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 Cover Change

검색결과 458건 처리시간 0.026초

해상도변화에 따른 항공초분광영상 토지피복분류의 분류정확도 비교 연구 (Study of Comparison of Classification Accuracy of Airborne Hyperspectral Image Land Cover Classification though Resolution Change)

  • 조형갑;김동욱;신정일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55-160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각기 다른 3가지 해상도로 촬영된 항공 초분광영상을 이용하여 건물, 도로, 산림 등 8가지 분류군에 대해 토지피복분류를 실시하고 정확도를 비교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는 24밴드(0.5m 공간해상도), 48밴드(1.0m 공간해상도), 96밴드(1.5m 공간해상도)로 각각 1000m, 2000m, 3000m고도에서 촬영된 초분광영상을 이용하여 8가지 클래스에 대해 토지피복분류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2000m고도에서 촬영된 48밴드 초분광영상을 이용하여 분류한 영상이 가장 높은 분류정확도를 보였고, 24밴드, 96밴드 순으로 분류정확도가 높게 나타났다. 초분광영상 활용에 있어서 1m 공간해상도에 48개밴드를 사용하여 토지피복분류를 수행함에 있어 적합함을 확인하였고 항공 초분광영상을 활용한 주제도 제작과 관련하여 정확도와 실용성 면에서 공간정보 품질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

초고층 건축물 외부공간의 토지피복 변화에 관한 연구 (Survey of the Land-Cover Type Pattern in High-rise Building)

  • 홍석환;한봉호;김홍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5-23
    • /
    • 201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고층 건축물 15개소를 선정하여 토지피복특성과 변화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초고층 건축물 외부공간은 건폐지와 비건폐포장지가 차지하는 비중이 평균 79.7%로 높았으며, 상대적으로 녹지 및 수면이 차지하는 비중은 낮았다. 또한 대부분 지역은 지하개발이 이루어져 조사대상지 평균 생태면적률은 15.90%로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준공시기에 따른 피복유형 현황분석 결과, 시간이 지나면서 건폐율이 낮아지고 있었으며, 생태면적률이 증가하고 있었다. 반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비건폐포장지의 비율은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초고층 건축물 외부공간의 생태적 기능 개선을 위해서는 포장공간을 줄이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Land Cover Change and Urban Greenery Prediction in Jabotabek by using Remote Sensing

  • Zain, Alinda-Medrial;Takeuchi, Kazuhiko;Tsunekawa, Atsushi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International Edition
    • /
    • 제1호
    • /
    • pp.59-66
    • /
    • 2001
  • The tremendous growth of population and physical development in the largest urban agglomeration in Indonesia -the Jakarta Metropolitan Region, also known as Jabotabek (Jakarta, Bogor, Tanggerang, Bekasi)- has created many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land use conversion, increasing urban temperature, water and air pollution, intrusion of seawater, and flooding. These problems have become more serious as the urban green space (trees, shrubs, and groundcovers) has decreased rapidly with the urbanization process. Urban green space directly benefits the urban environment through ameliorating air pollution, controlling temperature, contributing to the balance of the hydrological system, and providing space for recreation and relaxation. Because there is little hard data to support the claim of decreasing greenery in Jabotabek,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amount of urban green space. The paper describes the spatial analysis of urban green space within Jabotabek through the use of a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 We used GIS and remote sensing to determine land cover change and predicted greenery percentage. Interpretation of Landsat data for 1972, 1983, 1990, and 1997 showed that Jabotabek has experiences rapid development and associated depletion of green open space. The proportion of green open space fell by 23% from 1972 to 1997. We found a low percentage of urban green space in the center of Jakarta but a high percentage in fringe area. The amount of greenery is predicted by the Ratio Vegetation Index (RVI) model: predicted greenery (%) = [146.04] RVI - 134.96. We consider that our result will be useful for landscape planning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Jabotabek.

  • PDF

대도시 주변 신개발지의 개발특성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를 사례지역으로 - (The Characteristics of Land Use Change at the Urban Fringe - The Case of Daegu Metropolitan City -)

  • 박선형;김재익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36-46
    • /
    • 2007
  • 도시의 외연적 확산은 도시 주변부의 농지나 녹지지역을 도시적 용도로 전환시킨다. 도시주변부의 개발은 도시기반시설의 설치비용 및 교통비용 등 여러 가지 사회적 비용을 수반한다. 도시의 확산과정에서 새롭게 개발되는 도시 주변부의 개발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합리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을 위한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1990년과 2000년 사이 도시주변부의 신개발지를 대상으로 위성영상, 토지관리정보시스템, 인구 및 주택총조사 자료 등을 GIS로 구축 활용하여 토지이용전환에 영향을 주는 요인, 토지이용현황 및 공간적 분포, 개발 밀도 등을 중심으로 개발특성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대구광역시의 도시지역의 확장은 주거지 개발이 주도한 가운데 지역에 따라 산업단지 및 유통단지 등의 형태로 토지이용의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도시개발의 입지, 규모, 밀도 등의 도시성장관리에 필수적인 다양하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었다.

  • PDF

FRAGSTATS를 활용한 경관다양성의 시공간적 분석 (Temporal-Spatial Analysis of Landscape Diversity using FRAGSTATS)

  • 권오성;나정화;구지나;김진효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9-50
    • /
    • 2015
  • This research selected Daegu Metropolitan City representing a combination of natural space and urban space for this case study. To achieve this, a prerequisite was to set up an optimal block size to evaluate landscape diversity of the research site by using a RPR-Area Curve. Further, landscape diversity evaluation was conducted based on land cover map by using FRAGSTATS to analyze spatio-temporal changes. Notably, this research regarded it as the most significant to set forth criteria in order to apply landscape diversity to the development plans of the newtown and outskirt of a city under high pressure development. Results derived from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results derived from establishing the optimal block size, a size about $2km^2$ was analyzed to measure landscape diversity of the research site. Also, according to the results derived from land diversity evaluation based on land cover map, land diversity was highly measured around urban stream such as Nakdong River and Geumho River, and in particular, the value of landscape diversity was measured considerably high around the urban parks. Results derived from analysis on spatio-temporal changes of land diversity demonstrated that a certain level of urban development exerted a positive effect on an increase in land diversity, but consistent urban development lowered a value of landscape diversity. Results derived from regression analysis to set forth the optimal urban space showed that an urban area of a space about $2km^2$ exerted a positive effect at a rate of about 0~43.3% and a negative effect at a rate about 43.3~100%.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considered to provide important basic data for future urban and landscape planning. Nonetheless, as only the layout on the 2D plane was analyzed in this research, further research in future is required to complexly consider diverse factors such as height of structure and change in visible real area arising from geographical features.

고해상도 위성영상과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지목 불부합의 정도 측정 (Land Category Non-coincidence Measurements Us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and Digital Topographic Maps)

  • 홍성언;이동헌;박수홍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43-56
    • /
    • 2004
  • 필지는 지번, 지목, 경계, 면적이라는 기본적인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다. 그 가운데 토지의 가치는 대부분 지목에 의해 결정된다. 많은 수익이나 산출이 기대되는 용도로 토지를 이용하려는 경향에 따라 토지이용 전환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결국, 이것은 토지의 불법 형질변경, 난개발 등의 원인이 되고 있고, 지목 불부합의 발생을 가중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대처나 정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위성영상과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지목을 기반으로 한 필지별 토지이용/토지피복을 분류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렇게 분류된 필지별 토지이용/토지피복도와 편집지적도상의 지목을 비교·분석하여 지목 불부합 정도를 통계적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연구지역의 불부합 정도에 대한 통계적인 해석이 가능하여, 향후 지적 불부합지를 정량적으로 자동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 PDF

유역모형을 이용한 도시지역의 불투수면 변화에 따른 오염물질 유출 해석 (Analysis of Pollutants Discharge due to the Change of Impervious Land in Urban Area Using Watershed Model)

  • 공석호;김태근
    • 환경영향평가
    • /
    • 제27권1호
    • /
    • pp.73-82
    • /
    • 2018
  • 본 연구는 무심천 유역을 대상으로 도시화에 따른 불투수 지역의 증가가 오염물질의 유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HSPF 모델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모델의 보정은 2015년도 관측치, 검증은 2014년도 관측치를 기준으로 하였고, 모의항목은 유량, BOD, TP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모형의 보정 및 검증 결과는 모든 모의항목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다. 무심천 유역의 2015년도 토지이용 현황을 반영하여 모형에 사용한 토지피복도를 수정한 후 개발지역의 계획 위치와 면적을 적용하여 수질을 모의하였다. 모의 결과 불투수면이 증가하면 일별 오염부하량은 강우 시에는 개발사업 전보다 증가하고, 비강우 시에는 감소하였다. 연간 오염부하량은 강우 시 증가량이 비강우 시 감소량보다 월등히 많아 BOD와 TP의 부하량은 증가하였다. 또한 비점오염부하량은 개발 전의 점오염원이 동일하고, 불투수면만 증가한다는 전제에서 모의한 결과 개발 후의 비점오염부하량이 개발 전의 총오염부하량보다 크게 산정되어 불투수면이 급증하는 유역은 계획 단계에서부터 비점오염원의 관리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계열 분석법을 이용한 도시지역 토지피복형태에 따른 지하수위와 강수량의 상관관계 분석 (A Study of a Correlation Between Groundwater Level and Precipitation Using Statistical Time Series Analysis by Land Cover Types in Urban Areas)

  • 허준용;김태용;박혜민;하태정;강형빈;양민준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6_2호
    • /
    • pp.1819-1827
    • /
    • 2021
  • 최근 도시화로 인한 토지피복의 변화로 불투수층이 증가함에 따라, 강수의 자연적인 지하수 함양이 방해되어 도시홍수와 같은 재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토지피복의 변화에 따른 강수와 지하수위 간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소규모 도심지역인 부산광역시 연제구를 대상으로 교차상관분석(Cross-correlation function, CCF) 및 이동평균분석(Moving average method, MA)을 통해 강수와 지하수위간 지연시간을 산정하였다. 지연시간을 산정하기 위해 자기상관분석, 교차상관분석, 이동평균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피어슨 상관함수를 목적함수로 설정하여 강수량과 지하수위 간 가장 높은 상관계수를 가지는 시차 값을 지연시간으로 결정하였다. 관측공 반경 250 m 내 토지피복형태와 지형은 토지피복지도와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Arc-GIS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토지피복형태가 도심영향이 많은 불투수층으로 이루어진 GW01, GW03, GW05 (Urban: 71-96%)의 경우 지연시간이 길게 나타났으며(CCF: 42-71일, MA: 148-161일) 식생영향이 많은 투수층으로 이루어진 GW04 (Urban: 35%)는 짧은 지연시간(CCF: 4일, MA: 67일)을 보였다. 토지경사도에 따른 지연시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이는 토지피복형태가 강수와 지하수위 간 지연시간에 영향을 강하게 미치는 요소이기 때문에 토지경사도에 따른 영향이 작용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부산 연제구의 토지 이용에 따른 지하수위와 강수량의 지연시간을 규명함으로써 도시 내 강수의 자연적인 지하수 함양을 위한 도시 녹지공간 조성과 수문학적 재난 예방을 위한 관리계획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묵논습지 환경요인 및 생태영향권 내 토지피복유형 변화 분석 (An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 of Abandoned Paddy Wetlands as References and Changes in Land Cover Types in the Influence Area)

  • 박미옥;권순효;백승준;서주영;구본학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31-344
    • /
    • 2022
  • 본 연구는 묵논습지 토양 및 수문환경 특성을 분석하고 생태영향권 내 토지피복 유형의 변화를 고찰하여 묵논습지에 영향을 끼치는 다양한 환경요인 중에서 묵논 토양 및 수질 환경요인을 분석하고 생태영향권 내 토지피복유형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습지화가 진행되고 있는 묵논습지를 대상으로 문헌연구와 환경공간정보서비스 및 예비답사를 통해 묵논습지를 선정 후 추가 정밀답사를 실시하여 묵논습지 생태환경 특성을 규명하였으며, 1980년대 이후 40년간의 생태영향권 내 토지피복유형의 변화를 고찰하여 표준 묵논습지의 내부적 외부적 환경요인을 분석함으로써 묵논습지 보전 복원 창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급증하는 유휴농경지를 습지로 천이되도록 하여 자연습지와 동등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토지피복변화를 통해 묵논습지가 주변생태적 영향권으로 확산될 수 있는 단서를 확인한 바 본 연구대상지는 묵논습지의 표준습지로서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정밀조사를 통해 지형과 토양, 물순환 체계와 탄소감축 성능 등을 정밀 분석한다면 묵논습지의 발달 과정을 표준화할 수 있을 것이다. 묵논습지 생태영향권의 토지피복유형은 주로 산림과 농경지가 분포하였지만 대체로 최근 10-20년 사이에 급속도로 감소하였고, 산림은 침엽수림에서 활엽수림이나 혼효림 또는 초지 등으로 바뀌고 있었다. 아직은 습지로 온전히 전화되지 못하고 나지 또는 초지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휴경된 지 30년 이상 경과되어 자연습지화 된 사례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점차 자연습지와 구조적으로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습지로 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예측된다.

자료변환 기반 특징과 다중 분류자를 이용한 다중시기 SAR자료의 분류 (Classification of Multi-temporal SAR Data by Using Data Transform Based Features and Multiple Classifiers)

  • 유희영;박노욱;홍석영;이경도;김예슬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05-214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자료변환기법을 이용해 추출된 여러 특징과 다양한 분류방법론을 결합하여 다중시기 SAR 자료를 위한 새로운 토지피복 분류기법을 제안하였다. 먼저, 다중시기 SAR 자료로부터 원본자료와는 다른 새로운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주성분분석과 3차원 웨이블렛 변환을 이용한 자료변환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나서 최대우도법 분류자, 신경망, support vector machine을 포함한 세 가지 다른 분류자를 변환된 특징자료들과 원본 후방산란계수 자료를 포함한 세가지 자료에 적용하여 다양한 초기 분류 결과를 얻도록 한다. 이후 다수결규칙을 통해 모든 초기결과를 결합하여 최종 분류 결과를 생성하게 된다. 다중시기 ENVISAT ASAR 자료를 이용한 사례연구에서 모든 초기 결과는 사용한 특징자료와 분류자의 종류에 따라 매우 다양한 분류정확도를 보였다. 이러한 9개의 초기 분류 결과를 결합한 최종 분류 결과는 가장 높은 분류 정확도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각 초기 분류 결과가 토지피복을 결정하기 위한 상호 보완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의 분류정확도 향상은 주로 자료변환을 통해 얻어진 각기 다른 특징자료와 다른 분류자를 결합에 의한 다양성 확보에서 기인한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 제안한 토지피복 분류방법론은 다중시기 SAR자료의 분류에 효과적으로 적용가능하며, 또한 다중센서 원격탐사 자료융합으로 확장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