지 못할 경우 자녀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부모에게는 분노조절 능력이 매우 필요하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 부모를 대상으로 분노조절 능력을 향상시켜 부모 역할 수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프로그램의 개발은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과정을 거쳤다. 분석 단계에서는 관련 문헌을 고찰하여 분노조절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알아 보았다. 설계 단계에서는 차시별 학습 목표를 설정하였으며 그에 따라 교육내용을 선정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1차 2시간씩 8차의 교육활동을 구성하고 전문가로부터 내용 타당성을 검토 받았다. 실행 단계에서는 주 1차씩 8차에 걸쳐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평가 단계에서는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여 내용을 보완하였다. 프로그램의 평가는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을 병행하였다. 양적 방법은 사전 사후 비교를 통해 검증하였으며 Wilcoxon Signed Ranks Test로 분석하였다. 질적 방법은 질문지와 면담 방법을 이용하였다. 프로그램 시행 후 참여자들의 사전 사후 비교분석 결과 부모들의 분노조절 능력, 부모효능감 모두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 이는 참여자들이 프로그램 참여 후 직접 기술한 질적 평가내용에서도 확인되었다. 끝으로 연구자는 본 프로그램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병원 간호조직문화 규명을 위한 연구(I);조직문화 개념에 대한 문헌고찰 (A Study for Examine into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I);Review of the Literature about the Concept of Organizational Culture)

  • 김문실;한수정;김정아;박현태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89-105
    • /
    • 1998
  • Modern organizations, both complicated and complex, operate in an economic climate of· turbulence and rapid change. And Today's healthcare environment is changing, driven by demographic, environmental. social, political and technological forces. In actual practice, the organization usually depend on several factors such as economic state of organization, managerial strategies, a synthesis of several theories that reflect individual biases, specific circumstances, and practical realities. These rapidly changing healthcare environment and professional nursing practice need a strategy for the organizational development and goal attainment. An understanding of organizational culture could help managers enhance or expand their management strategy, thus increasing the probability of their success in the organization. Organizational culture is an abstract, yet potent managerial concept. With roots in several disciplines, several perspectives and definitions of organizational culture have emerged. The concept of organizational culture has been rapidly introduced into the academic and organizational world, with the much attention to the excellent companies that have continued rapid grow th despite the overall world economic recession in the late of 1970s. Organizational culture is the combination of the symbols, language, assumptions, and behaviors that overtly manifest an organization's norm and values. It is the taken-for-granted and shared meanings people assign to their social surroundings that can have a profound effect on an organizaitonal decision making and performance. For attaining a organizational goal and developing organization, it is necessary to put emphasis on developing organizational culture. It has to set organizational culture well understood by its members as an instrument to achieve the organizational goals. Both Manager and staff can focus and act on the values identified. Also, managers will exhibit better decision making capabilities because they are guided by perception of the organizational values. Therefore, understanding of organizational culture could give a strategy for organizational development that assist hiring personnel, orienting new comers, facilitating organizational change and promoting learning and so on. But their is few study on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in Korea. Moreover they have not had a clear definition of Korean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ay down definition of Korean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fine out real factor of Korean nursing culture. For defining a definition of Korean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this study assessed several definitions of organizational culture, factors of culture, types of culture, and functions of culture through book review.

  • PDF

웹 기반 학습에 있어서 공간 지각력과 정보제공 창의 형태 간의 관계 분석 (A STUDY OF SPATIAL ABILITY AND WINDOW PRESENTATION STYLES IN WEB-BASED INSTRUCTION)

  • 임연욱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649-659
    • /
    • 2005
  • 공간적 표현에 대한 지식은 공간적 배열의 특징과 그 특징들 사이의 관계를 그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인지하는 방식과 연관이 있는 바, 본 연구에서는 웹기반 교육에 있어서 두 가지의 정보제공 창의 형태(타일창, 단일창)를 학습자의 공간지각력과 연관지어서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공간지각력과 정보제공 창의 형태에 대한 상호작용을 학생들의 인지적 지식의 습득도를 통해 조사, 연구하기 위해 미국 펜실베니아 주의 Falk School에 재학 중인 71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공간지각력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두 실험 집단으로 나누어 과학내용에 관한 웹기반 수업을 실시하였다. 사후검사를 통해 학생들의 인지적 지식의 습득도가 측정되었고 이는 다변량 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한 바에 의하면, 공간 지각력은 사후 검사 점수에 명백하게 통계적으로 유의한 주효과를 보였다. 이 같은 결과는 전체표본과 부표본에서 모두 나타났다. 웹 기반 학습에서의 아동들의 인지적 지식의 습득도는 그들의 공간지각력과 정(+)의 관계가 있으며, 공간지각력과 정보 제공 창의 형태 사이에 상호 작용의 패턴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웹 기반 학습에 있어서 공간지각력이 낮은 학생들은 타일창에서 인지적 지식의 습득도가 더 높게 나타났고 공간지각력이 높은 학생들은 단일창에서 인지적 지식의 습득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 PDF

진로교육 집중학년·학기제에서 진로개발역량 강화를 위한 교과통합 진로교육 방안 연구 - 2015 개정 기술·가정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ubjects-integrated Career Education to Improv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in a Career Education Intensive Semester & Grade System: Focusing on 2015 Revised Technology & Home Economics Curriculum)

  • 김서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5-84
    • /
    • 2017
  • 본 연구는 진로교육 집중학년 학기제에서 진로개발역량 강화를 위한 가정교과통합 진로교육을 활성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진로교육 집중학년 학기제에서 교과통합 진로교육의 동향, 고등학교 가정과 성취기준과 진로개발역량과의 관계 분석 및 가정교과통합 진로교육 방안을 탐색하고, 수업 사례를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교육 집중학년 학기제에서 교과통합 진로교육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운영에 미흡한 점이 많다. 이에 2015 개정교육과정의 적용과 진로교육 집중학년 학기제의 확산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교과통합 진로교육을 위한 체계적인 준비가 요구된다. 둘째, 가정교과 3개 영역의 모든 성취기준은 진로개발역량과 관련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가정교과는 학교 진로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고, 미래 인재로서 갖추어야 할 진로개발역량을 길러주는 핵심적인 교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진로개발역량 강화를 위해 교육과정-교수 학습-평가의 연계를 중심으로 가정교과통합 진로수업 사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개발된 수업 사례를 현장에 적용하지 못해 그 효과를 확인하지 못한 것이다. 하지만 본 연구는 가정교과와 진로교육의 통합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진로교육 집중학년 학기제에서 가정교과의 진로교육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Habermas의 세 행동체계를 융합한 초·중·고등학교 가정교과 식생활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of Dietary Life Curriculum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Home Economics that Integrated Habermas's Three Systems of Action)

  • 최성연;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17-139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 행동체계를 융합한 초·중·고등학교 가정교과 식생활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를 개발하여 가정교과에서의 융합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문헌 고찰을 통해 세 행동체계를 융합한 초·중·고등학교 식생활 교육과정의 특징, 개발의 중점사항, 핵심역량, 목표를 도출하였고, 국내외 식생활교육 문헌, 국내외 가정과교육과정과 교과서를 고찰하여 항구적 문제와 하위 실천적 문제를 설정하고, 내용 요소를 선정하였다. 개발된 교육과정의 내용체계가 타당한지 전문가 타당도 검사를 하여 수정·보완하였고, 세 행동체계를 융합한 중학교 가정교과 식생활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개발하였다. 세 행동체계를 융합한 초·중·고 가정교과 식생활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는 실천적 문제를 중심으로 되어있으며, 항구적 문제는 '건강한 식생활을 실천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이다. 이 교육과정의 영역은 5가지로 '건강과 식생활', '식단계획', '식품 구매와 관리', '조리', '식사'이며, 이 영역이 '개인과 가족', '사회'로 교육과정의 범위가 반복적으로 확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5개 영역의 실천적 문제는 초·중·고등학교 급별, 두 차원(개인과 가족, 사회)으로 10개씩의 실천적 문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계열화의 원리가 적용되어 실천적 문제와 내용 요소가 나선형적 계열화가 되어있다. 이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를 우리나라 2015 초등학교 실과와 중·고등학교 기술·가정과, 가정과학 교육과정의 식생활 영역 성취기준 및 학습 요소와 비교한 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을 모두 포함하면서 더 추가된 내용이 있었다.

집중방식이 이중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ttentional Focus on the Performance of Dual Task)

  • 노정석;이충휘;조상현;전혜선;권혁철;김택훈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19
    • /
    • 2008
  • Studies of attentional focus effects, have shown that the performer's attentional focu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erformance and learning of motor tasks. We examined the influence of attentional focus on the performance of dual tasks (a postural task and a suprapostural task) and used electromyography (EMG) to examine whether the differences between external and internal focus were also manifest at the neuromuscular level. The subjects (n=40) stood on a balance board (postural task) and held a bar horizontally (suprapostural task). All of the subjects performed under different attentional focus conditions: external (balancer on balance board) or internal (feet) focus on the postural task, and external (balancer on bar) or internal (hand) focus on the suprapostural task. The mean displacement velocity of the bar and the percent reference voluntary contraction (%RVC) of the biceps brachii were reduced when the subjects adopted an external focus on the suprapostural task (p<.05). In addition, the mean displacement velocity of the balance board and %RVC of the tibialis anterior were reduced when the subjects adopted an external focus on the postural task (p<.05). When the subjects adopted an external focus on the suprapostural task, the mean displacement velocity of the balance board and %RVC of the tibialis anterior were also reduced (p<.05). When the subjects' attentional focus was on the postural task,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mean displacement and %RVC of the biceps brachii between attentional focuses. The performance of each task was enhanced when subjects focused on the respective task. The suprapostural task goals had a stronger influence on postural control than vice versa. These results reflect the propensity of the motor system to optimize control processes based on the environmental outcome, or movement effect, that the performer wants to achiev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