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Disease

검색결과 1,083건 처리시간 0.03초

Leaf Spot of Rhubarb Caused by Didymella rhei in Korea

  • Lee, Gyo-Bin;Mo, Young-Moon;Cho, Weon-Dae;Kim, Wan-Gyu
    • 한국균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555-560
    • /
    • 2021
  • During disease surveys conducted from 2019 to 2021 in Korea, leaf spot symptoms in rhubarb (Rheum rhabarbarum) plants were frequently observed in plants growing in fields located in Cheolwon, Taebaek, and Inje in Gangwon Province. The incidence of diseased leaves of the plants in the fields ranged from 2% to 80%. Nine single-spore isolates of Phoma sp. were obtained from lesions of the diseased leaves; all of them were identified as Didymella rhei based on their cultural,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Three isolates of D. rhei were tested for pathogenicity on rhubarb leaves using artificial inoculation. All the tested isolates caused leaf spot symptoms in the inoculated plants; the symptoms were similar to those observed in plants from the fields investigated. This is the first report of D. rhei causing leaf spot in rhubarb in Korea.

Stem and Leaf Rot of Tomato Caused by Boeremia linicola

  • Lee, Gyo-Bin;Oh, Taek-Hyeon;Ryu, Jae-Taek;Kim, Wan-Gyu
    • 식물병연구
    • /
    • 제28권2호
    • /
    • pp.108-111
    • /
    • 2022
  • In December 2020, stem and leaf rot symptoms in small-fruited tomato (Solanum lycopersicum) plants were observed in a farmer's vinyl greenhouse located in Pyeongtaek, Gyeonggi Province, Korea. The incidence of diseased plants in the vinyl greenhouse was 2-6%. Seven single-spore isolates of Phoma sp. were obtained from the diseased stems and leaves. All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as Boeremia linicola based on the cultural,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Two isolates of B. linicola were tested for pathogenicity on stems and leaves of small-fruited tomato and large-fruited tomato using artificial inoculation. All the tested isolates caused stem and leaf rot symptoms in the inoculated plants. The symptoms were similar to those observed in plants from the vinyl greenhouse investigated. This is the first report of B. linicola causing stem and leaf rot in tomato.

Incidence of Beet Leaf Spot Caused by Neocamarosporium betae in Korea

  • Gyo-Bin Lee;Hong-sik Shim;Weon-Dae Cho;Wan-Gyu Kim
    • 한국균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63-68
    • /
    • 2023
  • From June to August 2021, we surveyed diseases affecting beet (Beta vulgaris subsp. vulgaris) plants in Cheolwon, Hoengseong, and Pyeongchang regions in Gangwon Province, Korea. We observed severe leaf spot symptoms, such as brown to dark circular or irregular spots on the leaves, in plants. Disease incidence in the plant leaves in the fields investigated at the three locations ranged from 1 to 80%. Five single-spore isolates of Phoma sp. were obtained from the diseased leaves and identified as Neocamarosporium betae based on their cultural,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Three isolates of N. betae were subsequently tested to confirm their pathogenicity in beet plants via artificial inoculation. The tested isolates caused leaf spot symptoms in the inoculated plants, similar to those observed in the plants in the investigated fields. Therefore, our findings revealed N. betae as the pathogen causing beet leaf spot in Korea.

고추의 미기록병(未記錄病)인 Cercospora capsici에 의(依)한 고추 반점병(斑點病) (Undescribed Fungal Leaf Spot Disease of Pepper Caused by Cercospora capsici in Korea)

  • 성재모;조의규;조동진;강수웅
    • 한국균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75-77
    • /
    • 1984
  • 진주지방 vinyl house에서 자란 고추잎에 생긴 병반(病斑)을 채집하여 병원균(病原菌)을 분리(分離)하였다. 분리(分離)된 병원균(病原菌)의 분생자종(分生子種)의 길이 $40{\sim}150\;{\mu}m$ 폭은 $4.5{\sim}7\;{\mu}m$이고 $3{\sim}15$개가 총생으로 형성(形成)하며 분생포자(分生胞子)의 길이는 $40{\sim}185{\mu}m$이고 폭(幅)은 $4{\sim}5{\mu}m$이었다. 이 병원균(病原菌)은 PDA에서 늦게 자라고 포자(胞子)가 잘 형성(形成)되지 않으며 잎에 형성(形成)된 병반(病斑)을 습실처리하면 분생포자(分生胞子)가 잘 형성(形成)한다. 병원성검정(病原性檢定)을 위하여 만점에 생긴 분생포자(分生胞子)를 가지고 포자현탁액을 가지고 접종(接種)하였더니 고추의 잎과 엽병에 채집된 병징과 같은 개구리눈 모양을 한 병반(病班)이보였다. 고추에서 분리(分離)된 병원균(病原菌)은 분생자종(分生子種)의 모양과 크기 분생포자(分生胞子)의 길이와 병원성(病原性)에 의(依)하여 Cercospora capsici Heald et. Wolf 로 동정(同定)되었다.

  • PDF

토마토 잎사귀 질병 감지를 위한 이미지 처리 메커니즘 (An Image Processing Mechanism for Disease Detection in Tomato Leaf)

  • 박정현;이성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959-968
    • /
    • 2019
  • 농업 분야에서 여러 가지 센서들과 임베디드 시스템을 활용하여 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술이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센서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작물의 질병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기존 병충해 진단 연구들은 실제 농가에 적용하기 어려운 부분이 존재한다. 본 논문은 이를 개선하고자 하였으며, 화상카메라를 통해 받아온 작물의 잎사귀 이미지를 분석하여 병충해를 초기에 감지 가능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실제 시설원예 및 노지 환경 농가의 캡쳐한 이미지 내에서 감염 의심 영역을 개선된 K 평균 클러스터링 기법을 통해 분류하였다. 그 후 엣지 검출, 엣지 추적 기법을 활용하여 해당 영역의 잎사귀 내부 존재 여부를 확인하였다. 인근 농가에서 촬영한 토마토 잎사귀 이미지를 이용하여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기존 논문의 방법 보다 제안 알고리즘의 감영 영역 분류 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취나물 점무늬병을 억제하는 Paenibacillus polymyxa JE201의 생물학적 특성 (B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Paenibacillus polymyxa JE201 with Antifungal Activity Against Fungal Leaf Spot Disease of Aster scaber)

  • 안성호;김다연;박병용;한지희;이상엽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57-273
    • /
    • 2021
  • 취나물 재배 시 문제가 되는 점무늬병(Septoria sp.)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세균 P. polymyxa JE201를 분리하였다. JE201 균주를 이용하여 점무늬병 방제효과 포장검정을 시행한 결과, 대조구로 사용한 세레나데 맥스와 비슷한 정도의 방제효과를 나타낼 정도로 효과가 있었으며, 다른 식물 병원성 진균에 대한 항균활성 스펙트럼을 조사한 결과, 10종 중 9종에 대해서도 균사생장억제력이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앞으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다른 병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수도 도열병의 역학적 연구 II. 이삭 도열병 전염원으로서의 엽위별 병반분포의 의의 (Epidemiological Studies of Blast Disease of Rice Plant II. Significance of Differential Distribution of Leaf Lesions at Different Location of Each Tiller as an Inoculum Source of Panicle Blast)

  • 박종성;류승헌;김공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77-282
    • /
    • 1983
  • 엽위별로 형성된 병반수나 병반면적율은 통일계품종에 있어서는 n-1에서 n-3까지 그리고 일본형수수품종에 있어서는 n-2에서 많았으나 통일계품종중에서도 고도로 감수성인 노풍에 있어서는 n-1(지엽)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었다. 병반의 분포도와 시비수준과의 관계는 시비수준이 높아질수록 뚜렸하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엽위별로 보면 수잉기 이후 이삭도열병의 전염원으로는 n-1에서 n-5까지의 잎위의 병반이 관여하나 주로 n-1엽과 n-2엽의 관여도가 큰 것으로 고찰되었다. 수잉기 이후의 저온역에서의 변온$(24^{\circ}C\~16^{\circ}C)$은 잎위의 병반에서의 포자 형성량을 증가시키며 포자의 형성, 이탈, 비산에 아무런 지장을 주지않고 9월말까지도 다량의 전염원을 수에 공급하고 있었다.

  • PDF

복숭아나무에서 검출된 Apricot pseudo-chlorotic leaf spot virus의 국내 첫 보고 (First Report of Apricot pseudo-chlorotic leaf spot virus Infecting Peach Trees in South Korea)

  • 박상민;서은철;김산영;박원흠;이수헌
    • 식물병연구
    • /
    • 제23권1호
    • /
    • pp.75-81
    • /
    • 2017
  • 2016년 5월, 우리나라 복숭아의 주요산지인 경북 영천 지역에서 퇴록, 괴저반점, 엽맥퇴록, 황화와 같은 바이러스 병징과 이상증상을 보이는 복숭아 잎 24점을 채집하였다. 이 시료들의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RT-PCR 진단법을 이용하여 진단하였다. 진단 대상은 검역 병원체로 지정된 바이러스 또는 바이로이드를 중심으로, 국내외 연구를 참고하여 국내 발생가능성이 높거나 발생 시 위험도가 높은 종 17종이다. 진단결과, 국내에서 보고된 적이 없는 바이러스 1종(Apricot pseudo-chlorotic leaf spot virus, APCLSV)과 검역 바이로이드 1종(Peach latent mosaic viroid, PLMVd)을 포함하여, 총 7종의 바이러스와 바이로이드가 검출되었다. 바이러스를 동정하기 위해, RT-PCR 산물을 sequencing 하여 확인하였다. 또, 국내 미보고 종인 APCLSV가 검출된 시료를 이용하여 APCLSV의 외피단백질을 암호화하고 있는 염기서열을 증폭하여 결정하였다. 결정된 염기서열은 기 보고된 APCLSV 분리주와 97%의 상동성을 보였다. 이 외피단백질 염기서열을 Trichovirus속 바이러스들과 비교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APCLSV임을 확인하였다. 동정된 APCLSV를 Yeongcheon 분리주로 명명하고 결정된 외피단백질 염기서열은 NCBI GenBank에 등록하였다. APCLSV의 발생 양상을 보면, APCLSV가 검출된 시료들은 모두 Apple chlorotic leaf spot virus (ACLSV)가 복합감염되어 있었으며, APCLSV는 ACLSV와 유전학적 유연관계가 가까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ACLSV의 특성에 비추어 볼 때, APCLSV는 국내 과수 농가에 널리 퍼질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추후 국내 농가에 미칠 영향 등에 관련된 연구가 필요하다.

Identification of Alternaria alternata as a Causal Agent for Leaf Blight in Syringa Species

  • Mmbaga, Margaret T.;Shi, Ainong;Kim, Mee-Soo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7권2호
    • /
    • pp.120-127
    • /
    • 2011
  • While many isolates of Alternaria alternata are common saprophytes on trees and shrubs, this study clearly demonstrated that A. alternata is a primary pathogen in lilac (Syringa sp.), causing a leaf-blight that affects different Syringa species. Isolates of Alternaria sp. were collected from leaf blight samples of lilacs in the field.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and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 were used to identify lilac blight pathogen. Based on 100% ITS nucleotide sequence identities to the Alternaria genus in the GenBank and morphological features, these isolates were identified as A. alternata. Disease symptoms were reproduced in lilac plants inoculated with A. alternata mycelial plugs and sprayed with a fungus-free culture filtrate, indicating that pathogenesis in lilac involves secondary metabolites or toxins. Diagnostic primers were developed to detect Alternaria sp. and A. alternata in lilac leaf blight based on ITS region and four known genes associated with pathogenesis in A. alternata: mixed-linked glucanase precursor, endopolygalacturonase, hsp70, and histone genes. The results from our study indicated A. alternata is a primary pathogen in lilac leaf blight, and these diagnostic primers can be used as a tool for the fast detection of A. alternata associated with lilac leaf bl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