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scorbic acid

검색결과 893건 처리시간 0.029초

유기산 및 효소적 전처리를 이용한 다시마에서 바이오 에탄올 생산 (Organic Acid and Enzyme Pretreatment of Laminaria japonica for Bio-ethanol Production)

  • 이성목;이재화
    • 공업화학
    • /
    • 제23권2호
    • /
    • pp.164-168
    • /
    • 2012
  • 본 연구는 갈조류인 다시마의 당 성분 함량에 대한 분석과 효소 및 유기산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바이오 에탄올 생산에 대해 연구하였다. HPLC를 이용한 당 성분 분석 결과 alginate가 total sugar의 65.99%로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laminaran과 mannitol이 각각 6.24, 27.77%로 나타났다. 1.5% acetic acid를 이용하여 $121^{\circ}C$, 60 min 동안 가수분해 결과 최대 1.874 g/L의 환원당이 생성되었으며, ascorbic acid의 경우 2.0%에서 최대 4.291 g/L의 환원당이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lginate lyase와 laminarinase와 같은 효소를 이용한 가수분해에서 환원당 생성량은 최대 2.219 g/L였다. 다시마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에탄올 발효 결과 유기산을 처리했을 때에는 에탄올 생산량이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lginate lyase와 laminarinase를 혼합처리 했을 때 에탄올 생산량이 1.26 g/L로 가장 높았다.

사과 왜성대목 M-9의 기내대량번식에 미치는 배양조건의 영향 (Effects of Several Factors on In Vitro Multiplication of Apple Root Stock, M.9 T-337)

  • 정재동;정삼택;백영관;김창길;박윤경;조동훈;박재석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3-36
    • /
    • 2001
  • 고밀도 저수고형의 성공적인 왜화재배를 위한 사과 왜성대목인 M.9 T-337의 대량증식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초기 생장점 배양은 채취한 경정조직을 ascorbic acid와 citric acid를 각각 100 mgL$^{-1}$와 150mgL$^{-1}$로 혼합한 용액에 30분간 전처리한 다음, IBA 0.1 mgL$^{-1}$, GA 0.5 mgL$^{-1}$와 sucrose 30 gL$^{-1}$가 첨가된 MS 액체배지에서 50 rpm으로 2주간 진탕배양한 후, 한천 8 gL$^{-1}$가 첨가된 동일조성의 MS 배지에서 배양하는 것이 신초형성에 가장 좋았다. 발근은 증식된 신초를 1주일간 Hormex 1,000배 액이 첨가된 1/2 MS 기본배지에 IBA 0.5 mgL$^{-1}$, sucrose 30 gL$^{-1}$ 등이 함유된 배지에서 50 rpm으로 진탕배양한 다음 Hormex를 제외한 동일 조성의 한천배지에 옮겨 배양하였을 때 배양된 모든 유묘로부터 정상적인 발근을 유도할 수 있었다.

  • PDF

복분자 추출물의 항산화활성과 가열 돈육의 산화 억제 효과 (Antioxidant of Heating Pork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 Extracts)

  • 조완구;한승관;신지혜;이장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820-825
    • /
    • 2008
  • 완숙복분자의 이화학적 특성, 용매분획별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돈육의 산화억제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복분자의 수분, 조단백, 조지방, 조섬유, 조회분, 탄수화물, 산도, pH 및 무기성분 등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ethyl acetate 추출물, butanol 추출물 그리고 ethanol 추출물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각 추출물의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농도별로 측정한 결과, ethanol 추출물 $2,000\;{\mg}/mL$와 butanol 추출물 $1,500\;{\mg}/mL$ 농도에서 89.93%와 89.68%의 높은 항산화능을 보였다. 또한 ABTS 양이온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hexane 추출물을 제외한 모든 추출물 $1,000{\sim}2,000\;{\mg}/mL$에서 90% 이상의 높은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TBARS 방법으로 돈육의 항산화효과를 측정한 결과 ethyl acetate와 ethanol 추출물 공히 TBARS 값이 0.37 MDAmg/kg으로 ascorbic acid 0.39 MDAmg/kg보다 항산화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복분자 ethyl acetate와 ethanol 추출물은 ascorbic acid보다 산화억제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생각된다.

마이크로웨이브로 추출한 용매별 치자(Gardeniae Fructus)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Gardeniae Fructus Extracts by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as Affected by Solvents)

  • 정현진;김선아;권중호;김현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82-287
    • /
    • 2008
  • 추출용매를 달리하여 마이크로웨이브로 추출한 치자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치자를 물, 50% 및 100%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마이크로웨이브로 추출하였고, 이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세 종류의 추출용매 중 50% 에탄올 추출구의 생리활성이 다른 추출구에 비해 높은 경향이었으며 100% 에탄올 추출구의 활성은 낮은 편이었다. 전자공여능은 0.6 mg/mL 농도일 때 50%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96.43{\pm}0.25%$로 0.1, 1% L-ascorbic acid와 유사한 활성이 있었고, 아질산염 소거능은 $71.99{\pm}3.71%$로 0.1, 1% L-ascorbic acid에는 못 미쳤지만 0.01% L-ascorbic acid보다 우수한 활성이 있었다. 티로시나아제 저해활성은 $11{\sim}19%$로 모든 추출물에서 20% 미만의 낮은 활성을 보였고 물과 50% 에탄올 추출구는 농도에 반비례하여 활성이 증가하는 양상이었다. SOD 유사활성도 티로시나아제 저해활성과 유사한 결과로 모든 추출구가 농도 증가에 따라 활성이 감소하였으며 전체적으로 40% 미만의 활성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치자 추출물은 SOD 유사활성 및 티로시나아제 저해 효과는 높지 않지만 우수한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천연 항산화제로서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었다.

뽕나무 품종별.시기별 뽕잎과 오디의 항산화능 분석 (Anti-oxidative Capacity Analysis of Water-Soluble Substances According to Varieties and Maturity Stages in Mulberry Leaves and Fruits)

  • 김현복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62-67
    • /
    • 2005
  • 장려뽕 16 품종에 대한 뽕잎과 오디의 항산화능을 시기별로 채취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항산화능 측정장치(munilum L-100, ABCD GmbH) 및 ARAW-KIT(antiradical ability of water-soluble substance)를 사용하였으며, ascorbic acid를 표준물질로 사용하여 calibration curve를 작성하였다. 시료의 항산화능과 분석에 소요되는 전처리 시간을 고려하여 80% MeOH, 30 sec. vortex mixing 방법을 기준 전처리 방법으로 하였다. 16품종 전체의 뽕잎에 대한 항산화능을 분석한 결과 5개엽기의 어린 뽕잎의 항산화능은 3303.4 nmol로 높았으며, 오디가 착색되기 직전 3708.0 nmol으로 최대 값을 나타낸 후 시기가 경과함에 따라 점차 감소 및 하벌 후 점차 증가 하다가 뽕잎이 경화되기 직전 춘기 어린 잎 정도의 항산화능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능이 높은 뽕잎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5월 하순에 채취하는 것이 수율도 높아 경제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생과 또는 가공식품의 원료로 사용하기 위해 오디를 수확한 후 남은 뽕잎의 이용도 충분히 가능하므로 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하벌 전에 뽕잎의 수확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뽕잎 수확 후 저장하는 방법보다 시기에 따른 뽕잎 자체의 성숙 정도가 뽕잎의 항산화능을 결정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추출조건이 해동피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 (Antioxidant Activity of Water-soluble Extracts from Kalopanacis cortex)

  • 양훈석;이양봉;유병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527-533
    • /
    • 2013
  • 해동피 항산화 물질을 추출하기 위한 열수 추출조건을 냉장처리 여부,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을 달리하여 검토하였다. 이러한 조건을 달리하여 추출된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및 HRSA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냉장처리 후 추출온도 $95^{\circ}C$, 추출 15시간에서 $612{\mu}g/mL$로써 가장 높았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냉장처리 후 추출온도 $95^{\circ}C$, 추출 15시간에서 가장 높은 78.8%이었고 대조구인 ascorbic acid의 70.2%보다 높게 나타났다. HRSA는 냉장처리 후 추출온도 $95^{\circ}C$, 추출 15시간에서 ascorbic acid 56.6%보다 높은 69.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상의 열수추출에 의한 해동피의 항산화성 활성 및 그 최적 조건을 확립한 것으로 향후 해동피의 기능성식품으로서의 이용개발을 위한 중요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참나물로부터 추출한 polyphenol oxidase의 부분정제 및 성질 (Purification and some properties of polyphenol oxidase from Spuriopimpinella bracycarpa)

  • 함승시;홍은희;이상영;박귀근;오무라 히로히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1호
    • /
    • pp.49-53
    • /
    • 1991
  • 참나물로부터 추출한 polyphenol oxidase의 부분정제를 $(NH_4)_2SO_4$, 처리 및 Sephadex G-150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분리하였다. Polyphenoloxidase의 최적 pH와 최적온도는 7.5와$30^{\circ}C$였으며, pH 6.5에서 $70^{\circ}C$에서 30분간 처리시와 $80^{\circ}C$에서 5분간 처리시 완전 실활하였다. Polyphenol oxidase는 ascorbic acid, glutathione, potassium cyanide(0.1mM)에 의해 불활성화되었으며 L-cysteine, potassium cyanide, ascorbic acid, glutathione(0.5, 1mM)에 의해서는 완전 실활되었다. Catechol과 3,4-dihydroxytoluene의 기질은 높은 특이성을 나타낸 반면 pyrogallol, dopamine, DL-dopa의 기질은 강하게 활성을 억제하였다. Polyphenol oxidase의 $K_m$ 값은 86.5mM이었다.

  • PDF

천연 갈변저해제를 처리한 신선절단 감자의 저장 중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esh-cut Potatoes with Natural Antibrowning Treatment during Storage)

  • 황태영;문광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83-187
    • /
    • 2006
  • 감초와 녹차추출액에 신선절단한 감자를 침지하고 각각 LDPE 필름으로 포장하여 $4^{\circ}C$에서 저장하면서 저장 중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저장함에 따라 L value는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ascorbic acid를 함께 처리한 경우 하락 폭을 줄여 줄수 있었다. 저장 중 포장내의 이산화탄소 함량은 증가하였고 산소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저장 7일경까지는 녹차와 ascorbic과의 병용처리구를 제외하고는 큰 변화 가 없었으나 저장 14일경에는 모든 구에서 급격한 증가 현상을 보였다. Chlorogenic acid의 경우에도 총페놀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저장 기간 경과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띠었다. PRO activity를 측정한 결과 저장 기간 경과에 따라 증가하고 있었으며 갈변이 효과적으로 저해되었던 저장 7일경의 감초 및 녹차에서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후 14일경 갈변의 심화와 함께 효소의 활성도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천연물인 감초추출물과 ascorbic acid를 병용하여 사용할 경우 냉장저장 시 일정기간 동안 천연물을 이용한 갈변저해 및 품질유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폐염전에서 채취한 함초(Salicornia herbacea L.)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Salicornia herbacea L. Grown in Closed Sea Beach)

  • 한승관;김선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07-210
    • /
    • 2003
  • 폐염전에서 채취한 함초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식육에 함초를 첨가하여 5$^{\circ}C$에서 저장기간 14일 동안의 TBARS치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동결건조한 잎(CBf3L-F)이 BHT 다음으로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유지산화 안정도를 측정 한 결과에서 구운소금(roasted salt)은 산화를 촉진하였으나 온풍건조한 줄기 (CSBS-D)는 ascorbic acid보다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이 것은 단시간의 유지산화안 정 에는 동결건조하는 쪽이, 장기간의 산화 안정에는 온풍건조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시료에 대한 함초의 함량이 증가됨에 따라 유지산화 억제 효과가 증가함을 나타냈는데 시료의 10% 함초를 첨가한 것은 천연 항산화제인 a-tocopherol을 1% 첨가한 것과 비슷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이 것은 폐염전 함초가 천연 항산화 물질로서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Effect of Capsaicin on L-Ascorbic Acid Level in Various Tissues and Its Urinary Excretion in Rats

  • Yu, Rina;Kurata, Tadao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권1호
    • /
    • pp.69-74
    • /
    • 1996
  • Capsaicin(CAP) is a pungent ingredient of hot pepper that has been used as a spicy food additive, pre-servative, and medicine. In this study, the effect of CAP on L-ascorbic acid(AsA)level in various tissues as well as its urinary excretion. and drug-metabolizing enzyme activity in rats were investigated. Rats fed AsA-deficient diets for 17days were injected intraperitoneally with 1mg of CAP in 0.5ml of ethanol-Tween 80-saline(20 :10 : 70, v/v/v). Control rats received the equal volume of the same solution without CAP. Urine was collected for 3 day after the CAP injection, and after 5 days tissues were removed; their AsA contents were measur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mbined with and electrochemical detector. In addition, hepatic microsomal ethoxyresorfin O-deethylase(EROD) activity as measured. Urinary AsA excretion changed significantly following CAP injection. One and two days after CAP injection, the urinary AsA increased 2-and 3-fold in the CAP injected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but the contents of adrenal glands and brain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Dehydroascorbic acid contents in adrenal glands of the CAP injected group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 single large dose of CAP could temporarily cause the redistribution of AsA in tissues accompanying by its urinary excretion, by affecting probably a biological system including mixed function oxygenase system(MFO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