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CEOLATA1

검색결과 252건 처리시간 0.026초

발효더덕의 화학성분 (Chemical Compositions of Fermented Codonopsis lanceolata)

  • 박성진;성동호;박동식;김승섭;고징유;안주희;윤원병;이현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96-400
    • /
    • 2009
  • 더덕(Codonopsis lanceolata Bench. et Hook.)은 예로부터 한방에서 염증을 제거하는 작용이 있고, 인후염이나 림프절 결핵에 효과가 있으며 오랫동안 먹어도 독성이 없는 상품(上品)의 한약자원이다. 민간에서는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에도 이용하며, 최근에는 항암효과와 변비 예방 및 치료에 효능이 있는 식이섬유가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밝혀져 약용을 겸한 건강식품으로 주목을 받는 산채이다. 본 연구는 등급 외 더덕을 이용하여 발효더덕을 제조한 후 약이성 음식으로의 활용을 위한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계획 수행되었다. 따라서 발효더덕의 영양성분 분석을 통한 식품영양학적 접근을 하고자 분석을 하였다. 식품영양학적 접근에서의 일반성분은 건량기준으로 당질(79.3%) 조단백질 (13.0%), 조지방(2.40%) 및 조회분(5.3%)이었고 각 시료 100 g의 함유열량은 390.5 kcal로 분석되었으며, 총 식이섬유소 함량은 건량기준으로 총 당질 중 47.4%를 나타내었다. 또한, 총 18 종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었으며 필수아미노산(8,118.18 mg)과 비필수아미노산(10,913.42 mg)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무기질 중 칼륨의 함유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인, 칼슘, 마그네슘 순으로 나타나 알칼리성 재료임을 알 수 있었으며, 지방산 함량의 경우 총 포화지방산(37.86%), 단일불포화지방산(3.84%) 및 다가불포화지방산(35.64%)으로 구성 되어 있어 다른 식물류에 비해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포닌의 경우 60.1 mg/g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리당 함량의 경우 maltose (15.4%), glucose(8.9%), fructose(0.8%)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Priming과 파종후(播種後) 광질처리(光質處理)에 따른 도라지, 더덕, 만삼의 발아율(發芽率) (Effect of Priming and Light Quality on Seed Germintion in Three Campanulan Plants)

  • 강진호;박진서;김동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39-146
    • /
    • 1997
  • 본 연구는 전보(前報)에 이어 초롱꽃과 약용작물 중에서 농가에서 재배되고 있는 도라지, 더덕, 만삼 종자의 발아 및 유근신장에 미치는 priming 방법(재료, 농도, 기간)과 Priming 후 발아과정에서의 광질(光質) (적색광(赤色光), 백색광(白色光), 암상태(暗狀態)) 효과(效果)를 조사하여 입묘율 향상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평균발아율(平均發芽率)은 priming 후 발아시 암조건(暗條件)에서는 도라지, 만삼, 더덕 순으로 감소하였던 반면, Priming 후 광질처리(光質處理)로 인하여 만삼에서는 발아가 억제되고 더덕에서는 발아가 향상되어 도라지, 더덕, 만삼 순으로 감소하였다. 2. 암상태(暗狀態)로 수행된 priming 처리에서 처리기간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할지라도 $KNO_3$ 보다는 $Ca(NO_3)_2$가, 무처리(無處理) 또는 타처리농도(他處理濃度)에 비하여 $50{\sim}150mM$에서 발아율과 유근신장이 향상되었다.3. Priming 후 광질처리(光質處理)로 인한 발아율은 도라지에서는 priming 유무(有無)에는 차이가 없었던 반면, 더덕에서는 발아초기에, 만삼에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발아율이 향상되었다. 4. 발아중 백색광(白色光) 처리(處理)는 더덕과 만삼에서 발아를 억제하였는데 이러한 경향은 만삼에서 큰 반면, 도라지에서는 초기발아가 조장되는 것으로 나타나 초롱꽃과 약용작물의 발아는 priming 후 주어지는 광질(光質)에 따라 변화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더덕의 주근에서 유래한 Cyclophilin 1 (ClCyP1) 유전자의 분리 및 분석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yclophilin 1 (ClCyP1) Gene from Codonopsis lanceolata)

  • 양덕춘;이강;인준교;이범수;김종학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39-247
    • /
    • 2004
  • 더덕 뿌리에서 유래한 EST cDNA library로부터 cyclophilin 유전자와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 는 full clone cDNA를 얻었다. 더덕의 cyclophilin, ClCyP1은 747 bp의 cDNA로 174개의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525 bp의 ORF를 가지고 있다. ClCyP1의 아미노산 서열을 분석한 결과, 기존에 보고된 식물들의 cytosolic cyclophilin들과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었으며, 여러 식물의 cytosolic CyP의 공통적인 특징인 7개의 아미노산 잔기(KSGKPLH)를 가지고 있었다. RT-PCR분석 결과, 더덕의 ClCyP1은 식물의 조직 전체에서 발현되며, 저온, 고온, 그리고 염 스트레스에 대해 그 발현량이 증가하였다.

증숙 및 발효 더덕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변화 (Evaluati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Steamed and Fermented Deodeok (Codonopsis lanceolata))

  • 정래승;윤원병;박성진;박동식;안주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35-13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증숙 및 발효에 의한 더덕(Codonopsis lanceolata)의 이화학적 특성과 생리활성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건조된 더덕 시료를 증숙처리한 후 Lactobacillus rhamnosus를 접종하여 $37^{\circ}C$에서 7일간 혐기적 조건에서 발효시켰다. 비증숙과 비발효 더덕추출물(NS-NF)을 대조군으로 하여 처리군에는 비증숙과 발효 더덕추출물(NS-LF), 증숙과 비발효 더덕 추출물(S-NF), 증숙과 발효 더덕추출물(S-LF)을 포함한다. 총 폴 리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NS-NF(8.9 mg GAE/g)와 비교하여 S-NF와 S-LF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26 mg GAE/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S-NF(8.1 mg RE/mL)와 S-LF(7.8 mg RE/mL)에서 가장 높았다. S-NF와 S-LF의 $EC_{50}$ 값이 각각 0.8과 0.6 mg/mL으로 높은 항산화능을 보였다.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Typhimurium, Shigella boydii의 생육은 S-LF에 의해 효과적으로 저해되었다(MIC<9 mg/mL). NS-NF($EC_{50}$ <17 mg/mL)에 비교하여 NS-LF와 S-LF($EC_{50}$ <6 mg/mL)가 가장 높은 ${\alpha}$-glucosidase와 tyrosinase 저해효과를 나타냈다. Aacetylcholinesterase(AChE)는 S-LF($EC_{50}$ <32 mg/mL)에 의해 효과적으로 저해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증숙에 의해 더덕의 총 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능이 향상되었으며 발효에 의해 특이적으로 항미생물 효과, 효소활성저해 및 인지기능 개선 등과 같은 생리활성을 효과적으로 증진시켰다.

더덕, 도라지 표고균사발효물의 유용성분 및 생리활성 (Beneficial constitu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fermented Codonopsis lanceolata and Platycodon grandiflorus by Lentinula edodes mycelium)

  • 고영우;윤경원;김경제;진성우;임승빈;하늘이;정희경;김승주;김복선;최유진;송다혜;서경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00-309
    • /
    • 2021
  • 한약재로 사용되는 더덕과 도라지에 표고의 유용성분을 함유한 소재를 개발하고자 더덕표고균사발효물(FCLM)과 더덕도라지균사발효물(FPLM)을 제조하였다. 두 가지 발효물의 일반성분, 유리당, 유기산, 𝛽-glucan, ergothioneine, ergosterol, vitamin D2 함량 및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일반성분 분석결과, FCLM에서 조섬유와 조지방함량이 FPLM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FPLM은 조단백질과 가용성무질소물의 함량이 FCLM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유리당은 FCLM과 FPLM 모두 arabinose, glucose, sucrose 3종이 검출되었으며, 총 유리당 함량은 FPLM에서 높게 나타났다. 유기산 함량은 발효 전 더덕과 도라지에 비하여 발효 후 FCLM과 FPLM에서 낮게 나타났다. 𝛽-Glucan 함량은 FCLM과 FPLM 두 발효물에서 대조구로 사용한 표고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항산화 물질로 알려진 ergothioneine의 함량은 FCLM이 FPLM보다 높게 나타났다. Ergosterol 함량은 대조구로 사용한 표고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발효물들은 비슷한 함량을 나타내었다. Vitamin D2는 발효물들에서만 검출되었으며, FPLM (0.58±0.01 mg%)가 FCLM (0.47±0.01 mg%)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더덕과 도라지 표고균사발효물인 FCLM과 FPLM는 3T3-L1 지방전구세포에 대하여 발효 전 더덕과 도라지에 비하여 높은 수준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FCLM과 FPLM은 3T3-L1 지방전구세포 분화를 발효 전 더덕과 도라지에 비하여 높은 수준으로 억제하여, 비만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용호만 조간대의 동물군집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Intertidal Macrofauna Community at Yong-ho Bay, Busan, Korea)

  • 이순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33-149
    • /
    • 1975
  • 용호만의 조간대에서 서식하는 저서 동물군집에 대한 생태학적인 연구를 하였다. 총 29속 32종이 채집 되었고, 이중 Armandia lanceolata와 Nephtys sp. A가 수적으로 우점종이었으며, 무게로서는 Neanthes japonica와 Laternula limicola가 우점종이었다. 동물군의 분포는 3채의 지역으로 나누어 지며 이는 저질의 입도 조성 특히 니질의 함량에 영향을 받는듯 하며 이 결과는 steces diversify와 faunal affinity와도 잘 일치한다. 유기물 총량과 노출 시간이 동물군집 전체에 미치는 영향은 발견되지 않았다.

  • PDF

더덕 추출물과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및 티로시나아제 저해활성 (Antioxidant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Codonopsis lanceolata Extract and Solvent Fraction)

  • 김지영;이민기;황병순;김기창;황인국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611-619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Codonopsis lanceolata 50% ethanol extract, and its solvent fractions (n-hexane, ethyl acetate (EA), n-butanol, water). The main components of the EA fraction were qualitatively analyzed using UPLC Q-ToF/MS. Additionally, a quant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UPLC. As a result,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113.36 mg gallic acid/g in the EA fraction, which contained the largest amount of the C. lancolata solvent fractions. Also EA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than other fractions. The IC50 of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0.03 mg/mL and the IC50 of ABT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at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0.049 mg/mL. The EA fraction showe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than other fractions and especially inhibited monophenolase oxidase reaction higher than diphenolase oxidase reaction. The monophenolase oxidase inhibited 55%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EA fraction was 0.25 mg/mL. As a result of Q-ToF/MS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angshenoside I and lobetyolin were the main components of EA fraction. Th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 lanceolata may be used as a potent source of cosmetic agents.

더덕의 알칼로이드 성분에 관한 연구 (Chemical Studies on the Alkaloidal Constituents of Codonopsis lanceolata)

  • 장영경;김상열;한병훈
    • 약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7
    • /
    • 1986
  • The alkaloid components in the root of Codonopsis lanceolata were studied. From the ether soluble alkaloid fraction, four $\beta$-carboline alkaloids were isolated in crystalline state by chromatographic purification process; comp. I mp $178^{\circ}$, isolated yield 4.5$\times$$10^{-5}%$, comp. II mp $166^{\circ}$, 6.0$\times$$10^{-5}%$, comp. III mp $164^{\circ}$, 1.8$\times$$10^{-4}%$ and comp. IV mp $197^{\circ}$, 3.5$\times$$10^{-5}%$. They were identified by spectral analysis and by total synthesis as being a new component $N_9$-formylharman, and already known components in other plant 1-carbomethoxy-$\beta$-carboline, perlolyrine and norharman.

  • PDF

天然型 ABA의 葉面散布가 더덕의 生長, 收量에 미치는 影響 (Effectof natural type ABA foliar application on growth, yield of Codonopsis lancelata)

  • 김학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01-306
    • /
    • 1998
  • In order to improve cultivation technuque of C. lanceolata, natural ABA was treated with foliar application periodically during differenctitation of node. The higher is concentration and the earier its foliar application was, the shoter plant height was. Especially, when $10mg;.L{-1}$ of ABA was treated at differentiated stage of 3rd node, plant height was inhibited to 60% of control. But leaf length, leaf width, and number of branches have no significant differnence in comparison wiht control. The fresh weight of subterranean part was similar to control independent of treat-time in the case of $10mg;.L{-1}$. When 1,5 and $10mg;.L{-1}$ of ABA were treated at initial differentiated node stage, plant height inhibited to 20~30% of control, but subterranean part was similar to control. All treatement showed slight antitumor activity by the P388 cytotoxic screening tes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