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mina 종류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2초

직물형 유리섬유/에폭시 복합재료로 피막된 판유리의 미소강구 충격에 의한 표면파괴거동 (Surface Fracture Response of Glass Eabric/Epoxy Lamina-Bonded Glass Plates to Impact with a Small-Diameter Steel Ball)

  • 김형구;최낙삼
    • Composites Research
    • /
    • 제13권4호
    • /
    • pp.75-82
    • /
    • 2000
  • 유리섬유/에폭시 복합재료로 피막한 유리판의 표면파괴거동을 연구하기 위하여 미소강구 충격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섯 종류의 재료, 단순소다유리판(soda-lime glass plates), 유리섬유/에폭시박막(glass/epoxy lamina)을 1층 접착, 비접착한 시편과 박막을 3층 접착, 비접착한 시편을 사용하였다. 충격속도 범위 40∼120m/s에서 유리판 배면에서의 최대 응력과 흡수파괴에너지를 측정하였다. 충격 속도증가에 따라 링균열, 콘균열, 레이디얼 균열이 시편 내부에서 발생하였다. 복합재료 박막으로 피막한 결과, 소다유리판의 균열은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측정한 최대 응력과 흡수파괴에너지를 이용하여 표면 파괴거동 특성을 평가할 수 있었다.

  • PDF

해저터널용 복합신소재 배수복합관 부재의 정적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tatic behavior of advanced composite materials drainage pipe member for an undersea tunnel)

  • 신종호;김강현;김두래;지효선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65-74
    • /
    • 2015
  • 해저터널용 복합신소재 배수관구조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복합신소재 구조부재의 적층형태별 역학적 성질을 결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복합신소재는 일반적으로 등방성 재료와 달리 치수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신소재 부재의 적층형태별 인장시험을 상온($20^{\circ}C$)과 해수온도($0^{\circ}C$)에서 각각 수행하였다. 또한, 이론적 해석방법인 혼합물의 법칙과 탄성해법을 적용하여 재료의 역학적 성질을 추정하고 시험결과와 비교를 하였다. 해저터널 복합신소재 배수관 구조부재를 설계할 때 사용되는 역학적 성질의 값은 상온에서 얻어진 값을 보정하여 적용하여야 된다. 이러한 자료는 향후 해저터널용 복합신소재 배수관구조의 설계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식이지방의 종류와 Guar Gum의 첨가가 난소절제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Lipids and Guar Gum on Lipid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Rats)

  • 안혜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0권10호
    • /
    • pp.1123-1131
    • /
    • 1997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dietary lipids and guar gum on lipid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rats. The experimental animals received ovarietomy (OVX). Lipids sources were divided into 3 groups (soybean oil(SB), beef tallow(BT)) and fish oil(FO)) and guar gum was supplemented to each lipid diet (SBG, BTG, FOG). Experimental diets were fed to therats for 16 weeks. Serum triglyceride (TG) levels were higher in the BT group and lower in the FO group as compared to the SB group .Serum total cholesterol (Tc) and HDL-C levels were lower in the FO group as compared to the SB group. Serum LDL-C and phospholipid levels were lower in the FO group as compared to the SB group. Serum lipids levels were lowered by guar gum supplement. Serum SFA(saturated fatty acids) contents were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dietary lipids and guar gum. Serum MUFA(monounsaturated fatty acids) contents were the lowest in the SB group. Fecal weight was highest in the beef tallow group and lowest in the fish oil group. Fecal weight was increased by guar gum supplement in all lipid groups. Total bile acid content in feces was increased by guar gum supplement in the soybean oil and beef tallow groups. The endothelial cells of the beef tallow group changed from a flat shape to distorted round and enlarged shapes. The subendothelial layer was the thickness the thickest in the beef tallow group ; the interspace between elastic lamina was widened and elastic lamina was straightened and partly disrupted . The fish oil group showed more porminient endothelial cells and subendothelial layer. Internal elastic membrane and elastic lamina exhibited regularly wavy shapes. Guar gum supplement showed positive effects in all lipids groups. Based on the above results , it is suggested that beef tallow increased serum TG levels and injured the wall of the aorta. On the other hand, fish oil , which decreased serum lipid level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walls of the aorta. Guar gum protects the aorta from injury by reducing the serum lipid level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soybean oil and beef tallow consumed with guar gum is beneficial.

  • PDF

일방향 및 직교형 유리섬유/에폭시 복합재로 피막된 판유리의 미소강구 충격에 의한 표면파괴거동 (Surface Fracture Behaviors of Unidirectional and Cross Ply Glass Fiber/Epoxy Lamina-Coated Glass Plates under a Small-Diameter Steel Ball Impact)

  • 장재영;최낙삼
    • Composites Research
    • /
    • 제22권4호
    • /
    • pp.33-40
    • /
    • 2009
  • 유리섬유/에폭시 복합재료로 피막한 판유리의 표변파괴거동에 대한 섬유방향효과를 미소강구 충격실험을 통해 연구했다. 본 연구에서는 단순소다유리판(soda-lime glass plates), 일방향 유리섬유/에폭시박막 (glass/epoxy lamina ply)을 1층 및 2층 접착, 직교형 유리섬유/에폭시 박막 (2층)을 접착한 4종류의 시편을 사용하였다. 유리판 배면에 스트레인게이지를 부착하여 충격중의 최대 응력과 흡수파괴에너지를 측정하였다. 피막없는 판유리의 경우 충격속도 증가에 따라 링균열, 콘균열, 레이디얼 균열이 충격표면부에서 발생하였다. 복합재료 박막으로 피막한 결과, 소다유리판의 균열은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섬유층과 판유리사이의 박리 및 소성변형영역의 방향은 섬유방향으로 진행했다. 최대응력과 흡수파괴에너지를 이용하여 구한 충격 표면파괴지수는 표면저항의 효과적인 평가지수로서 사용될 수 있었다.

잣나무 만곡 복합집성재의 휨강도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Bending Strength of Curved Composite Glulams Made of Korean White Pine)

  • 송요진;정홍주;이인환;홍순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4호
    • /
    • pp.463-46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잣나무 곡선부재의 휨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Glass fiber 소재의 보강재와 낙엽송 층재로 보강한 만곡 복합집성재를 제작하였다. 잣나무 만곡집성재는 보강유무 및 보강방법에 의하여 다섯 종류로 제작되었다. 대조시험편인 Type-A는 잣나무 층재로만 제작된 시험편이며, Type-B는 최외층에 잣나무 대신 동일한 두께의 국내산 낙엽송층재로 제작한 시험편이다. Type-C는 직물형태의 glass fiber cloth가 매 층재 사이에 삽입된 시험편이다. Type-D는 glass fiber cloth가 최외층재들의 안쪽과 바깥쪽에 2장씩 보강된 시험편이다. Type-E는 sheet 타입의 GFRP를 Type-D와 동일한 위치에 1장씩 보강한 시험편이다. 휨 강도 시험 결과, Type-A의 파괴계수와 비교하여 Type-B는 29%, Type-C는 6%, Type-E는 48% 증가되었으며 Type-D는 오히려 2% 감소하였다. 파괴모드에서 Type-A와 Type-B 그리고 Type-C는 최대하중에 도달하는 순간 완전히 파단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Type-D와 Type-E는 보강재에 의해 파단이 억제되어 하중의 감소가 천천히 진행되었으며, 보강재 GFRP sheet(Type-E)는 압축응력과 인장응력에 대한 보강효과가 glass fiber cloth(Type-D)보다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Ply-Lam CLT의 층재 구성 및 접착제 종류에 따른 블록전단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lock Shear Strength according to the Layer Composition of and Adhesive Type of Ply-Lam CLT)

  • CHOI, Gyu Woong;YANG, Seung Min;LEE, Hyun Jae;KIM, Jun Ho;CHOI, Kwang Hyeon;KANG, Seog Go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6호
    • /
    • pp.791-80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공학목재로 목구조건축에 주로 사용되는 집성재 및 CLT 그리고 Ply-lam CLT의 블록전단시험을 실시하여 강도 및 파괴 유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Ply-lam CLT의 라미나 및 합판의 수종, 접착제의 종류 및 Layer구성 등 최적생산을 위한 제조조건을 구명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블록전단시험을 통해 집성재, Ply-lam CLT, CLT 순으로 높은 강도를 나타냈다. 특히, 낙엽송 합판과 낙엽송 라미나의 복합구조로 제조되는 Ply-lam CLT의 전단강도는 집성재 전단강도 기준인 7.1 N/㎟을 통과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집성재, CLT, Ply-lam 접착에 사용된 접착제 종류에 따른 전단강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Ply-lam CLT의 경우에는 라미나와 합판의 수종에 따라 Ply-lam CLT의 전단강도의 차이를 나타냈다. 그 결과는 낙엽송 > 남양재 ≒ 육송 합판 순으로 높은 강도를 나타났다. Ply-lam CLT의 최적 구성은 낙엽송 합판과 낙엽송 라미나를 사용하는 경우이며 접착제는 용도에 따라 PRF, PUR을 선정하여 사용하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목질재료 유형에 따른 전단강도 파괴 양상 결과 분석을 통하여 집성재는 shear parallel-to-grain, CLT는 rolling shear, Ply-lam CLT는 shear parallel-to-grain과 rolling shear가 복합적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단강도 결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rolling shear로 인하여 CLT보다 Ply-lam CLT에서 더 높은 전단 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목재와 목질보드 복합적층재의 휨강도성능 (Static Bending Strength Performances of Hybrid Laminated Woods Composed of Wood-Wood Based Boards)

  • 박한민;문성재;최윤은;박정환;변희섭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6호
    • /
    • pp.546-555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목재의 효율적인 이용의 일환으로 스프루스 직교형적층재의 중층을 중밀도섬유판(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파티클보드(particle board, PB) 및 배향성스트랜드보드(oriented strand board, OSB)의 3종류의 시판용 목질보드를 복합적층한 3층 목질계 복합적층재(패널)를 제작하여, 중층목질재료라미나의 구성엘리멘트가 복합적층재(패널)의 휨 강도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목질계 복합적층재의 휨 탄성계수는 중층에 배향성스트랜드보드(OSB)를 배열한 복합적층재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중밀도섬유판(MDF)을 중층에 배열한 복합적층재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 값은 중층에 섬유직각방향라미나를 배열한 다양한 종류의 직교형적층재 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표층이 스프루스 섬유직각방향으로 된 복합적층재의 휨 탄성계수 예측치는 실측치와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으나, 표층이 스프루스 섬유방향으로 된 복합적층재의 휨 탄성계수 예측치는 실측치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복합적층재의 휨 강도는 배향성스트랜드보드(OSB)를 중층에 배열한 타입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파티클보드(PB)를 중층에 배열한 타입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어 휨 탄성계수와 약간 차이를 나타내었다. 복합적층에 의해, 복합적층재의 휨강도 성능의 이방성은 스프루스소재의 그것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고, 보드상호간의 강도성능의 차이도 현저히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공기호흡과 관련된 왕종개(미꾸리과어류)의 호흡기관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espiratory Organ of Spined Loach, Iksookimia longicorpa (Pisces, Cobitidae), in Relation to the Air-breathing System)

  • 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41-247
    • /
    • 2005
  • 왕종개 Iksookimia longicorpa의 공기호흡에 관한 호흡체계를 조사하기 위해 표피 (epidermis)와 소화관 (intestinal tract)를 관찰하였다. 표피는 작은 점액세포 (mucous cell)와 곤봉세포 (club cell)로 이루어진 두 종류의 선세포 (gland cell)을 가진다. 점액세포는 대부분 acid sulfomucin으로 구성되었으나 곤봉상세포는 점액물질에 대한 어떠한 반응도 보이지 않았다. 기저층에는 작은 림파구를 포함하는 lymphocytes가 존재하며, 다량의 모세혈관이 기저층 바로 아래부분에 존해하고 있다. 장( intestinal tract)은 거의 일직선형태이며, 크게 장(intestine)과 직장(rectum)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장은 점액층 (mucosa), 점막하층 (laminal propria-submucosa), 근육층 (musculary), 장막 (serosa) 층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장은 짧은 fold와 얇은 벽으로 구성되었으며, 점막층은 acid sulfomucin의 점액을 가지고 있다. 공기호흡하는 어류들의 변형된 공기호흡 기관의 특징들과 비교해 볼 때 왕종개는 하천의 가뭄으로 인해 용존산소가 부족할 경우 장에서는 이루어지지않고 표피에서만 공기를 흡입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일방향 탄소섬유강화 플라스틱 복합재 적층구조의 충격 후 압축강도 시험 및 유한요소해석 (Test and Finite Element Analysis on Compression after Impact Strength for Laminated Composite Structures of Unidirectional CFRP)

  • 하재석
    • Composites Research
    • /
    • 제29권6호
    • /
    • pp.321-32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구조재로 널리 사용되는 일방향 탄소섬유강화 플라스틱 복합재 적층구조의 충격 후 압축강도에 대한 시험 및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연구에서 사용된 복합재 적층판은 적층방법에 따라 2종류로 구분되며, 각 적층판에는 4가지의 충격에너지를 적용하였다. 충격 및 압축강도 시험은 미국재료시험협회 규격을 준수하여 수행하였으며 비파괴검사 방법인 C-Scan을 통해 충격손상을 분석하고 압축시험을 통해 충격 후 압축강도를 산출하였다. 충격 및 압축강도 해석은 복합재 섬유/기지/단층/적층판 수준의 손상과 파손을 점진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점진적 파손해석을 사용하였다. 접촉하중, 처짐, 충격손상, 압축강도 등에 대한 시험 및 해석결과의 비교로부터 해석결과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