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Development through Science Magazine Project with Focus on the Perspective of Participation

과학 잡지 프로젝트를 통한 중학생의 학습 변화 탐색: 참여의 관점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1.01.11
  • Accepted : 2011.03.25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how learners' participation develop if provided with opportunities for various scientific practices and experiences in writing science magazine articles as an extra-curricular club activity and what factors facilitate these participation development. Data from participant observations, in-depth interviews with students, and documents were used to extract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practices. The learners' development was categorized into 3 stages in terms of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of practice: peripheral participation, transitional participation, and full participation. As participation develops, situational interest developed to individual interests and value attachment. Students sought to get ideas from every day life, and finally, in the stage of full participation, advances in writing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transformation. Best of all, the participants enjoyed and valued their participation showing identities as journalists. The nature of science magazine article, external scaffolding, and internalization through enjoyment and value attachment appeared to be decisive factors that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participation. Student's enculturation of writing for learning offers a possibility that continue to do so, even after they have left formal schooling and make a basis for lifelong learning.

이 연구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비교과 동아리 활동인 과학 잡지 제작 활동을 통해 다양한 학습자의 참여 형태가 어떻게 변화하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화기술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14개월 동안 수행되었으며, 연구 참여자는 과학 잡지 편집부에 자원한 중학생 24명과 연구자인 지도교사로, 학생들은 학교 주변의 동식물 관찰, 궁금했던 과학현상 탐구, 과학자 만나보기 등을 기반으로, 편집부 웹 사이트 운영 및 과학 잡지 기사쓰기 활동을 수행하였다.연구 결과 학습자의 참여는 과학 잡지 편집부라는 실행 공동체에 대한 참여의 정도에 따라 주변적 참여,이행기의 참여, 완전한 참여라고 하는 3단계를 거쳐 발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완전한 참여로 발달해감에 따라 과학 잡지 제작 활동에 대한 개인적 흥미발생, 가치 부여와 함께, 메타 인지적 글쓰기와 자발적 학습 증진, 과학 잡지 기자로서의 정체성 형성 등을 보였다. 학습자의 참여 발달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는 학습 환경 요인으로 제공된 과학 잡지 글쓰기의 속성, 교사 요인으로 제공된 스캐폴딩, 그리고 가장 중요한 학습자 요인으로 탐구와 글쓰기를 즐기고 가치를 부여하는 과정 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흥미, 호기심을 가진 학생들이 과학 잡지 글쓰기를 통해 과학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형성하고, 반성적, 메타 인지적 사고를 경험하며 자발적 학습으로 이행하게 된다는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학습자의 과학적 소양을 함양시키는 것과 함께, 평생 학습 사회를 살게 될 학습자들을 위한 자발적 공동체 구성, 참여, 실행의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학습자 정체성에 입각한 진정한 학습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대현, 박경미 (2003). 학교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교사의 내러티브 탐구. 교육과정연구, 21(2), 23-49.
  2. 남경운, 이봉우, 이성묵 (2004). 과학일기쓰기가 과학영재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272-1282.
  3. 남정희, 곽경화, 장경화, Brian Hand (2008). 논의를 강조한 탐구적 과학글쓰기(Science Writing Heuristics)의 중학교 과학 수업에의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 922-936.
  4. 박정은, 유은정, 이선경, 김찬종 (2009). 논증 구조 교육을 통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글쓰기 분석: 과학 글쓰기 장르에 대한 글쓰기 과제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8), 824-847.
  5. 박지영, 신영준 (2008).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글쓰기 선호 유형 조사: 생명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6(4), 600-609.
  6. 배희숙, 전영석, 홍준의 (2009). 과학 탐구 능력 신장을 위한 과학 글쓰기 교수 학습 전략 개발. 초등과학교육, 28(2), 178-186.
  7. 손민호 (2005). 구성주의와 학습의 사회이론. 문음사.
  8. 손정우 (2009). 과학글쓰기를 통한 과학영재학생들의 과학적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연구. 과학영재교육, 1(3), 21-32.
  9. 오필석, 이선경, 이경호, 김찬종, 김희백 (2008). 예비 과학 교사들의 고등학교 과학반 지도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예비 교사들이 형성하는 지식의 종류와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546-564.
  10. 이정희 (2004). 과학 영재의 정의적 특성 및 영재성 인식에 관한 연구. 과학일지 쓰기 활동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1. 정혁, 정용재, 송진웅 (2004). 빛을 주제로 한 11학년 학생의 과제 유형에 따른 글쓰기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1008-1017.
  12. Clandinin, D, J., & Connelly, F. M. (2000).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San Francisco, CA: Jossey-Bass.
  13. Hand, B., Prain, V., & Wallace, C. (2002). Influences of writing tasks on students'answers to recall and higher-level test question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2(1), 19-34.
  14. Hidi, S., & Harackiewicz, J. M. (2000). Motivating the academically unmotivated: A critical issue for the 21st century.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0(2), 151-179. https://doi.org/10.3102/00346543070002151
  15. Hidi, S., & Renninger, K. A. (2006). The four phase model of interest development. Educational Psychologist, 41(2), 111-127. https://doi.org/10.1207/s15326985ep4102_4
  16. Lave, J., & Wenger, E. (1991).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전평 국, 박상선 역(2000). 상황학습. 교우사.
  17. Lemke, J. L. (2001). Articulating communities: 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3), 296-316. https://doi.org/10.1002/1098-2736(200103)38:3<296::AID-TEA1007>3.0.CO;2-R
  18.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19. Oh, P. S. (2006). Participation metaphor for learning and its implication for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7(2), 140-148.
  20. Osborne, J. (2003). Attitudes towards science: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its implic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9), 1049-1079. https://doi.org/10.1080/0950069032000032199
  21. Pappas, C., Varelas, M., Ciesla, T., & Tucker- Raymond, E. (2009). The Work of Language in Multicultural Classroom, Routledge.
  22. Pugh, K, J. (2004). Newton's laws beyond the classroom Walls. Science Education, 88(2), 182-196. https://doi.org/10.1002/sce.10109
  23. Prain, V., & Hand, B. (1996). Writing for learning in secondary science: Rethinking practice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2(6), 609-626. https://doi.org/10.1016/S0742-051X(96)00003-0
  24. Renninger, K. A. (2009). Interest and identity development in instruction: An inductive model. Educational Psychologist, 44(4), 105-118.
  25. Rivard, L. P. (1994). A review of writing to learn in science: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10), 994-1020.
  26. Roth, W. M. (2004). Identity as dialectic: Re/making self in urban school. Mind, Self, and Activity, 11(1), 48-69. https://doi.org/10.1207/s15327884mca1101_4
  27. Roth, W., & Lee, S. (2004). Science education as/for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Science Education, 88(2), 263-291. https://doi.org/10.1002/sce.10113
  28. Sfard, A. (1998). On two metaphors for learning and the dangers of choosing just one. Educational Researcher, 27(2), 4-13. https://doi.org/10.3102/0013189X027002004
  29. Sfard, A., & Prusak, A. (2005). Telling identities: In search of analytic tool for investigating learning as a culturally shaped activity. Educational Researcher, 34(4), 14-22. https://doi.org/10.3102/0013189X034004014
  30. Vansteenkiste, M., Lens, W., & Deci, E. (2006). Intrinsic versus extrinsic goal contents in self-determination theory: Another look at the quality of academic motiva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41(1), 19-31. https://doi.org/10.1207/s15326985ep4101_4
  31. Vygotsky, L. S. (1962). Thought and Language. Cambridge, Massachusetts: MIT Press. 신현정 역 (1985). 사고와 언어. 성원사.
  32. Wallace, C., Hand, B., & Prain, V. (2004). Writing and Learning in the Science Classroom. Kluwer Academic Publishers.
  33. Wenger, E. (1998). Communities of Practice: Learning, Meaning, and Identit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손민호, 배을규 역 (2007). 실천공동체: 지식창출의 사회생태학. 학지사.
  34. Wood, D., Bruner, J. S., & Ross, G. (1976). The role of tutoring in problem solving.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17(2), 89-100. https://doi.org/10.1111/j.1469-7610.1976.tb00381.x
  35. Yore, L. D., Hand, B., & Prain, V. (2002). Scientist as writers. Science Education, 86(5), 672-692. https://doi.org/10.1002/sce.10042