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scientific community

검색결과 320건 처리시간 0.029초

2010 당뇨병 환자를 위한 식품교환표 개정 (Korean Food Exchange Lists for Diabetes: Revised 2010)

  • 주달래;장학철;조영연;조재원;유혜숙;최경숙;우미혜;손정민;박유경;조여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4권6호
    • /
    • pp.577-591
    • /
    • 2011
  • A food exchange system for diabetes is a useful tool for meal planning and nutritional education. The first edition of the Korean food exchange lists was developed in 1988 and the second edition was revised in 1995. With recent changes in the food marketplace and eating patterns of Koreans, the third edition of food exchange lists was revised in 2010 by the Korean Diabetes Association,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and the Korean Association of Diabetes Dietetic Educators through a joint research effort. The third edition is based on nutritional recommendations for people with diabetes and focuses on adding foods to implement personalized nutrition therapy considering individual preferences in diverse dietary environment. Foods were selected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including the 200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analysis and survey responses from 53 diabetes dietetic educators. While a few foods were deleted, a number of foods were added, with 313 food items in food group lists and 339 food items in the appendix. Consistent with previous editions, the third edition of the food exchange lists included six food categories (grains, meat, vegetables, fats and oils, milk, and fruits). The milk group was subdivided into whole milk group and low fat milk. The standard nutrient content in one exchange from each food group was almost the same as the previous edition.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s FANTASY (Food And Nutrient daTA SYstem) database was used to obtain nutrient values for each individual food and to determine the serving size most appropriate for matching reference nutrients values by each food group. The revised food exchange lists were subjected to a public hearing by experts. The third edition of the food exchange lists will be a helpful tool for educating people with diabetes to select the kinds and amounts of foods for glycemic control, which will eventually lead to preventing complications while maintaining the pleasure of eating.

한국노년학에 게재된 건강·간호 분야 연구동향 - 한국노년학 창립 30주년에 즈음하여- (A Review on Health and Nursing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 From the first issue to the present)

  • 김신미;김순이;이윤정;최정실;이미옥
    • 한국노년학
    • /
    • 제28권4호
    • /
    • pp.785-796
    • /
    • 2008
  • 본 연구는 한국노년학회지 창간호부터 2008년 현재까지 30년간 게재된 논문 중 건강 간호 분야의 논문 분석을 통하여 연구의 동향을 전반적으로 고찰하고 한국노년학 연구의 다학문적 특성과 관련하여 건강 간호 부분이 나아갈 방향을 조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한국노년학 통권 1호부터 통권 62호까지 논문 중 건강 간호 분야의 논문 135편(전체의 18.3%)을 대상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방법별 분포는 양적연구 110편(81.5%), 질적연구 10편(7.4%), 기타 15편(11.1%)의 순이었고, 연구유형별 분석 결과 일반논문 96편(71.0%), 연구비수혜논문 39편(29.0%)이였다. 둘째, 연구대상자는 주로 남녀 노인 모두, 도시의 재가에 거주하면서 질병이 있거나(55.2%), 건강한 노인(44.8%)을 포함하였다. 셋째, 양적연구는 조사연구가 대부분(82.7%)으로 실험연구가 연도별로 점차 증가하였으며, 다양한 연구대상자 수와 측정변수가 사용되었다. 넷째, 질적연구는 90년대부터 게재되기 시작 하였고, 수는 매우 적었으며 대상자 수 15명 이상인 경우가 5편(50%)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노년학회에서 건강 간호 분야 연구의 특성과 동향을 확인 보고하였으며, 장차 수행될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호놀룰루 전략과 우리나라 해양쓰레기 관리를 위한 시사점 (The Honolulu Strategy and Its Implication to Marine Debris Management in Korea)

  • 홍선욱;이종명;장용창;강대석;심원준;이종수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3-150
    • /
    • 2013
  • 호놀룰루 전략은 지구적 범위에서 해양쓰레기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기본 지침 문서(framework document)이다. 유엔환경계획과 미국 해양대기청이 2011년 공동으로 개최한 제5차 해양쓰레기 국제학술회의를 계기로 작성되었다. 육상기인, 해상기인 그리고 현존 해양쓰레기의 양과 영향 저감을 목표로 교육 홍보, 법제 개선, 기술 개발 등의 분야별로 세부 전략과 성과 평가 지표를 제시하고 있다. 호놀룰루 전략 발표 후 GPA, IMO, CBD 등 관련 국제 기구들은 해양쓰레기 대응 활동을 강화하고 있으며, 유엔 차원에서도 2025년까지 구체적인 행동에 나서기로 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해양쓰레기 관리 국제 체제의 경성법적 성격 강화로 이어질 수 있다. 호놀룰루 전략은 한국의 제2차 해양쓰레기 관리 기본계획 수립 과정에서 예방중심적 접근, 과학적 정책 개발 기법 활용, 지표를 활용한 성과 평가 체제 도입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치의학 분야의 신의료기술 동향 분석 (Trend analysis of new health technology in dentistry)

  • 이종호;김민정;임다움;심보균;임영준;김수관;김만용;김봉주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5권7호
    • /
    • pp.440-448
    • /
    • 2017
  • Objectives : Currently, it is being reported that new health technology (HT) is introduced and spread throughout Korea at a very fast rate. However, the current status of new HT related to dentistry has not been known or studi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resent state and awareness on dentistry-related domestic new HT via surveys and research, and thus apply this as a reference to construct an effective new HT-related system in the field of dentistry. Methods : The assessment status of New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nHTA) committee was searched on the website for any updates on new HT5). The cases were searched in the range between Jan 1 2012 and Jul 31 2016 by submission date and were analyzed by year, division of technology, progress and major operating practitioner. Among those, technologies utilized by dentists were additionally analyzed. The survey result was obtained by combining responses of 25 participants from the workshop for new HT application and 11 members of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KAOMS). The workshop was co-hosted by KAOMS and Clinical Translational Research Center for Dental Science (CTRC) under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SNUDH). Results : Most of the respondents to the survey have heard of new health technology but were unaware of the application procedure. 'Safety and effectiveness' was selected the most for things to consider when introducing new HT, followed by 'scientific evidence of the technology.' For new dental HT status, submissions between 2012 and Jul 31 2016 were analyzed by major operating practitioner, including cases where there are multiple practitioners. Yet, only 19 cases (17 %) of dentists were reported. Among 385 cases approved by nHTA, only 2 cases included dentists. Conclusions : Active publicity by the government on new HT and its application procedure, and continued interest and research in the dental and medical community is likely to be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dentistry.

  • PDF

중국의 이공계 강세 현상에 대한 고찰 (How Science-Engineering Graduates Become so Powerful Elites in China?)

  • ;박희제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4권2호
    • /
    • pp.1-32
    • /
    • 2004
  • 이 논문은 최근 한국사회에서 큰 관심의 대상으로 떠오른 중국의 이공계 강세 현상의 내용과 그 배경을 살펴본다. 지금까지 언론과 과학기술계를 중심으로 한 중국의 이공계 강세 현상에 대한 논의는 그 원인과 과정에 대한 논의는 도외시 한 채 결과적인 현상에만 주목하여 중국을 부러움의 대상으로 부각시켜왔다. 그러나 이 논문은 중국의 이공계 강세현상은 사회주의 국가건설과 문화혁명이라는 중국의 독특한 역사적 경험을 통해 형성된 것임을 보여준다. 사회주의 교육개혁이 중국사회에 인문사회교육은 무용지물이라는 인식을 심어주었다면 문화 대혁명은 한 걸음 더 나아가 인문사회계열의 학문을 공부하는 것이 정치적으로 위험하다는 인식을 확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중국의 이공계 강세 현상은 매우 극단적인 정치적인 결정에 의해 형성된 기형적인 현상으로 정치에 의해 강요된 학문의 위계질서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이공계 출신의 고위 공직자 비중이 높은 것도 이들이 대학에서 인문사회교육을 충실히 받았거나 이공계 졸업자에 대한 정책적 우대 때문이라기보다는 중국의 정치체제 특히 중국공산당의 독특한 인사제도를 통해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 대한 이해 없이 결과적인 현상에만 주목하며 중국의 예와 한국의 예를 비교하는 것은 이공계 위기문제의 원인과 해결책에 대한 진단에 큰 오류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주의를 요한다.

  • PDF

Exploring the Microbial Community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Livestock Feces Using the Whole Metagenome Shotgun Sequencing

  • Hyeri Kim;Eun Sol Kim;Jin Ho Cho;Minho Song;Jae Hyoung Cho;Sheena Kim;Gi Beom Keum;Jinok Kwak;Hyunok Doo;Sriniwas Pandey;Seung-Hwan Park;Ju Huck Lee;Hyunjung Jung;Tai Young Hur;Jae-Kyung Kim;Kwang Kyo Oh;Hyeun Bum Kim;Ju-Hoon Le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1호
    • /
    • pp.51-60
    • /
    • 2023
  • The foodborne illness is the important public health concerns, and the livestock feces are known to be one of the major reservoirs of foodborne pathogens. Also, it was reported that 45.5% of foodborne illness outbreaks have been associated with the animal products contaminated with the livestock feces. In addition, it has been known that the persistence of a pathogens depends on many potential virulent factors including the various virulent genes. Therefore, the first step to understanding the public health risk of livestock feces is to identify and describe microbial communities and potential virulent genes that contribute to bacterial pathogenicity. We used the whole metagenome shotgun sequencing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foodborne pathogens and to characterize the virulence associated genes in pig and chicken feces. Our data showed that the relative abundance of potential foodborne pathogens, such as Bacillus cereus was higher in chickens than pigs at the species level while the relative abundance of foodborne pathogens including Campylobacter coli was only detected in pigs. Also, the microbial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livestock feces revealed that the gene families related to "Biofilm formation and quorum sensing" were highly enriched in pigs than chicken. Moreover, the variety of gene families associated with "Resistance to antibiotics and toxic compounds" were detected in both animals. These results will help us to prepare the scientific action plans to improve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the public health risks of livestock feces.

브라운필드 재생을 위한 협력적 계획 모델 연구 (Collaborative Planning Model for Brownfield Regeneration)

  • 김유진;패트릭 밀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92-100
    • /
    • 2015
  • 대부분의 일반적인 계획 과정과 달리, 브라운필드 계획은 잠재된 오염문제로 인한 기술적, 법률적 전문지식을 필요로 한다. 성공적으로 통합적인 의사결정에 관여하기 위해서는 조정된 협력적 계획 모델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협력적 계획 접근방식이 브라운 필드 재생에 있어 상반된 분야의 전문가들 및 지역 주민들이 함께 일하며 적절하게 균형 잡힌 협력을 이루어 내기 위한 어려움들을 극복하는 데에 어떻게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의사소통적 계획이론 관련 문헌분석을 통해 적절한 지표들을 찾아내어, 네 단계의 브라운 필드 계획과정(대상지 선별, 평가, 정화, 디자인)에 적용시켜 본 후, 중요한 부분들을 짚어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 크게 세 가지 점에 초점을 맞춘, 브라운 필드 재생에 적합한 협력적 계획 모델의 필요성이 인식되었다(1. 사회, 문화, 디자인 분야와 과학, 기술 분야의 전문가 간의 균형 잡힌 대화의 촉진, 2. 일반주민들과의 잠재적 오염 위험과 관련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적절한 방법개발, 3. 전문가 주도의 객관적 데이터와 주민 의견 중심의 주관적 데이터의 통합을 위한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의 마련).

유사의료/보완의료에 대한 보건의료정책학적 고찰 (A Critical Review o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Pseudo-medicine/Quackery: Implication on Health Policy)

  • 한동운;황정혜
    • 의료법학
    • /
    • 제11권2호
    • /
    • pp.113-145
    • /
    • 2010
  • Nowadays, it is surely the quack which stands as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problematic. the quack has been a consistent target of contested public protection strategies in the past few centuries in many countries. Recently,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AM) is increasingly utilized and accepted by patients and providers throughout the health care system in the world, most accounts attribute this growing acceptability to the shortcomings of conventional medicine, the appeal of CAM's core beliefs, and the growing body of research indicating that CAM actually works. However, the governments of western countries have called for measures to ensure that the public are protected from incompetent and dangerous practitioners. Common to these controversies has been a suggestion to ban, exclude or limit the medical practice of those deemed to be damaging rather than improving the health of individuals as a measure of public protection. This article describes the experiences of western counties' health care system which is moving in a more pluralistic direction. By examining the ways in which regulatory efforts in the countries have come to address what is invariably described as a growing interest in CAM, this study show how the problem of CAM/quackery today is increasingly located in an ethical field of practitioner competency, qualifications, conduct, responsibility and personal professional development, regardless of the form of therapy in question. Many countries developed a series of measures and strategies to contain the acceptance of CAM groups, such as insisting on scientific evidence of safety and efficacy, resisting integration of CAM with conventional medicine and opposing government support for research and education. In a sense, those countries' movements serve to protect not only patients, but the dominant position of medicine and its allied professions, and to maintain existing jurisdictional boundaries within the healthcare system. The popular support for CAM will require that health professional stakeholders continue to address the challenges this poses, and at the same time protect their position at healthcare system. To cope with the quack, professional body, public sector and health authorities should consider the safety of consumers of healthcare and responding to the demands of the community for CAM therapies as well as the claims of the established healthcare professions. Finally, some implications for future health care were suggested.

  • PDF

과학 잡지 프로젝트를 통한 중학생의 학습 변화 탐색: 참여의 관점을 중심으로 (Exploring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Development through Science Magazine Project with Focus on the Perspective of Participation)

  • 이민주;김희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56-270
    • /
    • 2011
  • 이 연구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비교과 동아리 활동인 과학 잡지 제작 활동을 통해 다양한 학습자의 참여 형태가 어떻게 변화하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화기술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14개월 동안 수행되었으며, 연구 참여자는 과학 잡지 편집부에 자원한 중학생 24명과 연구자인 지도교사로, 학생들은 학교 주변의 동식물 관찰, 궁금했던 과학현상 탐구, 과학자 만나보기 등을 기반으로, 편집부 웹 사이트 운영 및 과학 잡지 기사쓰기 활동을 수행하였다.연구 결과 학습자의 참여는 과학 잡지 편집부라는 실행 공동체에 대한 참여의 정도에 따라 주변적 참여,이행기의 참여, 완전한 참여라고 하는 3단계를 거쳐 발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완전한 참여로 발달해감에 따라 과학 잡지 제작 활동에 대한 개인적 흥미발생, 가치 부여와 함께, 메타 인지적 글쓰기와 자발적 학습 증진, 과학 잡지 기자로서의 정체성 형성 등을 보였다. 학습자의 참여 발달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는 학습 환경 요인으로 제공된 과학 잡지 글쓰기의 속성, 교사 요인으로 제공된 스캐폴딩, 그리고 가장 중요한 학습자 요인으로 탐구와 글쓰기를 즐기고 가치를 부여하는 과정 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흥미, 호기심을 가진 학생들이 과학 잡지 글쓰기를 통해 과학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형성하고, 반성적, 메타 인지적 사고를 경험하며 자발적 학습으로 이행하게 된다는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학습자의 과학적 소양을 함양시키는 것과 함께, 평생 학습 사회를 살게 될 학습자들을 위한 자발적 공동체 구성, 참여, 실행의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학습자 정체성에 입각한 진정한 학습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서해 하구역과 연안역 유영생물의 군집구조 비교 (Comparison of Nekton Assemblage Structures Between Estuary and Inshore Waters on the Mid-Western Coast of Korea)

  • 황선도;이우주;임양재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7권3호
    • /
    • pp.149-159
    • /
    • 2012
  • 서해안 연안역과 하구역의 유영생물의 종조성 변동을 파악하고, 두 해역간의 생산성을 비교하기 위해서 2010년 3월~12월의 대조기에 하구역인 강화도과 연안역인 장봉도에서 주목망으로 24시간 동안 어획된 유영생물을 수집하였다. 유영생물의 군집구조는 해역별, 월별, 분류군별 양적 차이를 보였으며, 유영생물의 종다양도는 연안역보다 하구역에서 낮았으나, 생산력은 하구역에서 더 높았다. 강화도 주변 하구역에서는 싱어, 가숭어, 황강달이가 연안역에서 보다 많은 양이 빈번히 출현하여 기수종이 우세하였고, 연안역인 장봉도 주변 해역에서는 해양종으로 분류할 수 있는 청멸, 밴댕이, 꽃게가 하구역에서 보다 많은 양이 자주 출현함으로써 유영생물이 서식처에 따라 공간적 분포를 달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라비새우, 밀새우, 풀망둑 등은 연안역과 하구역에서 양적으로나 출현 횟수가 비슷하여 하구와 연안을 왕래하는 종으로 판단된다. 하구 생태계의 건강성을 과학에 근거하여 평가함은 하구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 정책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관리방향을 설정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