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ic acidosis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5초

가역적인 뇌기능장애를 보인 MELAS 증후군 (Reversible Brain Dysfunction in MELAS Syndrome)

  • 정진성;이학승;박현영;장혁;김요식;조광호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8권1호
    • /
    • pp.84-87
    • /
    • 2006
  • The MELAS (Mitochondrial Encephalomyopathy with Lactic Acidosis, and Stroke-like episodes) syndrome is one of the inherited mitochondrial disorder. We have experienced a 16-year-old girl with headaches and left hemianopsia. Diagnosis of MELAS syndrome with multiple brain parenchymal lesions was confirmed by gene study. The stroke-like lesion of MELAS syndrome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radiological follow up study. Therefore, MRI findings in MELAS could be interpreted as metabolic cellular dysfunction rather than ischemic vasculopathy.

  • PDF

파라핀조직을 이용한 미토콘드리아 DNA 돌연변이 확인 (Identification of a Mitochondrial DNA Mutation in Paraffin-Embedded Muscle Tissues)

  • 김상호;유석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96-300
    • /
    • 2004
  • 환자의 생조직, 얼린 조직 혹은 혈액이 없는 경우에, formalin으로 고정된 파라핀조직을 이용하여 미토콘드리아 돌연변이를 확인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MELAS 환자 4명의 파라핀조직을 택해 이들 조직으로부터 DNA를 추출하여 대부분의 MELAS 환자 미토콘드리아 DNA의 tRN $A^{Leu(UUR)}$ gene의 3243지역에서 발견되는 Adenine의 Cuanine으로의 염기치환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3명의 환자에게서 이 점 돌연변이를 확인할 수 있어 이들 파라핀조직의 상태가 좋은 것으로 여겨져 미토콘드리아 DNA 돌연변이 연구에 파라핀조직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다.

화학적 질식제 -청화물과 황화수소를 중심으로 (Chemical Asphyxiants - Cyanides and Hydrogen Sulfides)

  • 김양호;최영희;이충렬;이지호;유철인;이 현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2-20
    • /
    • 2003
  • Cyanides and hydrogen sulfide ($H_2S$) are major chemical asphyxiants. They have common mechanism of action which inhibit cellular respiration and induce histotoxic hypoxia. They do not generate ATP, and all processes dependent on ATP are stopped. No extraction of $O_2$ from blood decreases AV $O_2$ differences, and the shift to anaerobic glycolysis brings about lactic acidosis with high anion gap. The mainstay of the treatment is rapid treatment with appropriate use of antidotes. However, there are several differences between cyanides and $H_2S$. First, $H_2S$ is not metabolized by enzymes such as thiosulfate. Thus thiosulfate does not play any role in treatment of $H_2S$. Second, $H_2S$ is a more potent inhibitor of cytochrome aa3 than cyanide. Third, $H_2S$ induces more divergent neurologic sequele than cyanide. Finally, $H_2S$ is not absorbed via skin.

  • PDF

Metformin Addition to Chemotherapy in Stage IV Non-Small Cell Lung Cancer: an Open Label Randomized Controlled Study

  • Sayed, Rana;Saad, Amr S;El Wakeel, Lamia;Elkholy, Engi;Badary, Osam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5호
    • /
    • pp.6621-6626
    • /
    • 2015
  • Purpose: To evaluate effects of metformin on clinical outcome of non-diabetic patients with stage IV NSCLC. Materials and Methods: A prospective, randomized, open-label, controlled pilot study was conducted on patients with stage IV NSCLC with an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Performance Status (ECOG PS) of 0-2, excluding patients with diabetes and lactic acidosis. Thirty chemo-$na\ddot{i}ve$, non-diabetic patients with stage IV NSCLC were enrolled. Fifteen patients received intravenous gemcitabine/cisplatin regimen alone (arm B) while fifteen patients received the same regimen plus daily oral metformin 500mg (arm A). The effect of metformin on chemotherapy-response rates, survival, and adverse events in these patients was evaluated. Results: Objective response rate (ORR) and median overall survival (OS) in arms A and B were 46.7% versus 13.3% respectively, p=0.109 and 12 months versus 6.5 months, respectively, p=0.119. Median progression free survival (PFS) in arms A and B was 5.5 months versus 5 months, p=0.062. No significant increase in toxicity was observed in arm A versus arm B. Percentage of patients who experienced nausea was significantly lower in arm A versus arm B, at 26.7% versus 66.7% respectively, p=0.028. Conclusions: Metformin administration reduced occurrence of chemotherapy induced-nausea. Non-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ORR or OS were observed. Metformin had no effect on PFS.

당뇨병환자에게 부적절하게 사용된 Metformin의 처방빈도 분석 (Frequency of Inappropriate Metformin Use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 신혜연;정기화
    • 약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455-460
    • /
    • 2010
  • We evaluated the inappropriateness of metformin us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nd chronic medical conditions to identify the frequency of the prescription metformin in violation of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black box warning. We reviewed medical records of 307 outpatients who received metformin at endocrinology department in a hospital setting between January 1, 2005 and August 30, 2009. Of the 307 outpatients, 25 discontinued treatment of metformin due to elevated serum creatinine level (Scr${\geq}$1.5 mg/dl in male, Scr${\geq}$1.4 mg/dl in female), cancers, and/or liver disease. 5 were lost to follow-up. 89 (29.0%) of the patients had cardiovascular disease, 54.1% for hypertension, 9.8% for liver disease, and 60 (20.8%) for chronic kidney disease. 12 patients (3.9%) with chronic kidney disease and/or elevated serum creatinine level, and 1 patient (0.3%) with lactic acidosis were contraindicated to metformin use. Metformin should be avoided in 7 outpatients (2.3%) with active hepatitis and 1 patient (2.6%) with liver cirrhosis. Of the 307 outpatients, 13 (4.2%) patients who received metformin at the first visit and 16 (8.7%) patients who received metformin at the last visit violated to black box warning. 8 (2.6%) of the patients were in precautionary conditions to metformin use. Adjusted mean difference of serum creatinine was -0.16 mg/dl [95% CI: -0.22 to -0.11 (p<0.05)] and adjusted mean difference of alanine aminotransferase was 4.46 IU/l [95% CI: 2.47 to 6.44 (p<0.05)] between the first visit and the last visit. Critical number of elderly patients who are at the high risks of drug-disease and drug-laboratory interaction is exposed to the inappropriate metformin use in violation of black box warning. The periodic evaluation of metformin use and monitoring prescription through drug utility review (DUR) system is needed to improve patients' safety and to reduce adverse drug events.

응급실 초기에 다량의 글라이포세이트 중독과 관련된 예측인자: QTc 간격 연장 (Predicting Factors Associated with Large Amounts of Glyphosate Intoxication in the Early-Stage Emergency Department: QTc Interval Prolongation)

  • 경동수;전재천;최우익;이상훈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30-135
    • /
    • 2020
  • Purpose: Taking large amounts of glyphosate is life-threatening, but the amounts of glyphosate taken by patients for suicide are not known precis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predictors of large amounts of glyphosate ingestion.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analyzed patients presenting to an emergency department with glyphosate intoxication between 2010 and 2019, in a single tertiary hospital.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 intake amounts were investigated. The parameters were analyzed by multivariate 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and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Results: Of the 28 patients with glyphosate intoxication, 15 (53.6%) were in the large amounts group. Un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metabolic acidosis, lactic acid, and corrected QT (QTc) interval were significant factors. In contrast, multivariate analysis presented the QTc interval as the only independent factor with intoxication from large amounts of glyphosate. (odds ratio, 95% confidence interval: 1.073, 1.011-1.139; p=0.020) The area under the ROC curve of the QTc interval was 0.838. Conclusion: The QTc interval is associated significantly with patients who visit the emergency department after being intoxicated by large amounts of glyphosate. These conclusions will help in the initial triage of patients with glyphosate intoxication.

성인기에 진단된 당원병 제 Ia형의 다양한 임상 양상 (Heterogenous Clinical Manifestations in Adult Patients with Late Diagnosis of Glycogen Storage Disease type Ia)

  • 김유미;전종근;김구환;유한욱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17
    • /
    • 2015
  • 당원병 Ia형은 glucose-6-phosphatase 효소의 결핍으로 인해 발생되는 상염색체열성 질환으로 특징적인 임상양상으로 대부분 영아기에 진단되나 증상의 경중에 따라 진단 연령이 늦어지기도 한다. 또한 환자 진단 시 유전 양식을 고려한 올바른 유전 상담과 더불어 형제, 자매에 대한 스크리닝이 중요하겠다. 본 연구는 성인기에 진단된 GSD Ia 자매에서의 임상양상의 차이를 기술하고 성인기 합병증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여, 특히 간질환, 신부전 또는 대사성 질환으로 진료 받는 성인 환자들에서 당원병에 대한 감별과 당원병 진단 시 합병증에 대한 검사와 관리에 대해 필요성을 보고하는 바이다. 저혈당, 고지혈증, 고요산증, 젖산혈증, 대사성 산증, 기관 내 당원 축척에 대한 적절한 검사 및 약물 요법을 통해 급성 및 만성 합병증 예방과 적절한 치료를 위해 의료진의 체계적인 접근 및 노력이 필요하겠다.

비소세포폐암주에서 산소 농도에 따른 미세 배양 환경과 세포 증식능 (Microenvironments and Cellular Proliferation Affected by Oxygen Concentration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 Line)

  • 신종욱;전은주;곽희원;송주한;이영우;정재우;최재철;김재열;박인원;최병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3권3호
    • /
    • pp.242-250
    • /
    • 2007
  • 배경 및 목적: 암세포는 빠른 증식 속도로 인하여 상대적인 저산소증에 노출되면서 비정상적인 종양 혈관을 형성하여 치명적인 병인을 형성한다. 저산소증에서의 암세포 내의 유전자 표현을 연구하는 것은 병인의 규명과 나아가 치료에 결정적인 단초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체외 배양한 비소세포폐암의 증식과 저산소증 상태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비소세포폐암주인 A549를 RPMI 배지에서 계대 배양하였다. 저산소 유사 상태는 Modular Incubator Chamber(MIC-101)을 이용하였고 5% 이산화탄소와 95% 질소 혼합 가스를 5분간 공급하여 저산소 상태를 만들었으며 세포 배양액을 채취하여 혈액가스분석기(Blood Gas Analyzer ABL 725)로 세포 배양 상태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 5% $CO_2$와 멸균한 대기 공기 95%가 혼합된 가스를 사용하였다. 세포의 증식 상태는 MTT 방법을 실시하였다. 결과: 1. MIC-101을 이용하였을 때, 무산소혼합가스를 투여 후 30분에 50%의 산소 분압저하를 확인하였으며, 대기 가스에 의해 산소농도를 회복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2. 무산소 혼합가스로 정화(purging)를 하면 산소의 분압을 더 낮출 수 있었다. 3. 저산소 상태에서 세포 배양액 내에는 pH 감소, 젖산 증가, 포도당의 감소와 같은 미세환경이 변하였다. 4. 세포배양액에 따라 저산소에 의해 유도되는 포도당 저하에 차이가 있었다. 5. 비소세포폐암주는 저산소에 의해 증식능이 억제되었다. 결론: 저산소 상태는 세포 배양액 내 포도당 농도의 감소, 젖산의 증가, pH의 감소 등 세포 배양 미세 환경을 변화시키며, 비소세포폐암세포는 증식이 억제된다. 저산소는 미세 환경 변화와 함께 직접적으로 그리고 간접적으로 비소세포의 증식능에 영향을 미친다.

Tocolytics에 의해 유발된 폐부종 1예 (A case of Tocolytics Induced Pulmonary Edema)

  • 이대준;김창인;지영구;이계영;김건열;최영희;서필원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1호
    • /
    • pp.183-190
    • /
    • 1997
  • Tocolytics 임신부의 조기진통시 치료제로 많이 사용되는 약제지만 드물게는 폐부종을 일으켜 치명적일 수 있다. Tocolytics가 폐부종을 일으키는 기전은 용적증가, 교질삼투압의 감소, 심근 손상, 모세혈관 내막의 손상등에 의해 발생한다고 설명되고 있으나 아직 불확실한 상태이며 폐부종 발생의 양대 기전인 정수압적 폐부종과 투과성 폐부종의 양상이 모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임산부가 다산부이거나 다태아 임신인 경우, 임신중 수액공급을 많이 받은 경우, 심장 질환이 동반된 경우, 감염이 동반된 경우, 동시에 steroid나 MgSO4로 치료 받은 경우등이 tocolytics 사용시 폐부종이 쉽게 발생될 수 있는 선행요인으로 작용함이 알려져왔다. 저자들은 조기진통이 있어 tocolytics인 ritodrine 치료후 정상분만하였으나 분만후 급속히 진행하는 폐부종이 발생한 30세 여자 환자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 이다.

  • PDF

유전성대사이상질환의 진단의 체계적 접근 (Systematic Approach for the Diagnosis of IEM)

  • 이홍진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3-134
    • /
    • 2014
  • 유전성대사장애질환의 진단과 치료는 최근들어 비약적인 발전을 하고 있으며, 치료가 불가능하여 대증적인 치료만이 가능하였던 많은 병들이 치료가 가능하 여지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비가역적인 후유증이 생기기전의 조기진단의 중요성을 더 크게 한다. 유전성 대사장애질환은 현재 밝혀진 것만 하더라도 수백 가지의 질병에 이르며, 가까운 미래에 그 수는 수천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와 같은 질병의 다양성과 그 증상 및 임상적발현의 다양성은 임상의들이 정확한 진단에 이르는데 크나큰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신생아기와 영아기 초기의 임상적인 발현은 비특이적이지만 나이가 들어가면서 다양한 특징적인 증상을 나타내게 된다. 같은 질병일지라도 잔류효소농도(residual enzyme activity)가 거의 없는 경우에는 신생아기 또는 영아기 등 이른시기에 증상이 나타나지만 잔류효소농도가 어느 정도 남아 있는 경우에는 늦게 소아기 또는 성인기에 증상을 나타내며, 유기산이나 지방산대사이상의 경우에는 이화작용이 증가되는 스트레스상태에서 갑작스런 악화를 보일 수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증상과 검사소견들을 정리하여 보고, 그러한 증상을 일으키는 주된 질병들을 정리하여 감별진단과 검사를 체계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