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Carnitine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3초

3-methylcrotonyl-CoA carboxylase 결핍증의 임상 양상과 유전자 분석 (Clinical Findings and Gene Analysis of 3-Methylcrotonyl-CoA Carboxylase Deficiency)

  • 이승은;안희재;이정호;이동환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8
    • /
    • 2015
  • 목적: 3-methylcrotonyl CoA carboxylase 결핍은 MCCC1 또는 MCCC2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leucine 대사의 이상이다. 임상 양상은 신생아기에 중한 경과를 보이는 경우부터 무증상까지 다양하다. 3MCCD에 대한 한국의 장기적인 연구가 아직 없으며 본 저자는 3MCCD로 진단받은 환아들의 임상 양상과 유전자 분석에 대하여 연구하기로 하였다. 목적: 본 연구는 2009년 4월부터 2013년 9월 사이에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유전자 클리닉에서 3MCCD로 진단받은 7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자매 1쌍을 포함하였다. 이들은 모두 신생아 대사이상 검사에서 진단받은 환아들이었다. 결과: 신생아 대사이상 선별검사에서 3-OH-isovalerylcarnitine(C5OH) 수치는 2.705 umol/L에서 12.18 umol/L까지 나타내었고 정상 범위보다 증가해 있었다(정상범위<0.54 umol/L). 모든 환아에서 소변 3MCG의 상승된 소견 확인되었으며, 범위는 1.21에서 818.09 mmol/mol Cr 이었다(정상 소견은 소변에서 3MCG가 검출되지 않아야 한다). 7명의 환자에서 소변 3HIVA에서 상승된 소견 확인되었다. MCCC1 유전자 변이는 2명의 환아에서 확인되었고, MCCC2 유전자 변이는 5명의 환아에서 확인되었다. 또한 8종류의 뉴클레오타이드 변화와 그에 따른 아미노산 서열의 변화도 확인할 수 있었다. MCCC1 유전자 변이 환아는 자매관계였으며 c.826T>C 한 종류의 뉴클레오타이드 변화를 나타냈으며, MCCC2 유전자 변이 환아의 경우에서는 총 7 종류의 뉴클레오타이드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모든 환아에서 진단 즉시 L-carnitine (50-100 mg/kg/day), L-glycine (100-200 mg/kg/day), leucine 제한 식이를 시작하였으며, 그 중 4명의 환아는 조효소로서의 biotin 투여를 시작하였다. 지속적인 경과 관찰 후 4명의 환아는 정상 식이를 진행 중이다. 치료 시작 후 소변 3MCG, 3HIVA의 변화에는 유의할 변화를 확인할 수 없었으며, 매 3-6개월 마다 L-carnitine 용량의 조절을 위하여 혈중 free carnitine 수치를 검사하고 있다. 결론: 본 연구에서 무증상 3MCCD 환아에서 MCCC1 유전자 변이는 29%, MCCC2 유전자 변이는 71%로 MCCC2 유전자 변이가 더 많았다. 그러나 이러한 원인이 되는 유전자 종류와 소변 3MCG, 3HIVA 수치와 임상 양상과는 유의할 상관 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으며, 이는 추후 연구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탠덤매스 신생아 스크리닝 검사로 발견된 Isolated 3-Methylcrotonyl CoA Carboxylase 결핍증 1례 (Isolated 3-Methylcrotonyl CoA Carboxylase Deficiency Detected by Newborn Screening Program Using Tandem Mass Spectrometry)

  • 곽주영;박준영;남경아;손상희;서손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5호
    • /
    • pp.561-564
    • /
    • 2005
  • 저자들은 탠덤매스를 이용한 신생아 대사질환 스크리닝 검사로 우연히 발견된 무증상의 isolated 3-methylcrotonyl CoA carboxylase 결핍증 1례를 경험하여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Amino Acid, Amino Acid Metabolite, and GABA Content of Three Domestic Tomato Varieties

  • Ahn, Jun-Bae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1-77
    • /
    • 2016
  • To determine the nutritional value of domestic tomatoes, the levels of amino acids, amino acid metabolites, and the bioactive compound ${\gamma}-aminobutyric-acid$ (GABA) were analyzed in three domestic tomato varieties (Rafito, Momotaro, and Medison). Eighteen free amino acids were found, and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 was 3,810.21~4,594.56 mg/100 g (dry weight). L-glutamic acid (L-Glu) was the most abundant amino acid, ranging from 1,866.60 mg/100 g for Momotaro to 2,417.45 mg/100 g for Medison. The next most abundant amino acids were L-glutamine (L-Gln) and L-aspartic acid (L-Asp). The three tomato varieties had a good balance of all the essential amino acids except tryptophan. Total essential amino acid content was 274.26~472.71 mg/100 g (dry weight). The following amino acid metabolites were found: L-carnitine (L-Car), hydroxylysine (Hyl), o-phosphoethanolamine (o-Pea), phosphoserine (p-Ser), ${\beta}-alanine$ (${\beta}-Ala$), N-methyl-histidine (Me-His), ethanolamine (EtNH2),and L-citrulline(L-Cit). Large quantities of GABA were found in all three varieties: 666.95-868.48 mg/100g (dry weight). These results support the use of these tomato varieties as nutritious food materials.

The effect of aging on the quality of Semimembranosus muscle from Hanwoo

  • Kim, Sun Hyo;Kim, Hyun Joo;Lee, Hyun Jung;Yong, Hae In;Jo, Cheorun;Nam, Ki Chang;Jung, Samooel
    • 농업과학연구
    • /
    • 제43권1호
    • /
    • pp.61-71
    • /
    • 2016
  • The effect of postmortem aging on the quality of Semimembranosus muscle (SM) from Hanwoo was investigated. The quality of SM was compared with that of Longissimus dorsi muscle (LD). SM contained higher moisture, protein, and ash, and lower fat than LD (p<0.05). The $a^*$ and $b^*$ values of SM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21 days of aging. SM showed higher $a^*$ values than LD at 1 and 7 day of aging (p<0.05). The cooking loss of SM was not affect by aging. SM had higher cooking loss than that of LD throughout the aging period. Although the shear force of SM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aging, SM showed high shear force compared to LD during aging period (p<0.05). Aging increased lipid oxidation in both muscles (p<0.05). However, TBARS value of SM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LD throughout the aging period (p<0.05). There was no effect of aging on the betaine and L-carnitine contents of SM. SM contained higher betaine and L-carnitine than LD in all aging days (p<0.05). Therefore, we concluded that consumer acceptability of SM could be increased by aging based on the increase of tenderness in addition to its high nutritional properties.

Comparison of Bioactive Compounds and Quality Traits of Breast Meat from Korean Native Ducks and Commercial Ducks

  • Lee, Hyun Jung;Jayasena, Dinesh D.;Kim, Sun Hyo;Kim, Hyun Joo;Heo, Kang Nyung;Song, Ji Eun;Jo, Cheoru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4-120
    • /
    • 2015
  •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compare the bioactive compound content and quality traits of breast meat from male and female Korean native ducks (KND) and commercial ducks (CD, Cherry Valley). Meat from three 6-wk old birds of each sex from KND and CD were evaluated for carcass and breast weights, pH, color, cooking loss, shear force, and bioactive compound (creatine, carnosine, anserine, betaine, and L-carnitine) content. KN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arcass weights than CD whereas no such difference (p>0.05) was found between male and female ducks. The breed and sex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breast weight, pH value, and shear force. However, KND had significantly lower cooking loss values than did CD. Creatine, anserine, and L-carnitine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KND than in CD and were predominant in female ducks compared to ma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rare information regarding the amounts and the determinants of several bioactive compounds in duck meat, which can be useful for selection and breeding programs, and for popularizing indigenous duck meat.

장쇄 수산화 아세틸코에이 탈수소효소 결핍증에 대한 고찰 (Very Long Chain Acyl-coenzyme A Dehydrogenase Deficiency: A Review of Pathophysiology, Clinical Manifestations, Diagnosis, and Treatment)

  • 강석진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1-27
    • /
    • 2022
  • Very long-chain acyl-coenzyme A dehydrogenase (VLCAD) deficiency (VLCADD) leads to a defective 𝛽-oxidation, specifically during prolonged fasting, infection, or exercise. Patients with VLCADD usually suffer from cardiomyopathy, hypoketotic hypoglycemia, hepatic dysfunction, exercise intolerance, muscle pain, and rhabdomyolysis, and sometimes succumb to sudden death. VLCADD is generally classified into three phenotypes: severe early-onset cardiac and multiorgan failure, hypoketotic hypoglycemia, and later-onset episodic myopathy. Diagnostic evaluation comprises acylcarnitine analysis, genetic analysis, and VLCAD activity assay. In the acylcarnitine analysis, the key metabolites are C14:1, C14:2, C14, and C12:1. A C14:1 level >1 mmol/L strongly suggests VLCADD. Various treatment recommendations are available for this condition. Dietary management includes decreasing fat content, increasing medium-chain triglyceride levels, and decreasing fasting periods. Supplementation with L-carnitine is controversial. Triheptanoin (a seven-carbon fatty acid triglyceride) treatment demonstrates improvement of cardiac functions. Bezafibrate may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VLCAD.

국내산 방울토마토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omestic Cherry Tomato Varieties)

  • 안준배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42-49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nutritional value of domestic cherry tomato varieties (Summerking, Qutiquti, and Minichal). The levels of amino acids, amino acid derivatives, and ${\gamma}-aminobutyric-acid$ (GABA) were analyzed using ion chromatography. In domestic cherry tomatoes, eighteen free amino acids were found including L-glutamic acid (L-Glu), L-glutamine (L-Gln), and L-aspartic acid (L-Asp). L-Glu was the most abundant amino acid, ranging from 1,533.17 mg/100 g to 1,920.65 mg/100 g (dry weight). The next abundant amino acids were L-Gln, ranging from 784.68 mg/100 g to 1,164.36 mg/100 g and L-Asp, ranging from 320.73 mg/100 g to 387.22 mg/100 g. Domestic cherry tomatoes contained eight essential amino acids except tryptophan and the total essential amino acid content was 297.30~432.43 mg/100 g (dry weight), which was 8.92~10.61% of total free amino acid. Several amino acid derivatives were found: L-carnitine (L-Car), hydroxylysine (Hyl), o-phosphoethanolamine (o-Pea), phosphoserine (p-Ser), ${\beta}-alanine$ (${\beta}-Ala$), N-methyl-histidine (Me-His), ethanolamine ($EtNH_2$), and L-citrulline (L-Cit). L-Car, transporting long-chain fatty acid into mitocondrial matrix, was the most abundant amino acid derivative in all domestic cherry tomatoes. A high level of GABA (313.18~638.57 mg/100 g), known as a neurotransmitter, was also found in all three domestic cherry tomatoes. These results revealed that domestic cherry tomatoes have a good balance of nutrient and bioactive compounds. Therefore, cherry tomatoes can be used as a functional food material.

Ginsenoside Rg1 promotes browning by inducing UCP1 expression and mitochondrial activity in 3T3-L1 and subcutaneous white adipocytes

  • Lee, Kippeum;Seo, Young-Jin;Song, Ji-Hyoen;Chei, Sungwoo;Lee, Boo-Yo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3권4호
    • /
    • pp.589-599
    • /
    • 2019
  • Background: Panax ginseng Meyer is known as a conventional herbal medicine, and ginsenoside Rg1, a steroid glycoside, is one of its components. Although Rg1 has been proved to have an antiobesity effect, the mechanism of this effect and whether it involves adipose browning have not been elucidated. Methods: 3T3-L1 and subcutaneous white adipocytes from mice were used to access the thermogenic effect of Rg1. Adipose mitochondria and uncoupling protein 1 (UCP1) expression were analyzed by immunofluorescence. Protein level and mRNA of UCP1 were also evaluated by Western blotting and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pectively. Results: Rg1 dramatically enhanced expression of brown adipocyte-especific markers, such as UCP1 and fatty acid oxidation genes, including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1. In addition, it modulated lipid metabolism, activated 5' adenosine monophosphate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nd promoted lipid droplet dispersion. Conclusions: Rg1 increases UCP1 expression and mitochondrial biogenesis in 3T3-L1 and subcutaneous white adipose cells isolated from C57BL/6 mice. We suggest that Rg1 exerts its antiobesity effects by promoting adipocyte browning through activation of the AMP-activated protein kinase pathway.

방울토마토 라이코펜 품종의 유리아미노산 및 폴리페놀 화합물의 분석 (Analysis of Free Amino Acids and Polyphenol Compounds from Lycopene Variety of Cherry Tomatoes)

  • 김현룡;안준배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7-4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방울토마토 라이코펜 품종의 식품학적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유리아미노산, 아미노산 대사물질 및 폴리페놀 화합물의 조성을 분석하였다. 방울토마토 라이코펜 품종은 L-Cys과 L-Try을 제외한 18종의 유리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었다. 방울토마토 라이코펜 품종의 유리아미노산 중 L-Glu이 건조 중량 100 g 당 2,499.02 mg이 함유되어 전체 아미노산 중 55.5%를 차지하고 있어 유리아미노산 중 가장 많은 함유량을 보였다. 그리고 L-Gln이 전체 아미노산 중 15.9%, L-Asp가 9.9% 함유되어 있어 L-Glu, L-Gln 및 L-Asp가 전체 아미노산 함량의 81%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구성 아미노산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트립토판을 제외한 히스티딘, 이소류신, 류신, 라이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트레오닌 및 발린 등 필수아미노산이 고루 함유되어 있어 영양적인 측면에서 좋은 식품소재로 판단된다. 라이코펜 품종은 ${\gamma}$-aminobutyric acid(GABA), carnitine(L-Car), o-phosphoethanolamine(o-Pea), hydroxylysine(Hyl) phosphoserine(p-Ser), N-methyl-histidine(Me-His), ethanolamine($EtNH_2$) 등 아미노산 대사물질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이 중 GABA가 건조 중량 100 g 당 305.99 mg으로 유리아미노산 대사물질 중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LC/MS/MS 분석을 통해 라이코펜 품종으로부터 caffeic acid-hexose isomer I (CH I), caffeic acid-hexose isomer II (CHII), 3-caffeoylquinic acid(3-CQA), 5-caffeoylquinic acid(5-CQA), caffeoylquinic acid isomer(CQAI), quercetin-hexose-deoxyhexose-pentose(QTS), quercetin-3-rutinoside(Q-3-R), di-caffeoylquinic acid(di-CQA), tri-caffeoylquinic acid(tri-CQA), naringenin chalcone(NGC) 등 10종의 폴리페놀 화합물을 확인하였다. 특히, 항알러지효과, 2형 당뇨 억제 및 비만억제효과를 보이는 NGC이 건조 중량 100 g 당 67.6 m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Q-3-R이 50.9 mg으로 다량 함유되어 있었다. 결과적으로 방울토마토 라이코펜 품종은 18종의 유리아미노산과 트립토판을 제외한 8종의 필수아미노산이 고루 함유되어 있고 GABA, NGC, Q-3-R 등 생리활성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영양이나 건강 측면에서 매우 유용한 식품 소재라 할 수 있다.

C57BL/6J Mice에서 스테비아(Stevia rebaudiana bertoni) 잎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Effect of Stevia rebaudiana Bertoni Leaf Extract on Antiobesity in C57BL/6J Mice)

  • 박정은;기희진;차연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86-592
    • /
    • 2010
  • 미국의 영양사협회(32)에서는 설탕에서 얻은 열량을 전체 섭취량의 10-15%까지로 유지할 것을 권장하고 있고, WHO(33)에서는 전체 섭취 열량의 10% 이하로 권장하고 있다. 서구사회에서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설탕 섭취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 성인 1인 1일 당류 공급량은 1962년 4.8 g에서 1987년 41.9 g, 2003년 57.4 g으로 나타났으며(34), 2007년 한국인의 1일 평균 설탕 섭취량은 100 g, 총 섭취량의 20%로 권장량의 두 배 이상으로 점차 증가되고 있다(35). 그러나 본 실험에서 사용된 스테비아의 당도는 설탕의 200배 이상이나 칼로리는 설탕의 90분의 1에 불과하여 설탕의 대체제로서 가능성이 충분할 것으로 보여진다. 이에 본 연구는 스테비아 잎 추출물 보강이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C57BL/6J mice에서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동물은 정상 대조군(NC), 고지방 대조군(HC), 고지방식이+스테비아 잎 추출물 투여군(HLSV, 1 mL/kg/day), 고지방식이+스테비오사이드 투여군(HSS, 1 mL/kg/day) 4군으로 나누어 사육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중증가량은 스테비아 잎 추출물 투여군(HLSV)에서 고지방 대조군(HC)과 비교 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스테비오사이드 투여군(HSS)은 고지방 대조군(HC)비교 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부고환지방은 스테비아 잎 추출물 투여군(HLSV)과 스테비오사이드 투여군(HSS)에서 고지방 대조군(HC) 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등지방은 스테비아 잎 추출물 투여군(HLSV)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중 및 간중 중성지방은 스테비아 잎 추출물 투여군(HLSV)이 고지방 대조군(HC)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스테비오사이드 투여군(HSS)은 고지방 대조군(HC)에 비해 혈중 중성지방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중 카르니틴 중 NEC의 농도는 고지방 대조군(HC) 보다 스테비아 잎 추출물 투여군(HLSV)과 스테비오사이드 투여군(HSS)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혈중 ASAC와 간중 acyl/free carnitine은 고지방 대조군(HC)과 비교 시 스테비아 잎 추출물 투여군(HLSV)과 스테비오사이드 투여군(HSS)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지질대사와 관련한 체내 mRAN 발현정도를 측정한 결과 ACS mRNA 발현 수준은 고지방대조군(HC)과 비교 시 스테비아 추출물 투여군(HLSV)와 스테비오사이드 투여군(HSS)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스테비오사이드 투여군(HSS)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PAR${\alpha}$ mRNA발현 수준은 고지방대조군(HC)과 비교 시 스테비아 추출물 투여군(HLSV)와 스테비오사이드 투여군(HSS)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CPT-I mRNA 발현 수준은 고지방대조군(HC)과 비교 시 스테비아 추출물 투여군(HLSV)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ACC mRNA 발현 수준은 정상대조군(NC)과 비교 시 고지방대조군(HC)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스테비아 추출물 투여군(HLSV)은 고지방 대조군(HC)과 비교 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스테비오사이드 투여군(HSS)은 차이가 없었다. 결과적으로 스테비아 잎 추출물은 스테비오사이드에 비하여 체내 지질대사개선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보였으며 이는 스테비아의 다양한 phytochemical에 의한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스테비아가 비만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