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yuwon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32초

An Electrochemical Sensor for Hydrazine Based on In Situ Grown Cobalt Hexacyanoferrate Nanostructured Film

  • Kang, Inhak;Shin, Woo-seung;Manivannan, Shanmugam;Seo, Yeji;Kim, Kyuwon
    • Journal of Electrochem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7권4호
    • /
    • pp.277-285
    • /
    • 2016
  •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simple, cost-effective, and accurate analytical tools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s of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compounds. In this study, a stable electroactive thin film of cobalt hexacyanoferrate (Cohcf) was prepared as an in situ chemical precipitant using electrostatic adsorption of $Co^{2+}$ on a silicate sol-gel matrix (SSG)-modified indium tin oxide electrode pre-adsorbed with $[Fe(CN)_6]^{3-}$ ions. The modified electrode was characteri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X-ray diffraction,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and electrochemical techniques. Electrocatalytic oxidation of hydrazine on the modified electrode was studied. An electrochemical sensor for hydrazine was constructed on the SSG-Cohcf-modified electrode. The oxidation peak currents showed a linear relationship with the hydrazine concentration. This study provides insight into the in situ growth and stability behavior of Cohcf nanostructures and has im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advanced electrode materials for fuel cells and sensor applications.

Concurrent Electrocatalysis and Sensing of Hydrazine and Sulfite and Nitrite Ions using Electrodeposited Gold Nanostructure-Modified Electrode

  • Seo, Yeji;Manivannan, Shanmugam;Kang, Inhak;Shin, Woo-Seung;Kim, Kyuwon
    • Journal of Electrochem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8권1호
    • /
    • pp.25-34
    • /
    • 2017
  • Concurrent electrocatalysis and sensing of hydrazine, sulfite ions, and nitrite ions in a mixture were studied using electrodes modified by electrodeposited Au nanostructures (NSs). The ${\beta}$-cyclodextrin-mixed silicate sol-gel composite was drop-casted on the electrode surface and nucleation guided by ${\beta}$-cyclodextrin occurred, followed by the electrodeposition of Au NSs. The additive, ${\beta}$-cyclodextrin, played an evident role as a structure-directing agent; thus, small raspberry-like Au NSs were obtained. The modified electrodes were characterized by surface characterization techniques and electrochemical methods. The Au NSs-modified electrodes effciently electrocatalyzed the oxidation of toxic molecules such as hydrazine and sulfite and nitrite ions even in the absence of any other electron transfer mediator or enzyme immobilization. Well-resolved oxidation peaks along with decreased overpotentials were noticed during the electrooxidation process. The fabricated Au nanostructured electrode clearly distinguished the electrooxidation peaks of each of the three analytes from their mixture.

립 모션 컨트롤러를 이용한 야구 게임 개발 (Development of Baseball Game Using Leap Motion Controllers)

  • 주향한;조민수;인승교;조규원;민준기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343-350
    • /
    • 2015
  • 마우스와 키보드와 같은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할 수 있는 게임들은 많이 출시되었다. 그러나 최근에 키넥트와 Wii와 같이 인체를 움직여 인식을 받는 게임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사람의 손 모션을 정확하게 인식하는 센서들 중 하나인 립 모션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즐길 수 있는 야구게임 개발에 대하여 다룬다. 개발된 게임의 주요 요소는 캐릭터, 야구장이 속하는 배경, 애니메이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3인칭 시점의 야구게임 형식으로 진행된다. 이 게임의 가장 큰 특징은 게임 사용자가 립모션 컨트롤러를 활용하여 색다른 게임 플레이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Electrodeposition of AuPt Alloy Nanostructures on a Biotemplate with Hierarchically Assembled M13 Virus Film Used for Methanol Oxidation Reaction

  • Manivannan, Shanmugam;Seo, Yeji;Kim, Kyuwon
    • Journal of Electrochem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0권3호
    • /
    • pp.284-293
    • /
    • 2019
  • Herein, we report an electrode surface with a hierarchical assembly of wild-type M13 virus nanofibers (M13) to nucleate the AuPt alloy nanostructures by electrodeposition. M13 was pulled on the electrode surface to produce a virus film, and then a layer of sol-gel matrix (SSG) was wrapped over the surface to protect the film, thereby a bio-template was constructed. Blending of metal binding domains of M13 and amine groups of the SSG of the bio-template were effectively nucleate and directed the growth of nanostructures (NSs) such as Au, Pt and AuPt alloy onto the modified electrode surface by electrodeposition. An electrocatalytic activity of the modified electrode toward methanol oxidation in alkaline medium was investigated and found an enhanced mass activity ($534mA/mg_{Pt}$) relative to its controlled experiments. This bio-templated growth of NSs with precise composition could expedite the intention of new alloy materials with tuneable properties and will have efficacy in green energy, catalytic, and energy storage applications.

Ionic-additive Crosslinked Polymeric Sulfur Composites as Cathode Materials for Lithium-Sulfur Batteries

  • Seong, Min Ji;Manivannan, Shanmugam;Kim, Kyuwon;Yim, Taeeun
    • Journal of Electrochem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2권4호
    • /
    • pp.453-457
    • /
    • 2021
  • Lithium-sulfur (Li-S) batteries are one of attractive energy conversion and storage system based on high theoretical specific capacity and energy density with low costs. However, volatile nature of elemental sulfur is one of critical problem for their practical acceptance in industry because it considerably affects electrode uniformity during electrode manufacturing. In this work, polymeric sulfur composite consisting of ionic liquid (IL) are suggested to reduce volatility nature of elemental sulfur, resulting in better processibility of the Li-S cell. According to systematic spectroscopic analysis, it is found that polymeric sulfur is consisting of repeating units combining with elemental sulfur and volatility of them is negligible even at high temperature. In addition, the IL-embedded polymeric sulfur shows moderate cycle performance compared to the cell with elemental sulfur. From these results, it is found that the IL-embedded polymeric sulfur composite is applicable cathode candidate for the Li-S cell based on their excellent non-volatility as well as their superior electrochemical performance.

$CH_4+CO_2$ System과 $CH_4+CO_2+N_2$ System의 Hydrate Kinetic 비교 연구 (Study on Hydrate Kinetic of $CH_4+CO_2$ and $CH_4+CO_2+N_2$ System)

  • 신형준;문동현;한규원;이재정;이주호;윤지호;이강우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219.1-219.1
    • /
    • 2010
  • 매립지에서 유기물의 분해로 발생되는 매립가스는 악취 등으로 인한 대기오염뿐만 아니라 온난화지수가 21인 메탄이 약 50vol% 포함되어 있어 지구온난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매립가스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면 대기오염저감, 지구온난화 감소, 대체에너지원 확보뿐만 아니라 CDM사업 등과 연계하여 부가수익창출이 가능하다. 현재 국내에는 약 242개의 폐기물매립지가 있는데, 이중 매립가스를 활용하는 곳은 단지 14개소로 개별 경제성이 있는 대형매립지에서만 자원화시설을 설치하여 운영 중이며 그 외 매립지에서는 매립가스를 소각 또는 단순 대기 방출하여 대기오염유발과 동시에 대체에너지원 미활용으로 국가차원에서 큰 손실이므로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규모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매립가스를 중심적환장으로 이송하여 경제성을 가지는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개발을 목표로 하이드레이트 기술을 접목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매립지에서 매립가스가 생성되는 과정에 표층부의 균열 및 차수막의 손상과 포집하는 공정에서 블로워 등의 사용으로 질소가 다량 포함되며 질소의 경우 상당히 높은 압력과 낮은 온도에서 하이드레이트를 형성하므로, 매립가스 하이드레이트 형성시 질소의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CH_4+CO_2$ System과 $CH_4+O_2+N$ System에 대하여 각각의 실험조건에서 Kinetic을 측정하였으며, 실험전후의 가스 조성을 Gas Chromatography로 정성, 정량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매립가스에 공기가 유입될 경우, 질소의 영향으로 하이드레이트 생성조건이 가압되었고 하이드레이트 내 메탄의 함량비율이 줄어들었다.

  • PDF

$CH_4$, $CO_2$, $H_2S$ 혼합기체 하이드레이트 특성분석 (A study on Thermodynamics Analysis of $CH_4+CO_2+H_2S$ Mixture Gas Hydrates)

  • 한규원;문동현;신형준;이재정;윤지호;이형훈;이강우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218.2-218.2
    • /
    • 2010
  • 저분자량의 가스와 물이 물리적 결합으로 이루어진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가스가 포집될 수 있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매립지에서 발생되는 매립가스를 하이드레이트의 원리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저장 및 수송하기위한 공정에 적용하기위해 필요한 매립지 가스 하이드레이트의 상평형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고자한다. 일반적으로 매립지 가스에는 메탄이 약 50%, 이산화탄소가 약 35%, 질소가 약 6% 포함되어 있으며 그 밖에 산소, 수분, 암모니아 황화수소 메르캅탄 등 할로겐 계통을 포함한 탄화수소계화합물 수십여종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매립지가스를 하이드레이트화 하기위해서는 매립지가스에 포함된 다양한 성분들이 하이드레이트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 특히 황화수소의 경우 독성이 있으며, 실제 플랜트에서 장비의 부식등 악영향을 미치므로 이와 관련한 기초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메탄, 이산화탄소, 황화수소가 각각 49.9%, 50.05%, 500ppm의 조성으로 이루어진 혼합가스를 이용하여 하이드레이트 생성 및 해리 시 거동을 측정하고 그 상평형 영역을 기존데이터와 비교분석 하였다. 25bar, 36bar에서 측정한 상평형 데이터는 한국해양대학교 에서 측정한 결과와 마찬가지로 실제 상평형 영역이 CSMHYD 프로그램으로 예측한 것보다 하이드레이트의 안정영역이 약 2bar 정도 높게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CH_4+CO_2+H_2S$ 혼합가스 하이드레이트의 생성 시 mol consumption은 $CH_4+CO_2$ 혼합가스 하이드레이트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 결과로 유추하건대, 황화수소의 첨가는 하이드레이트의 형성 압력을 높이지만, 하이드레이트 형성률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 PDF

하이드레이트 형성 원리를 이용한 매립지가스 에너지화 기술에 대한 연구 (Study of Technology for Energy Recovery from Landfill Gas using Hydrate Method)

  • 문동현;신형준;한규원;이재정;석민광;윤지호;이강우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219.2-219.2
    • /
    • 2010
  • 가스하이드레이트(gas hydrate)는 고압과 저온 조건에서 물분자간의 수소결합으로 형성되는 3차원 격자구조에 동공(cavity)이라는 빈 공간이 생기고 이 동공에 가스가 물리적으로 포획되어 생성되는 것으로, 수소결합을 하는 물의 격자(Host) 내에 메탄등의 저분자가스(Guest)가 포획된 결정체이다.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미량의 물을 첨가, 가압하면 부피비로 약 200배의 가스를 고상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으며, 열역학적으로 안정된 결정체이기 때문에 하이드레이트로 존재하기 위한 최소한의 온도, 압력조건이 충족되면 고상으로 항구적인 존재가 가능할 수 있어 가스의 수송 및 저장에 높은 경제성을 가지는 방법이다. 현재 운영중인 전국의 242개소 매립지 중에서 발전 및 연료로 활용가능한 조건을 같춘 자원화 대상 매립지는 약 14곳에 불과한 형편이고 이들 중 대부분 시설은 자원화 시설을 운영하고 있으나. 중소규모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LFG에 대하여 효율적인 이용 및 처리 방안이 없어 태워 없어지거나 방치하는 등 매립가스를 활용하는 기술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LFG는 많은 환경적인 문제를 야기하지만, 50vol% 이상의 고농도 메탄이 함유되어 있어 이를 대체에너지원으로 이용할 경우 환경적인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신재생에너지원으로 활용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규모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LFG를 활용하기 위하여 하이드레이트 형성/해리 Pilot plant의 제작을 통하여 $CH_4$$CO_2$(단일, 복합가스의 실험)의 하이드레이트화 연구를 진행 중이다.

  • PDF

매립가스 하이드레이트에서 미량성분 제거에 관한 연구 (Study on Removal of Trace Components from Landfill Gas Hydrate)

  • 신형준;문동현;한규원;이재정;윤지호;이강우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52.1-152.1
    • /
    • 2010
  • 매립지에서 유기물의 분해로 발생되는 매립가스는 악취 등으로 인한 대기오염뿐만 아니라 온난화지수가 21인 메탄이 약 50vol% 이상 포함되어 있어 지구온난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매립가스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면 대기오염저감, 지구온난화 감소, 대체에너지원 확보뿐만 아니라 CDM사업 등과 연계하여 부가수익창출이 가능하다. 현재 국내에는 약 242개의 폐기물매립지가 있는데, 이중 매립가스를 활용하는 곳은 단지 14개소로 개별 경제성이 있는 대형매립지에서만 자원화시설을 설치하여 운영 중이며 그 외 매립지에서는 매립가스를 소각 또는 단순 대기 방출하여 대기오염유발과 동시에 대체에너지원 미활용으로 국가차원에서 큰 손실이므로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시급하다. 현재 매립가스 에너지화 기술로는 매립가스 열량에 따라 가스엔진, 가스터진, 증기터빈을 이용하는데 국내에서는 수분제거와 같은 간단한 처리 과정을 거친 후, 정제 없이 사용한다. 그런데 매립가스 구성 성분 중 일부 미량가스($H_2S$ 등)는 부식성이 높아 실제 공정에서 큰 문제점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전처리공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규모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매립가스를 중심적환장으로 이송하여 경제성을 가지는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개발을 목표로 하이드레이트 기술을 활용함에 있어 전처리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매립가스 구성성분 중 대표적 악취물질인 메르캅탄과 부식성 물질인 황화수소의 전처리 기술로서 활성탄 흡착방법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관찰이 가능하고 흡착탑을 2단으로 구성하여 활성탄 흡착탑을 제작하였다. 대상가스는 일반적으로 매립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으로 제작하여 사용하였고 흡착탑 전 후 가스의 성분분석은 LMSxi를 이용하였다. 실험결과 활성탄의 상태, 접촉시간, 흡착탑의 구성에 따라 50~80%의 제거효율을 보였으며 이는 활성탄 흡착탑을 매립가스 에너지화의 전처리 시설로 사용될 경우 각각의 변수들에 대해 정확한 공정설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하이드로퀴논 크러스레이트를 이용한 매립가스 내 이산화탄소 분리에 관한 연구 (Study on Selective Separation of Carbon Dioxide from Land-fill Gas using Hydroquinone Clathrate)

  • 한규원;문동현;신형준;이재정;윤지호;이강우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51.2-151.2
    • /
    • 2010
  • 본 연구는 하이드로퀴논(HQ)을 이용하여 매립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를 선택적으로 분리하고 유기 크러스레이트 형태로 분리 및 저장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로써 하이드로퀴논을 다양한 객체가스와 반응시키면서 열역학적 안정영역을 파악하고 분광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미세구조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alpha}$-HQ를 고압(4MPa)의 이산화탄소와 반응시켜 이산화탄소가 포집된 ${\beta}$-HQ를 합성하였고, 동공 내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를 제거하여 동공을 유지하는 empty ${\beta}$-HQ를 만들었다. 온도를 증가시키면서 XRD 패턴을 측정한 결과 298 K 에서 378 K 사이에서 ${\beta}$-HQ 시료는 서서히 empty ${\beta}$-HQ 의 구조로 전환되었으며 378 K 이상의 온도에서 ${\alpha}$-HQ 구조로 급격히 전환되었다. 또한 생성된 empty ${\beta}$-HQ 동공에 이산화탄소가 포집, 해리되는데 있어서 온도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298K과 343K의 온도에서 실시간 라만분광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298K에서 약 200분의 시간이 지난 후 이산화탄소는 하이드로퀴논 동공 내로 포집되어 안정화되었으며 압력해방 후에는 빠져나가지 않고 동공 내에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343K에서는 급격히 포집되어 30분 이내 안정화되었고, 압력해방 후 동공 내에 존재하지 못하고 빠져나가는 것을 확인하였다. Empty ${\beta}$-HQ의 이산화탄소 선택도를 관찰하기 위해 이산화탄소와 메탄, 수소, 질소의 조성이 각각 30%, 30%, 20%, 20%인 혼합가스와 반응시킨 후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분석을 실시한 결과, empty ${\beta}$-HQ내 포집된 가스 중 이산화탄소의 조성이 약 80% 이상으로 나타나 높은 선택도를 나타냄을 관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