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yer 2 trigger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9초

1MeV 인 이온 주입시 RTA에 의한 미세결함 특성과 latch-up 면역에 관한 구조 연구 (A Study on the Micro-defects Characteristics and Latch-up Immune Structure by RTA in 1MeV P Ion Implantation)

  • 노병규;윤석범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101-107
    • /
    • 1998
  • 인(Phosphorus)을 1MeV로 이온 주입한 후 RTA를 실시하여 미세결함의 특성을 조사하고, 면저항, SRP, SIMS, XTEM 분석과 CMOS 구조에서 래치업 특성을 모의 실험하였다. 도즈량이 증가할수록 면저항은 낮아지고, Rp값은 도즈량이 $1{\times}10^{13}/cm^2,\;5{\times}10^{13}/cm^2,\;1{\times}10^{14}/cm^2$일때 각각 $1.15{\mu}m,\;1.15{\mu},\;1.10{\mu}m$로 나타났다. SIMS 측정결과는 열처리 시간이 길수록 농도의 최대치가 표면으로부터 깊어지고, 농도 또한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XTEM 분석 결과는 열처리 전에는 결함측정이 불가능했으나, 측정되지 많은 미세결함이 열처리 후 이차결함으로 성장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의 실험은 buried layer와 connecting layer 구조를 사용하였으며, buried layer보다 connecting layer가 래치업 특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Connecting layer의 도즈량이 $1{\times}10^{14}/cm^2$이고 이온주입 에너지가 500KeV일 때 trigger current는 $0.6mA/{\mu}m$이상이었고, trigger voltage는 약 6V로 나타났다. Connecting layer의 이온주입 에너지가 낮을수록 래치업 저감효과가 더욱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고에너지 이온 주입을 이용한 latch-up 면역에 관한 구조 연구 (A study on latch-up immune structure by high energy ion implantation)

  • 노병규;안태준;강희원;조소행;오환술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8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논문집
    • /
    • pp.441-444
    • /
    • 1998
  •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researching latch-up immune CMOS structure was performed. By the simulation results, the connecting layer had more effect than the buried layer to latch-up immune. When the connecting layer was the dose 1*10$^{14}$ /cm$^{2}$ and the energy 500KeV, the trigger current was more 0.6mA/.mu.m and the trigger voltage was 6V. The more the connecting layer dose was lower, the more the latch-up immune characteristics was butter.

  • PDF

상접한 공간 객체의 무결성 지원을 위한 공간 연산 트리거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patial-Operation-Trigger for Supporting the Integrity of Meet-Spatial-Objects)

  • 안준순;조숙경;정보흥;이재동;배해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8권2호
    • /
    • pp.127-140
    • /
    • 2002
  • 공간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에서 데이타베이스의 일관성 유지를 위해 의미적 무결성을 지원해야 한다. 실세계의 경계(boundary) 레이어에서 경계는 주위의 공간 객체들과 항상 접해 있어야만 하는 상접(meet)한 성질과 두개 이상의 다른 공간 객체가 동일한 이름을 가질 수 없는 성질을 가진다. 이 성질은 실세계에서 묵시적으로 인지되는 개념이다. 따라서 공간 객체의 갱신으로 인해 레이어에 대한 묵시적인 개념이 위배될 경우 무결성 유지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 레이어에 대한 공간 객체의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한 공간 연산 트리거를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은 SQL-3를 기반으로 공간 연산 트리거 정의어를 정의하고, 레이어에 대한 무결성 제약조건이 위배될 때 수행되며, 공간 연산 트리거 수행 전략으로 동일 레이어에 대한 공간과 비공간 데이타 트리거로 나누어 수행되고, 다른 레이어에 대한 비공간 데이타 트리거를 수행하는 기법이다. 공간 연산 트리거 관리기는 사용자에게 의해 정의된 공간 연산 트리거 정의어는 공간 연산 트리거 처리기를 통해 파스트리를 생성하여 카탈로그 관리기를 통하여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되며, 갱신 질의시 공간 연산 트리거 수행 처리기를 통해 공간 데이타베이스의 일관성을 유지시켜주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공간 연산 트리거는 상접성을 유지해야 하는 공간 객체들의 의미적 무결성을 위해 공간과 비공간 데이타에 대하여 3 단계 수행으로 공간 객체에 대한 의미적 무결성 유지와 자동 보정으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한다.

Link-layer Trigger를 통한 유무선 통합 환경에서의 TCP 혼잡제어 (TCP Congestion Control Algorithm Using L2 Trigger in Heterogeneous Networks)

  • 김유미;홍충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359-1362
    • /
    • 2004
  • 유무선 통합 환경에서의 기존의 TCP가 가지는 문제점은 혼잡 제어 알고리즘이 무선환경의 에러를 모두 congestion으로 인식하는 것에 있다. 무선환경에 의한 에러일 경우 네트워크의 상황이 좋음에도 불구하고 전송률을 낮춰서 네트워크의 성능을 떨어뜨리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Link-layer가 발생시킨 이벤트를 통해 에러의 원인을 명확이 구분하여 기존의 TCP의 큰 수정이 없이도 성능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는 혼잡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PDF

MIH를 이용한 효율적인 MIPv4망의 구성에 관한 연구 (Perfomance Evaluation of efficent handover Latency Using MIH Services in MIPv4)

  • 김기용;장종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75-78
    • /
    • 2007
  • Mobile IP는 단말기에 이동성을 부여해 줌으로써 이동중에도 network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해주었다. 하지만 Access Router간에 이동시 발생되는 handover의 시간으로 인하여 지연과 date loss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IEEE802.21에거 표준화가 진행중이 MIH(media Independent Handover)는 이종망간 handover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NIH는 주변 망의 Layer2 정보와 Layer3 정보 등의 네트워크 정보를 사전에 획득하도록 설계되어있다. MIH의 사전정보 획득기술을 활용하면 MN(Mobile Node)에서 handover 발생시 획득해야 하는 정보를 미리 얻을 수 있고 보다 효율적으로 망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논문은 MIPv4에서 MIH를 활용하여 MN(Mobile Node)가 handover 할 것으로 예측될 때 MIH Table를 이용하여 Handover에 사용되는 정보를 미리 구축해 둔다. 이로써 Handover가 예측될 때 L2Trigger가 가지는 Init time을 개선시키고, 나아가 짧아진 init time 으로 AR간에 보다 협소한 overlap Length를 가지고 handover를 행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무선 LAN 시스템에서 계층 2 트리거 발생기 설계를 위한 적응성 있는 수신 신호 강도 예측 모델 (An Adaptive Received Signal Strength Prediction Model for a Layer 2 Trigger Generator in a WLAM System)

  • 박재성;임유진;김범준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4C권3호
    • /
    • pp.305-312
    • /
    • 2007
  • 무선 LAN 시스템에서 고속 핸드오프를 위한 계층 2 트리거는 정확한 핸드오프 예측 모델을 요구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계층 2 트리거 발생기 설계를 위한 단말의 이동성 모델로 수신 신호 강도 (received signal strength: RSS) 예측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짧은 시간 동안 사용자 단말과 억세스 포인트 (AP) 사이의 거리 변화양은 물리적으로 제한된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 측정된 RSS 값들에 대해 적응성 있게 동작한다. 제안 모델 설계를 위해 우선 ns 2 모의 실험을 통해 측정된 RSS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일정 시간 측정된 RSS 데이터는 차수 1인 자기 회기 (autoregressive: AR(1)) 프로세스로 모델링 할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후 AR(1)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향후 RSS 값을 예측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예측 오류를 확률적으로 정량화 하였으며 모의 실험을 통해 현재까지 측정된 RSS 값들을 이용하여 적어도 1-step 이후의 RSS 값을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무선 LAN환경에서 마이크로 이동성 지원 방안 (A Micro Mobility Management Scheme in Wireless LAN Environments)

  • 고광신;차우석;김형준;조기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1권2호
    • /
    • pp.158-170
    • /
    • 2004
  • Mobile IP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대표적인 IP 기반 프로토콜이다. 이 프로토콜은 단말의 이동 사실을 탐지하는데 소요되는 지연과 자신의 새로운 이동 위치를 홈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지연 등 핸드오프 과정에서 두 가지 주요 지연요소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IEEE 802.11 무선 LAN 표준에 따른 2 계층 핸드오프 처리과정을 분석하여 3 계층 핸드오프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L2 트리거를 정의한다. 또한 L2 트리거와 네트워크 위상 정보를 이용하여 앵커 에이전트를 동적으로 구성하고, 다중 전송(Multiple-Casting)을 이용하여 패킷 분실을 방지하는 MCAA(Multiple-Casting using Anchor Agent)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의 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대표적인 마이크로 이동성 지원 기법인 Regional Registration 기법을 비교대상으로 핸드오프 지연과 패킷 분실 관점에서 분석 평가하였다.

IP 이동성 지원 프로토콜에 대한 비교 연구: Fast Handover 대 Mobile IPv6 (A Comparative Study of IP Mobility Protocols : Fast Handover vs. Mobile IPv6)

  • 백상헌;최양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6A호
    • /
    • pp.651-659
    • /
    • 2004
  • Fast Handover[1] 프로토콜은 핸드오프 과정에서 발생하는 지연 시간을 줄임으로써 끊김없는 핸드오프가 가능하도록 해준다. 핸드오프 지연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Fast Handover는 링크 계층의 트리거 정보를 이용한 예측 기법을 사용한다. 따라서 기존 Mobile IPv6에 비해서 더 많은 시그널링 비용을 초래한다. 뿐만 아니라 가변적인 특성을 가지는 링크 특성으로 인해 예측한 정보가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불필요한 버퍼 공간을 낭비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부가적인 비용을 고려하여 Fast Handover와 Mobile IPv6의 성능을 비교,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두 프로토콜에서의 시그널링 비용과 패킷 전송 비용을 모델링하여 링크 계층 트리거의 시점이 전체 비용에 미치는 영향과 핸드오프 과정에서의 버퍼 요구량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최적화된 핸드오프 성능을 위해서 트리거 시점을 적합하게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2계층 트리거를 이용한 FMIPv6 구현 및 분석 (Implementation and Analysis of the FMIPv6 (Fast Handover for Mobile IPv6) Using Layer 2 Triggers)

  • 오승훈;이성식;김영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4호
    • /
    • pp.551-558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신속한 이동성 관리기법인 FMIPv6(fast mobile IPv6)를 리눅스 기반으로 구현하여 기존 시스템과의 성능을 비교 실험하였다. FMIPv6 기법은 제 2계층의 동작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맞게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수정하여 단말의 이동에 따라 제2계층에서의 트리거를 발생하도록 하였고 액세스 라우터와 이동 노드로 동작을 구분하여 설계하여 구현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으로 기존 MIPv6(mobile IPv6)가 적용됐을 때와 비교하여 핸드오버기간동안의 패킷손실과 지연특성을 실험하였으며 FMIPv6에서의 개선된 성능을 고찰 하였다.

Mobile IP 지원 무선 랜 상에서 링크 계층의 지원을 통한 연속적인 미디어 스트리밍 (Link-layer Assisted Seamless Media Streaming over Mobile IP-enabled Wireless LAN)

  • 이철호;이동욱;김종원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5권9호
    • /
    • pp.626-636
    • /
    • 2009
  • Mobile IP를 지원하는 무선 랜 환경에서 링크 계층 핸드오프와 Mobile IP의 IP 계층 핸드오프로 인해 데이터 전송이 일시적으로 중지되며 이는 스트리밍 클라이언트의 버퍼 언더플로우를 유발하고 다량의 패킷 손실을 발생시킨다. 이들은 연속적인 미디어 스트리밍을 제공함에 있어서 치명적인 문제점으로 작용한다. 아직까지 실시간을 요하는 스트리밍 미디어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핸드오프 방식에 따른 실제적인 영향을 고려한 실험적 연구들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그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Mobile IP를 지원하는 무선 랜 환경에서 사전 버퍼링의 적용을 통하여 핸드오프 시에 발생하는 핸드오프 지연을 보상하는 미디어 스트리밍 구조를 소개한다 추가로 L2 (layer 2) 트리거 기반의 패킷 버퍼링과 포워딩 기능의 구현과 스트리밍 클라이언트에서의 핸드오프를 인지하는 사전 버퍼링의 적용을 통하여 핸드오프 시에 발생하는 핸드오프 지연 및 패킷 손실을 극복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된 방식이 핸드오프 시에 발생하는 핸드오프 지연 및 패킷 손실을 극복하고 연속적인 미디어 스트리밍을 가능하게 함을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