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6

검색결과 30,032건 처리시간 0.052초

생체분해성 고분자의 합성 및 물성에 관한 연구(II) -Poly (L-lactic acid-co-glycine-L-lactic acid) 와 Poly- (L-lactic acid-co-glycine-L-methyl lactic acid)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ly(L-lactic acid-co-glycine-L-lactic acid) and Poly - ( L-1actic acid-co-gl ycine-L-methyl 1actic acid))

  • 성용길;송대경;박경희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25-232
    • /
    • 1988
  • Poly (L- lactic acid-co-glycine-L-lactic acid) and Poly (L-lactic acid-co-glycine-L- methyl lactic acid ) have been prepared by ring opening polymerization. The monomer 6, 6-dimethyl morpho-line-2, 5-dione was synthesized by the bromoisobutylation of 2-bromoisobutyryl bromide with glycin e. L-lactide, 6-methyl morpholine-2, 5-diode. and 6, 6-dimethyl morpholine-2, 5-diode have been used as starting materials for polydepsipeptides. The synthesized monomers and copolymers have been identified by NMR and FT-lR spa- ctrophotometer. The thermal propert ies an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Tg) of the copolymers have been measur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The Tg values of poly(L-lactic acid co-glycine-L-lactic acid) system are increased from $53^{\circ}C\; to\; 107^{\circ}C$ with increasing the mole fraction of 6-methyl morpholine-2, 5-diode. And the Tg values of poly(L-lactic acid co-glycine-L-methyl lactic acid) system are increased from $53^{\circ}C\;to\;138^{\circ}C$ with increasing the mole fraction of 6. 6-dimethyl morpholine-2, 5-diode The thermal stability of poly (L-lactic acid-co-glycine-L-methyl lactic acid) is slightly greta text than that of poly(L-lactic acid-co-glycine-L-lactic acid) due to the methyl group.

  • PDF

제주말의 요추골유합 1례 (A case of fused lumbar vertebrae in Cheju native horse)

  • 김종섭;원청길;서명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3
    • /
    • 2003
  • The fused lumbar vertebrae (L) of the female Cheju native horse were observed macroscopically. The 5th L and 6th L were partially fused. They were composed of four parts between the spinous process of the 5th L and 6th L, left and right transverse process of the 5th L and 6th L, caudal articular process of the 5th L and cranial articular process of the 6th L, and fossa of vertebra of the 5th L and head of vertebra of the 6th L. The dorsal lumbar foramen and ventral lumbar foramen were formed each at left and right of medial parts in the fused transverse processes of the 5th and 6th lumbar vertebrae.

A Novel Trp-rich Model Antimicrobial Peptoid with Increased Protease Stability

  • Bang, Jeong-Kyu;Nan, Yong-Hai;Lee, Eun-Kyu;Shin, Song-Yub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1권9호
    • /
    • pp.2509-2513
    • /
    • 2010
  • In order to increase protease stability of a novel Trp-rich model antimicrobial peptide, $K_6L_2W_3$ (KLWKKWKKWLK-$NH_2$)and investigate the effect of L-amino acid to peptoid residue conversion on biological functions, we synthesized its antimicrobial peptoid, $k_6l_2w_3$. Peptoid $k_6l_2w_3$ had similar bacterial selectivity compared to peptide $k_66L_2W_3$. The bactericidal rate of $k_6l_2w_3$ was somewhat slower than that of $K_6L_2W_3$. Peptoid $k_6l_2w_3$ exhibited very little dye leakage from bacterial outer-membrane mimicking PE/PG liposomes, as observed in $K_6L_2W_3$, indicating that the major target site of $K_6L_2W_3$ and $k_6l_2w_3$ may be not the cell membrane but the cytoplasm of bacteria. Trypsin treatment of $K_6L_2W_3$ completely abolished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Escherichia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In contrast,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k_6l_2w_3$ was completely preserved after trypsin treatment. Taken together, our results suggested that antimicrobial peptoid $k_6l_2w_3$ can potentially serves as a promising therapeutic agent for the treatment of microbial infection.

회화 및 울금에 의한 단독 염색 견직물 그리고 쪽과 회화 및 쪽과 울금에 의한 복합 염색 견직물의 염색성 및 항균성 (Dyeabil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Silks Dyed Singly with Sophora japonica L., Curcuma longa L., Combination-Dyed with Polygonum tinctorium L. and Sophora japonica L., and with Polygonum tinctorium L. and Curcuma longa L.)

  • 정진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45-52
    • /
    • 2020
  • 이 연구는 회화 및 울금으로 단독 염색한 견직물 그리고 쪽과 회화 및 쪽과 울금으로 복합 염색한 견직물의 염색성 및 항균성에 대하여 검토한 것이다. 회화 및 울금으로 단독 염색한 견직물의 Munsell 표색계의 색상은 각각 5.0Y 및 0.6Y로 노란색 계열을, 쪽과 회화 그리고 쪽과 울금 추출액으로 복합 염색한 견직물의 색상은 각각 2.6BG 및 1.5BG로 청록색 계열을 나타내었다. 쪽과 회화로 복합 염색한 견직물의 일광견뢰도는 3등급으로 비교적 양호하였고, 드라이클리닝견뢰도 및 마찰견뢰도의 경우, 네 종류의 염색 견직물 모두 4~5등급으로 우수하게 나타났다. 회화 추출액으로 염색한 견직물의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은 99.5% 그리고 나머지 세 종류의 염색 견직물은 99.9%의 뛰어난 항균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Klebsiella pneumonia에 대한 항균활성에 있어서도 회화 추출액으로 염색한 견직물은 99.6%, 그 나머지 세 종류의 염색 견직물은 99.9%의 우수한 항균성을 나타내었다.

Template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Four- and Five-Coordinate Copper(II) Complexes with Hexaaza Macrotricyclic Ligands 1,3,6,9,11,14-Hexaazatricyclo $[12.2.1.1^{6,9}]octadecane(L_1)$ and 1,3,6,10,12,15-Hexaazatricyclo $[13.3.1.1^{6,10}]eicosane(L_1)$

  • Myunghyun Paik Suh;Shin-Geol Kang;Teak-Mo Chu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1권3호
    • /
    • pp.206-208
    • /
    • 1990
  • Cu(II) hexaazamacrotricyclic complexes $[Cu(L)](ClO_4)_2$ and $[(Cu(L)Cl]ClO_4$, where L = 1,3,6,9,11,14-hexaazatricyclo$[12.2.1.1^{6,9}]octadecane(L_1)$ or 1,3,6,10,12,15-hexaazatricyclo$[13.3.1.1^{6,10}]eicosane(L_2)$, have been prepared by the simple template condensation reactions of triamines, diethylenetriamine for $L_1$, and N-(2-aminoethyl)-1,3-propanediamine for $L_2$, with formaldehyde in the presence of $Cu(OAc)_2\;or\;CuCl_2$. The Cu(II) complexes of $L_1$ contain two 1,3-diazacyclopentane ring moieties and those of $L_2$ contain two 1,3-diazacyclohexane ring moieties that are fused to the 14-membered macrocyclic framework. Spectra indicate that complexes $[Cu(L)](ClO_4)_2\;and\;[Cu(L)Cl]ClO_4$ have square-planar and square-pyramidal chromophores, respectively. square-planar $[Cu(L)](ClO_4)_2$ are remarkably stable against ligand dissociation in acidic aqueous solutions. Square-pyramidal $[Cu(L)Cl]ClO_4$ complexes dissociate their axial Cl-ligands easily in aqueous solutions to form $[Cu(L)H_2O]^{2+}$ species. Infrared and UV/vis absorption spectra of the Cu(II) complexes reveal that Cu-N interactions and the ligand field strengths are significantly weaker in the complexes of $L_2$ than in the complexes of $L_1$.

리그노셀룰로스계 폐기물을 이용한 Cellulase의 생산 (Production of Cellulase from Lignocellulosic Waste.)

  • 강성우;이진석;김승욱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8-102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cellulase를 보다 경제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다양한 리그노셀룰로스계 폐기물 기질에 대해 cellulase 생산을 검토, 비교하였으며 가능성이 높은 기질에 대해 대량 생산 실험을 수행하였다. 폐 신문지는 0.2% NaOH를 사용하여 전처리한 경우 FPase와 CMCase의 최대활성이 각각 0.25 IU/mL, 4.6 IU/mL로 좋았으나, 폭쇄재 및 당화잔사 등 다른 기질의 최대활성인 0.6∼0.8 IU/mL, 5.5∼6.5 IU/mL에 비해 매우 낮았다. 30 L 발효기를 이용한 cellulase 생산 실험에서 FPase 최대활성은 lactose와 폭쇄재에서 각각 0.75 IU/mL, 0.72 IU/mL로서 당화 잔사의 최대 활성인 0.58 IU/mL에 비해 30% 높았으나 CMCase는 당화 잔사에서 최대활성이 6.3 IU/mL로 폭쇄재를 기질로 하였을 때 보다 15%높았다.

사방공작물이 계류수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Influence on Stream Water Quality by Soil Erosion Control Structures)

  • 박재현;김춘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4호
    • /
    • pp.571-577
    • /
    • 2013
  • 이 연구는 계류에 설치되어 있는 사방공작물이 계류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함으로써 계류복원을 위한 사방공작물의 설치방향을 정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북한산 우이동 계곡에서 사방공작물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류지역의 평균pH는 6.32(5.73~6.90)로 사방공작물을 통과한 계류인 하류지역의 평균pH[6.53(6.25~6.82)]와 유사하였으며, 상류지역에서의 평균용존산소량은 10.3(9.6~10.6) mg/L로 사방공작물을 통과한 하류지역에서의 평균용존산소량 10.2(9.9~10.4) mg/L와 유사하였다. 평균전기전도도는 상류지역에서는 $62.2(40.3{\sim}89.5){\mu}S/cm$, 하류지역에서는 $63.9(32.6{\sim}120.4){\mu}S/cm$로 유사하였고, 평균음이온총량은 상류지역에서 4.51(2.56~4.29) mg/L, 하류지역에서 5.94(3.43~7.98) mg/L로 유사하였다. 산청군 홍계계곡에서 평균pH는 상류지점에서 6.89(6.61~7.12), 하류지점에서 6.86(6.50~7.10)으로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고, 평균용존산소량은 상류지점에서 12.2(11.6~12.6) mg/L, 하류지점에서 11.9(11.5~12.3) mg/L로 유사하였다. 평균전기전도도는 상류지점에서 $32.7(31.4{\sim}34.3){\mu}S/cm$, 하류지점에서 $33.4(31.6{\sim}34.6){\mu}S/cm$로 유사하였고, 평균음이온총량은 상류와 하류지점에서 1.0(0.1~2.2) mg/L로 매우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북한산 우이동계곡과 산청군 홍계계곡을 대상으로 사방공작물이 설치되어 있지 않는 자연계류와 사방공작물이 설치된 하류지역에서의 계류수질을 분석한 결과 상하류간의 수질은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방공작물은 시공과정에서 계류수질에 영향을 미치므로 계류복원을 위하여는 각 개별 사방공작물에 대하여 시공 전후의 계류수질변화과정을 시계열적으로 심도 있게 연구할 필요가 있다.

강우시 도로지역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from Road Area During Rainfall Events)

  • 박운지;이수인;이해승;이영준;최중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403-40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강우시 도로지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 유출 및 수질특성을 살펴보고자 도로지역(국도 46호선)을 대상으로 총 16회의 강우사상에 대해 분석하였다. 모니터링 기간(2014년 5월~9월)동안 연구대상지역에는 3.2~80.3 mm의 강우가 발생하였으며, 강우강도는 0.39~11.29 mm/hr의 범위로 나타났다. 선행무강우일수는 0.3~20.1일이며, 총 유출량은 0.1~6.8 ㎥, 유출율은 0.24~0.85(평균 0.6)의 범위로 나타났다. 강우 모니터링 결과, 유량가중평균농도(Event Mean Concentration, EMC)는 TOC 4.9~56.2 mg/L(평균 18.0 mg/L), BOD 3.1~21.5 mg/L(평균 7.5 mg/L), COD 6.7~58.6 mg/L(평균 23.6 mg/L), SS 2.1~281.9 mg/L(평균 59.4 mg/L), T-N 1.07~13.46 mg/L(평균 4.89 mg/L) 그리고 T-P 0.065~0.680 mg/L(평균 0.23 mg/L)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강우계급별로 살펴보면 0~10 mm일 때 BOD 9.3 mg/L, COD 30.5 mg/L, SS 84.1 mg/L, T-N 5.42 mg/L, T-P 0.27 mg/L로, 10~30 mm일 때 BOD 6.6 mg/L, COD 22.0 mg/L, SS 29.0 mg/L, T-N 4.9 mg/L, T-P 0.20 mg/L로, 50 mm 이상의 강우에서는 BOD 3.6 mg/L, COD 7.1 mg/L, SS 46.4 mg/L, T-N 3.42 mg/L, T-P 0.10 mg/L로 강우계급별 EMC는 대부분 수질항목에 있어 10 mm 이하 계급의 평균 EMC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강우사상에 대한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는 TOC 0.06~3.5 kg/ha, $BOD_5$ 0.03~1.6 kg/ha, CODMn 0.09~4.74 kg/ha, SS 0.09~35.99 kg/ha, T-N 0.012~2.600 kg/ha, T-P 0.001~0.062 kg/ha의 범위로 산정되었다. 도로지역은 불투수층 면적비율이 높아 누적강우량 10 mm 이하에서도 유출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작은 강우에도 초기유출이 발생하고 유출되는 오염물질 농도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통성혐기성 수소생산균주 Rhodopseudomonas sp. MeL 6-2를 이용한 수소생산효율에 미치는 포도당 및 자당 농도의 영향 (Effect on the Concentration of Glucose and Sucrose on the Hydrogen Production using by the Facultative Anaerobic Hydrogen Producing Bacterium Rhodopseudomonas sp. MeL 6-2)

  • 이은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76-182
    • /
    • 2009
  • 안양천 공단 주변 슬러지를 미생물 접종원으로 무기염배지에 10 g/L의 자당을 첨가하여 수소 생산 균주 MeL 6-2을 분리하였다. 분리 균주 MeL 6-2은 호기성조건과 혐기성 조건에서 모두 생장하는 통성 혐기성 균주 Rhodopseudomonas sp.였다. 유기성 폐기물 내에 다량 함유되어있는 포도당과 자당의 농도변화가 수소 생산 속도 및 수소 생성효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포도당을 1~12 g/L의 범위로 첨가할 경우 lag phase 없이 생장하였으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단위시간 및 단위부피당 수소 생산성 이 증가하여, 10 g/L에서 최대값인 $4.2\;mmol-H_2{\cdot}L^{-1}{\cdot}h^{-1}$을 보이고 그 이후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균체량에 대한 수소생산수율은 $0.76{\sim}2.46\;L-H_2{\cdot}g-DCW^{-1}$의 값을 보였으며, 첨가된 기질인 포도당에 의한 수소생산수율은 $2.6{\sim}3.1\;mol-H_2{\cdot}mol-glucose^{-1}$의 범위였다. 자당을 1~12 g/L의 범위에서 첨가할 경우 약 10시간의 지체기 후 원할한 생장을 보였다. 단위시간 및 단위 세포무게 당 비수소 생산속도는 및 수소 생산수율은 자당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여 각각 $163\;mmol-H_2{\cdot}mg-DCW^{-1}{\cdot}h^{-1}$$4.5\;mol-H_2{\cdot}mol-glucose^{-1}$의 최대값을 보였다.

기질 농도에 따른 미생물전기분해전지의 운전 특성 (Effect of substrate concentration on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microbial electrolysis cells)

  • 서휘진;김재일;기서진;안용태
    • 유기물자원화
    • /
    • 제31권4호
    • /
    • pp.41-49
    • /
    • 2023
  • 본 연구는 주입 기질 농도에 따른 미생물전기분해전지 (Microbial electrolysis cell, MEC)의 운전성능을 조사하였다. 주입 기질 농도에 따른 MEC의 운전 성능을 비교하기 위해 6 개의 실험실 규모 MEC를 2, 4, 6 g/L Sodium acetate 조건으로 순서대로 주입 농도를 증가시켜 운전하였다. 전류밀도, 수소 생산량, SCOD 제거율을 분석하였고, 에너지 효율, cathodic hydrogen recovery를 계산하여 주입 기질 농도 별 MEC의 운전성능을 비교하였다. 체적 전류밀도는 4 g/L 조건에서 76.3 A/m3였고, 6 g/L로 주입 농도를 증가시켰을 때 19.0 A/m3로 4 g/L 주입 조건에 비해 75% 감소하였다. 수소 생산량은 4 g/L 주입 조건이 47.3 ± 16.8 mL로 가장 높았으나 수소 수율은 2 g/L 주입 조건이 1.1 L H2/g CODin로 가장 높았다. 에너지 효율 역시 2 g/L 조건에서 가장 높았고, 6 g/L 조건에서 가장 낮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최대 전기에너지 효율은 76.4%였으며, 2 g/L 조건에서 최대 전체에너지 효율은 39.7%였다. 그러나 기질 농도가 6 g/L로 증가하였을 때, 성능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Cathodic hydrogen recovery 역시 에너지 효율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가장 낮은 농도 조건에서 가장 높은 성능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MEC 운전에 있어서 SCOD 제거율뿐만 아니라 에너지 효율 등을 고려한 최적 운전을 위해서는 낮은 주입 농도 조건에서 운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